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이대산}}}[br]李臺山'''}}}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대산.jpg|width=100%]]}}} || ||<|2> '''출생''' ||[[1923년]] [[3월 31일]] || ||[[강원도]] [[이천군]] || ||<|2> '''사망''' ||[[2020년]] [[2월 16일]] (향년 96세)||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 '''상훈''' ||건국포장 수훈||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공무원]].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현장에서 범인 [[문세광]]의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다. == 생애 == === 독립운동가로서의 삶 === 1923년 3월 31일 [[강원도]] [[이천군]]에서 태어났다. 1937년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연락원 역할을 했고 이후로는 국내에 들어와 독서회를 조직하여 민족 의식을 양성하였다. 또한 1942년에는 다시 만주로 건너가 유격대장이 되고, 1944년 12월에는 [[하얼빈]] 근교에서 일본군의 수송[[열차]]를 공격해 탄약 등을 탈취하는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이후 1945년 도문지구 인근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지만 [[8.15 광복]]으로 풀려난다. [[http://w3devlabs.net/korea/archives/tag/%EC%9D%B4%EB%8C%80%EC%82%B0|출]][[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467871|처]] ===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당시 === [[8.15 광복|광복]] 이후 [[공무원]]이 되어 [[서대문세무서]] 재산세계장을 맡고 있던 그는 1974년 [[광복절]]에 발생한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당시, [[독립운동가|독립유공자]]석에 앉아 있었다. 당시 저격범 [[문세광]]이 박정희가 서 있던 단상을 향해 총을 들고 뛰어가 [[박정희]] 대통령을 저격하려다 실패해 [[육영수]] 여사에게 총을 발사할 때 이대산은 문세광의 [[다리(신체)|다리]]를 걸어 넘어뜨렸다. 이후 다른 독립유공자들과 [[경호원]]들이 문세광을 제압했다. 문세광의 다리를 걸어 넘어뜨림으로써 범인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그는 독립운동 공적 등을 인정받아 1977년 건국포장을 받았다. === 사망 === [[2020년]] 2월 16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분류: 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1923년 출생]][[분류: 2020년 사망]][[분류:이천군 출신 인물]][[분류:실향민]][[분류:강원도(북한) 출신 인물]][[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