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난설헌)] [include(틀:허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f1013 0%, #31353e 30%, #31353e 70%, #0f1013);" '''{{{#fff {{{+2 이달}}}}}}[br]{{{#fff 李達| Lee Da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손곡 이달의 시비.jpg|width=100%]]}}}{{{-2 이달의 시비}}}[* 현재 이달의 무덤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충청남도와 강원도에 이달의 시비가 세워졌다.] || ||<|2> {{{#fff '''출생'''}}} ||[[1539년]] ?월 ?일[br](중종 34년, [[음력]] [[1539년]] ?월 ?일) || ||[[조선]][br],,(現 [[대한민국]] 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fff '''사망'''}}} ||[[1612년]] ?월 ?일[br](광해군 4년, [[음력]] [[1612년]] ?월 ?일)[br]{{{-1 (향년 74세, 73년 ?개월 ?일 / 26663일 추정)}}} || ||[[조선]] [[평안도]] [[평양부]] 여관[br]{{{-2 (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시]] 여관 터)}}} || ||[[객사]] (여관에서 [[돌연사]]) || || {{{#fff '''묘소'''}}} ||불명[* 이달이 죽은 평안도 평양에 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 {{{#fff '''학력'''}}} ||[[송나라]] 시 독학[br]정사룡의 문하[br][[박순(조선)|박순]]의 문하[br][[중국어]], [[외교]] 수학[* 한리학관과 종사관이 되기 위해서 관련 지식을 공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fff '''직업'''}}} ||[[시인(문학)|시인]], [[관료]], [[외교관]][* 한리학관과 [[명나라]] 사신을 맞이한 종사관으로 일한 적이 있지만 오래 하진 않았고 이후 나머지 여생을 시인으로서 보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본관'''}}} ||[[이(성씨)|신평(新平)]] || || {{{#fff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width=28]] [[조선]] || || {{{#fff '''공훈'''}}} ||없음 || || {{{#fff '''최종[br]관등'''}}} ||접반사 종사관[br](接伴使 從事官) || || {{{#fff '''휘'''}}} ||달(達) || || {{{#fff '''자'''}}} ||익지(益之) || || {{{#fff '''호'''}}} ||손곡(蓀谷), 서담(西潭), 동리(東里) || || {{{#fff '''종교'''}}} ||[[유교]] (성리학) || || {{{#fff '''붕당'''}}} ||[include(틀:무소속)][* 조정에서 벼슬을 한 적은 있지만 딱히 붕당에 속하진 않았다.] || || {{{#fff '''작품'''}}} ||《손곡집(蓀谷集)》[br]《서담집(西潭集)》[* 이달의 친구 최경창의 외당질 유형이 엮었지만 현재 이수광이 쓴 서문만 전해진다.] || || {{{#fff '''부모'''}}} ||부: 이수함 (李秀咸, 16세기 - 16세기)[br]모: 불명 (?, ? - ?) || || {{{#fff '''형제[br]자매'''}}} ||불명 || || {{{#fff '''배우자'''}}} ||이선(李選)의 첩[* 이선과 이혼한 이후 배우자가 된 것이 아니므로 사실상 불륜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 || {{{#fff '''자녀'''}}} ||사생아: 이재영 (李再榮, 1553 - 1623)[* 판서 이선의 서자로 알려져 있지만 허경진의 허균평전 227쪽에 의하면 이달이 이선의 첩과 정을 통해서 낳았다고 한다.] || || {{{#fff '''경력'''}}}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리학관[br]명나라 사신 접반사의 종사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시인(문학)|시인]], [[관료]], [[외교관]], 그리고 '''[[허균]]과 [[허난설헌]], 유형, 그리고 이정의 [[스승]]이다.''' == 가족 == 제자 허균의 <손곡산인전>, <손곡집서>에 의하면 신평이씨 쌍매당 이첨의 서예손이다. == 생애 == 어렸을 때 부터 [[송나라]] 시를 배웠으며 이후 스승 정사룡과 [[박순(조선)|박순]]에게 [[당나라]] 시를 배웠다. 정사룡의 문하에서 두보(杜甫)의 시, 박순의 문하에서 이백(李白),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의 시를 배웠다. [[허엽]]의 아들 [[허봉(조선)|허봉]]과 친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허봉의 소개로 [[허난설헌]]과 [[허균]]을 만나서 시를 가르쳤다. 서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지만 조정이 그의 재능을 높이 사서 "중국어와 이문에 관한 일"을 하는 벼슬인 [[https://badadict.com/ko/1520345|한리학관]]과 [[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방문했을 때 접빈사의 종사관으로 일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벼슬을 버리고 떠나서 남은 여생을 시인으로서 살았다. 이름 불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허균이 <학산초담>을 쓴 1593년 시점 병에 걸려 죽었다. <학산초담>에는 이달이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쓴 시 <도망(悼亡)>이 남아있다.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292A_0270_030_0010|#]] [[https://m.blog.daum.net/jju8045/16157329|#]] ||<:> {{{#31353e 悼亡  '''도망''' }}}|| || {{{#31353e 羅幃香盡鏡生塵  '''깁 방장엔 향내 가시고 거울엔 먼지'''[br] 門掩桃花寂寞春  '''닫힌 문엔 복사꽃만 쓸쓸한 봄날'''[br] 依舊小樓明月在  '''작은 누각엔 옛날처럼 달은 밝은데'''[br] 不知誰是捲簾人  '''발 걷고 달 즐길 이 그 누구런가'''}}}[br][br]|| 허경진의 허균평전 227쪽에 의하면 이달에게 이조판서 이선(李選)의 첩과 정을 통해서 낳은 아이가 있는데, [[허균]]의 친구 이재영(李再榮, 1553 - 1623)이다. 이선의 첩이 위의 1593년 시점 죽은 아내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재영은 사실상 양반 가문의 서자와 다른 양반 가문의 판서의 첩과 정을 통해서 얻은 자식이므로 서자이자 사생아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죽을 때까지 평양부의 여관에서 얹혀살다가 죽었다. 현재 이달의 묘는 전해지지 않으며, 충청남도 홍성군청 앞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손곡초등학교 입구에 그의 시비가 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3945/|#]] == 작품 == 작품으로 《손곡집(蓀谷集)》과 《서담집(西潭集)》이 있다. 손곡집은 제자 [[허균]]이 간행했으며 서담집은 이달의 제자 유형이 간행했다. == 기타 == * 제자 허균이 스승 이달을 주인공으로 한 한문소설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은 적이 있다. 이달이 작품 내 등장인물로 등장하며, 작가의 시점으로 주인공 이달의 생애를 관찰하며 묘사했다.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292A_0090_010_0020|#]]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466|#]] == 대중문화에서 == * 1993년과 1994년 사이 방영된 [[초롱이의 옛날여행]] 한국위인전 홍길동전과 허균에서 이달이 서자 출신이라서 양반 대접을 못 받아서 서럽게 우는 모습을 묘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OLSAsPxNmI|#]] * 2000년 KBS 드라마 <[[천둥소리]]>에서는 배우 [[정동환]]이 연기하였다. * 2018년 2월 1일 출판된 만화 who? 한국사 신사임당 허난설헌에서 허균과 허난설헌의 동복 형제 허봉의 소개로 허균과 허난설헌에게 시를 가르치는 모습을 묘사했다. [[분류:조선의 관리]][[분류:1539년 출생]][[분류:1612년 사망]][[분류:신평 이씨]][[분류:외교관]][[분류:조선의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