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이남덕}}}[br]李男德'''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남덕.jpg|width=100%]]}}} || || '''호''' ||목영(牧英) || || '''본관''' ||[[연안 이씨]] || ||<|2> '''출생''' ||[[1920년]] [[9월 24일]] || ||[[충청남도]] [[아산시|아산군]] (現 [[아산시]]) || || '''사망''' ||[[2012년]] [[9월 6일]] (향년 91세) || || '''가족''' ||배우자 [[김성칠]][* 서울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임][br]아들 김기봉, 김기목, 김기협[*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임], 딸 1명.|| || '''종교''' ||[[불교]] {{{-2 ([[법명]]: 영주)}}}|| || '''학력'''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 {{{-2 (졸업)}}}[br][[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2 (조선어문학 / 학사)}}}[b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국어국문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5779|국어형태소분류론]](1961).]·[[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226|十五世紀(십오세기) 國語(국어)의 敍法硏究(서법연구)]](1970).])}}} || || '''경력''' ||[[동아대학교]] 교수[br][[숙명여자대학교]] 교수[br][[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국문학자, 교수. == 생애 == 1920년 9월 24일 [[충청남도]] [[아산시|아산군]](現 [[아산시]])에서 아버지 이진균(李眞均)과 어머니 [[한산 이씨]][* 이광규(李光珪)의 딸이다.]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진균이 [[3.1 운동]] 때 만세 사건으로 일본의 감시를 피해 피신하다 [[함경남도]] [[고원군]]에 정착, 그곳에서 [[보통학교]]를 마친 후 외가가 있는 [[충청남도]] [[공주시|공주군 공주읍]]으로 내려와 독학으로 공부를 했다. 이후 검정고시를 거쳐 194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 조선어문학 전공에 선과생으로 입학했다. 선과생은 일종의 편입생으로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남학생만 입학할 수 있었으나, 선과생으로 본과에 편입하는 것은 여학생도 가능했다. 경성제대 졸업 후 1952년부터 [[부산여자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동아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를 거쳐 1958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여 1986년 정년 퇴임했다. 교수 재직 시절이던 1960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 1971년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독실한 불교 신자로, 이화여대 교수 시절 불교학생회 동아리를 만들어 퇴임 때까지 지도교수를 맡았다. 2000년 한글 발전 공로로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2012년 9월 6일 사망했다. == 가족 == [[파일:김성칠 이남덕 부부.jpg]] 김성칠 이남덕 부부와 자녀 1942년 경성제대 강의실에서 같은 법문학부 문학과의 사학 전공 생도였던 김성칠을 만나 1944년부터 살림을 시작했다. 당시 김성칠은 유부남으로 이혼 수속이 늦어져 1950년에야 이혼했다. [anchor(김성칠)]남편 김성칠은 1913년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출생으로 1937년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 근무하다가 1942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 사학 전공에 선과생으로 입학했다. 졸업 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51년 10월 8일 [[6.25 전쟁]] 중에 괴한의 저격으로 사망했다. 남편의 사망 후 홀로 3남 1녀를 키웠고 1993년 남편의 일기를 엮어 '역사 앞에서'(창비)를 펴냈다. 3남 김기협은 1950년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이공계 수석으로 물리학과에 입학했으나 사학과로 전과하여 동양사를 전공하여 졸업했다. [[경북대학교]]에서 중국 고대 천문학 연구로 석사, [[연세대학교]]에서 [[마테오 리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지냈다. 2011년 어머니의 시병 일기를 엮어 '아흔 개의 봄'(서해문집)을 펴냈다. == 저술 == * 저서 * 단군탄생 * 한국어 어원 연구 1~4 * 두메산골 앉은뱅이의 기원 (불교 수필집) * 여든 살의 연꽃 한 송이 (불교 수필집) * 논문 * 국어형태소의 분류(석사 논문) * 15세기 국어의 서법 연구(박사 논문) * 15세기 국어의 된소리 고(考) * 15세기 국어 음운체계 * 어린이의 말 * 지정사 '이다'에 대하여 * 경상도 방언 연구 * 15세기 국어의 정동법 연구 * 국어문법의 단위문제 [[분류:1920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연안 이씨]][[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숙명여자대학교 재직]][[분류:이화여자대학교 재직]][[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문학 교수]][[분류:은관문화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