[[분류:동음이의어]] [목차] == 고려의 [[무신정변]] 주도자 == * [[이고]] == 일본에서 이고라 부르는 게임([[바둑]]) == * [[바둑]] == 후한의 태위 이고 == * [[이고(후한)]] == [[오호십육국시대]] [[서량]]의 황제 == * [[이고(서량)]] == [[당나라]]의 학자 == 李翺, 774~836 당나라의 학자로 자는 습지(習之),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4에서 설명하는 인물인 농서 이씨의 시조 [[이고(서량)|이고]]의 후예라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낮은 신분의 출신이다. [[한유]]에게 고문(古文)의 문체를 배우고, 진사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후 검교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까지 지냈다. 스승 한유의 혈연을 아내로 삼았으며 사상적으로도 깊은 영향을 받았다. 다만 사상적으로는 스승 한유가 불교를 배척한 것과는 달리, 그는 불교사상을 채택하여 심성(心性)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였다 국가 공인의 《오경정의(五經正義)》 주석에 만족하지 않고, [[불교]]나 [[노장]], 선학(禪學) 같은 다양한 사상을 받아들여 《복성서(復性書)》를 저술하였다. 《복성서》는 한유의 《원성(原性)》과 더불어 인간의 본성을 논한 것으로 송대(宋代) [[성리학|정주학]]의 선구가 되었다. 또한 [[훈고학]]의 경전 해석이 성현의 마음을 탐구하는데 적당한 방법이 아니라고 하였고 [[공자]], [[자사]], [[맹자]]에 연결되는 유교 종사 계보의 정통론을 만들었다. 이런 이고의 사상은 [[신유학]]의 [[사서삼경]], 역전경주(驛傳競走) 중시와 도통사상 중시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 외의 저서로는 《이문공집(李文公集)》 18권이 있다. == [[조선]] 초 인물 == * [[이고(1341)]] == [[에고]]의 영어식 발음 == * [[에고]] 문서로. == [[일본군]]의 [[중형전차]] [[치로]]의 다른 명칭 == * [[치로]] 문서로. ==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의 등장인물 == * [[안톤 이고]]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