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광호}}}'''[br]'''李洸鎬[*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9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6904&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1921년 12월 7일 수형인명부]]에는 李'''{{{+1 光}}}'''鎬로 기재되어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광호(1885).jpg|width=100%]]}}} || || '''자''' ||휘원(輝遠) || || '''본관''' ||[[진성 이씨]][* 원촌파(遠村派) 20세 호(鎬) 항렬.] || ||<|2> '''출생''' ||[[1885년]] [[4월 27일]] || ||[[경상도]] [[예안군|예안현]] 의동면 원촌동[br](現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안동)|도산면]] 원천리)[*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8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6925&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1919년 5월 19일 수형인명부]]·[[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696|디지털안동문화대전]] 참조.] || || '''사망''' ||[[1942년]] [[12월 14일]][* 진보이씨상계파세보 상권 487쪽 참조.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954|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2월 1일에 별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http://db.history.go.kr/id/gb_1943_03_10_a48290_00050|1943년 3월 10일자 조선총독부 관보]]에 이광호가 1942년 7월 31일 목회활동을 중단한다는 이른바 '포교폐지계(布敎廢止屆)'를 제출한 것으로 보아 당시까지는 생존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 '''종교''' ||[[기독교]] {{{-2 ([[개신교]], [[예장통합|조선예수교장로회]])}}}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586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종교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퇴계 이황]]의 13대손이다. [[독립유공자]] [[이영호(1885)|이영호]]는 그의 8촌 삼종제(三從弟), [[시인(문학)|시인]] [[이육사]]와 [[독립유공자]] [[이원영(1886)|이원영]]은 9촌 삼종질(三從姪)이다. == 생애 == 1885년 4월 27일 경상도 예안현 의동면 원촌동(現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서 [[퇴계 이황]]의 12대손인 아버지 이중익(李中益, 1852 ~ 1918. 7. 26)과 어머니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羅州 丁氏, ? ~ ?. 6. 7)[* 정대연(丁大淵)의 딸이다.] 사이의 3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예안군 읍내면 교촌동(現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7번지)[* 서부리 7번지는 현재 인근의 지번들과 통합되어 도산면 서부리 5-2번지로 남아 있다.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368258&docid=0009256336&mngno=BJCA258008&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depth1%3d%25EA%25B2%25BD%25EC%2583%2581%25EB%25B6%2581%25EB%258F%2584%5edepth2%3d%25EC%2595%2588%25EB%258F%2599%25EA%25B5%25B0%5edepth3%3d%25EC%2598%2588%25EC%2595%2588%25EB%25A9%25B4%5earch_tp_id%3d12%5edepth4%3d%25EC%2584%259C%25EB%25B6%2580%25EB%258F%2599%5eserviceCode%3d1-1-3%5eformType%3dold|1910년대 작성된 지적원도]]에는 당시 서부리 7번지가 [[예안군]]향교 소유로 되어 있었다.]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다. 예안면사무소 서기로 근무하던 그는 1919년 3월 8일 [[손병희]]로부터 [[http://db.history.go.kr/id/hdsr_003_0030_0040_0030|서신을 받은]]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76|조수인]](趙修仁)에게서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파급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고, 3월 11일 밤 9시 예안면사무소 숙직실에서 예안면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003|신상면]](申相冕)을 비롯해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964|이시교]](李時敎)·[[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144|이중원]](李中元)·[[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2724|이남호]](李南鎬)·[[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3|김창옥]](金昌沃)·백남학(白南鶴) 등과 만나 면장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할 것을 그 자리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권유해 찬성을 얻어냈다. 이에 그는 동지들과 함께 예안면 장날인 3월 17일을 거사일로 결정하고, 예안면사무소에 비치된 등사판을 이용해 [[기미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대량으로 제작한 뒤 인근 마을에 거사 계획을 전달하는 등 사전준비를 실행했다. 거사 당일이던 3월 17일 오후 3시 30분에 그는 계획대로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942|이동봉]](李東鳳) 등 30여명의 동지들과 함께 예안면사무소 뒷편의 선성산(宣城山)[* 선성현문화단지 내 선성 산성공원이 바로 선성산이다.]에 올라가 일본인들이 그곳에 건립한 어대전기념비(御大典紀念碑)[* 어대전(御大典)이란 천황 즉위식을 말하는데, 정황상 1912년에 즉위한 [[다이쇼 덴노]]의 즉위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으로 추정된다.]를 쓰러뜨린 후, 태극기를 흔들며 예안면 장터를 향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를 기점으로 시장 곳곳에 매복해 있던 조수인·[[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1116|김진휘]](金鎭暉)·[[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367|조병건]](趙炳建)·[[이원영(1886)|이원영]]·[[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819|조방인]](趙邦仁) 등과 장터에 나와 있던 수천명의 군중은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시작했고, 수업 중이던 예안공립보통학교 학생들까지도 가담해 예안면 장터를 돌며 행진했다. 그 뒤 이광호가 시위대열에 가담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하자, 주재소에서 총검으로 무장한 일본 경찰 소다 토키치(曹田藤吉) 등이 출동해 그를 비롯한 25명의 시위군중을 체포하였다. 1919년 3월 25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혐의로 징역 2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3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427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고]] 이에 공소해 곧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93&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4146&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이감되었다]]. 4월 17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79&evntId=0034984013&evntdowngbn=Y&indpnId=000001555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공소가 기각되었고]], 이에 상고했으나 5월 19일 고등법원에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17&evntId=0034978642&evntdowngbn=Y&indpnId=000001054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고]] 형이 확정되어 결국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예안기독교청년회에 가입해 활동하다가 1921년 신응한(申應漢)·신상면·이시교와 함께 불온 서류 등과 관련해 예안경찰서에 체포되어 취조를 받다가 4월 28일 안동경찰서에 [[http://db.history.go.kr/id/npda_1921_05_03_v0003_0550|송치되었다]]. 그 뒤 1921년 6월 24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의 공판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로 [[금고형]] 6개월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97&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4651&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선고받고]] 이감되었다가, 이에 공소하여 그해 12월 7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494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9740&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원심 판결이 취소되고]] [[벌금형]] 20원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9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6908&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은 대신에]] 납부치 않을 시 노역장에 20일간 유치되는 판결을 받았다. 형기를 마친 뒤에는 [[안동시|안동군]] 안동읍 법상정(現 안동시 법상동) 36번지로 이주했고, 1937년 7월 23일 [[대한예수교장로회|조선예수교장로회]] 소속 목회자로 [[http://db.history.go.kr/id/gb_1937_09_09_a31980_00200|신고해]] 활동했다. 이후 1942년 7월 31일 목회활동을 중단한다고 [[조선총독부]]에 [[http://db.history.go.kr/id/gb_1943_03_10_a48290_00050|신고했고]], 그해 12월 14일 별세했다. 198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안동시 녹전면 갈현리 굴티마을 선영에 안장되었다가 2007년 10월 9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되었다. == 참고 문헌 ==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3954|독립유공자 공훈록 3권]](1987년 발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일제강점기의 개신교 신자]][[분류:진성 이씨]][[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1885년 출생]][[분류:1942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