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二]][[刀]][[流]]}}} [목차] [clearfix] == 일본의 검술 == [[일본]] [[검술]]에서 [[쌍검|양손에 하나씩 무기를 들고 싸우는 방식]] 및 [[이천일류|유파]]를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미디어의 영향으로 파급된 잘못된 용어이나 워낙 사용이 두드러져 아예 일본어 사전에까지 기재되었다. 두 검의 크기가 다르다는 점에서, 두 검의 크기가 같은 [[쌍검]]과 여러모로 다르다. === 개요 === 살상용 검(劍)이나 도(刀) 두 자루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을 뜻하는 단어. 본래 일본에서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통용된다. 국어사전에 없고 일본어사전에 등재된 단어이며, 대체로 일본 문화(특히 서브컬처 쪽)의 영향을 받아 들어온 외래어로 본다. [[미야모토 무사시]]가 이도를 썼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도를 전문으로 하는 무사시의 [[니텐이치류]]는 대+소 조합이라는 설과 대+대 조합이라는 설이 공존하는데, 현재의 니텐이치류는 전부 대+소 조합을 가르치고 무사시도 오륜서 땅의권에서 무사가 기본적으로 패용하는 도검구성은 타치와 와키자시라며 대+소 조합임을 언급하고있다. 무사시가 창시했다고 전해지는 니텐이치류, 엔메이류(복원) 이외에 이도를 교수하는 유파는 [[가토리신토류]] 정도가 있다. || [[파일:Eb5CAafU4AIuNzq.jpg ]] || || 아이스카게노류모쿠로쿠(愛洲陰之流目録)의 삽화모음 ||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도쿄박물관에 보관된 일본에서 제일 오래된 무술비전인 아이스카게노류모쿠로쿠(愛洲陰之流目録, 1576)에도 이도를 든 그림이 있고, 야규신카게류의 쿠미타치에서도 이도가 등장하며[* 후쿠로시나이도 작은 것을 사용한다.] [[나기나타]] 유파로 알려진 텐도류(天道流)는 중+중 이도를 사용한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검 두자루를 쓰는 것을 쌍검 혹은 쌍검술이라고 한다. 한국의 유사 쌍검술과 다른 나라의 쌍검술 그리고 사용하는 인물을 찾으러 왔다면 [[쌍검]][* 대한검도회 규정집에 명기된 공식명칭.] 문서를 참고하자. [[니텐이치류]]를 창시한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서]]에서는 칼([[타치]], [[우치가타나]])은 한 손으로 다뤄야 남은 다른 손을 다른데 쓸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유용하며, 한 손으로만 공격하기 힘들 때에서야 비로소 양손으로 강하게 휘두르라고 권한다. 보다 더 정확하게는 상황에 따라 양손검을 한 손으로 다루는 게 유리할 수도 있고 [[단검]]이 유리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난전이나 다수의 적을 상대할 때는 양손에 각각 검을 두 자루 다 쥐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한 가지 방법에 집착하지 말라는 취지이다. 명나라 장군인 호종헌(胡宗憲)의 주해도편(籌海圖編) 왜국사략에 의하면 쌍검술이 [[왜구]]의 간교한 술수 중 하나이며 위를 공격하는 척 속이면서 아래를 공격하기 때문에 방어하기 어렵다고 한다. ==== [[검도]] ==== || [[파일:attachment/이도류/toda.jpg]] || || 교토연무대회에서 이도로 상단을 상대하는 故토다 타다오(戶田忠男) 선생 || '''[[검도]](劍道)에서 이도류(二刀流)라는 말은 잘못'''이다. 류(流)라는 말은 유파(流派), 계보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검도에서는 '''이도(二刀)가 옳다.''' 아니, 애초에 고류검술에서조차 일도류(一刀流:잇토류)라는 명칭이 류조인 잇토사이(一刀斎)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지 칼이 하나라서 일도류라고 일컫는 것이 아닌데다가 일도제라는 이름조차 칼이 하나라는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분야(가령 검술이나 병법)에 정통하다는 의미의 이름이다. 이도류라는 표현조차 그런 이름의 특정 류파도 없을 뿐더러, 일도류라는 명칭을 보고 착각하여 특정 유파가 아닌 단지 칼이 하나라고 이도와 대비하여 일도류/이도류로 구분지어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바르게 일컬으려면 류(流)를 빼고 일도/이도가 맞다. 아무튼 전일본검도연맹의 기준에 따른 이도의 자세는 대도, 소도의 위치에 따라 정이도(正二刀)와 역이도(逆二刀)로 나뉘고 양 발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족(正足)과 역족(逆足)으로 나뉜다.[* 정태선 사범의 설명을 참고함[[https://www.youtube.com/watch?v=a0VA43xkzHM|링크]][[https://musashikai.jp/content03/page01.html|링크2]], ] '''정이도는 오른손에 대도, 왼손에 소도'''를 들고 반대로 '''역이도는 왼손에 대도, 오른손엔 소도'''를 든다. 좌우와 상관없이 '''대도를 든 손쪽의 발이 앞으로 나가면 정족, 소도를 든 손쪽의 발이 앞으로 나가면 역족'''이다. 따라서 오른손으로 대도를 든 정이도 기준에서 오른발이 나갔으면 정족, 왼발이 나갔으면 역족이며, 왼손에 대도를 든 역이도에서는 반대로 왼발이 나가면 정족, 오른발이 나가면 역족이다. 정이도와 역이도는 각각 장 단점과 특징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a0VA43xkzHM|링크]](25분 부터) 이도가 처음 등장한 큰 시합은 천황어전시합이다. (쇼와천람시합) 이 대회는 쇼와 시대 일본 황실의 행사로서 일제의 통치 아래 있는 각 지역들의 (만주, 조선, 사할린, 대만 등) 무술 대표들이 그 대상이었다. 그 첫 대회에서 이도가 준우승을 하였고 당시 검도계는 이도를 막아야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천황이 흥미롭다고 한 덕에 무사히 유지될 수 있었다. 검도 초창기인 다이쇼 시대에는 죽도 길이나 무게에 대한 규정도 없었고 현대 검도와는 한판의 개념이 달라서 소도로 툭 쳐도 한판이 됐기 때문에 이도를 드는 것이 굉장히 이득이 되는 상황이었다.[* [[러일전쟁]]이 끝나고 일본 사회적인 분위기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겨야한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었다.] 득점만을 추구하는 경향이 심해지자 당시 전일본검도회 측에서 학생부 이도금지령을 선포했고 죽도 규격이 정해지면서 미군정이 끝날 때까지 연구의 목적이 아니면 이도가 공식 석상에 나오는 일이 없었다. [[파일:attachment/이도류/nito.jpg]] 이도를 잘 모르는 심판들이 한 손으로 치니까 격자가 약하다거나, 허리를 공격할 때는 내려 칠 뿐 베면서 나아가지 못한다는 괴이한 편견으로 판정을 굉장히 짜게 주면서 이도를 박대하고 있다. 그래도 제한된 격자 부위와 규칙으로 보호받는 검도니까 이도가 홀대받고 약하다는 평가가 나올 뿐, 실제로는 상당히 상대하기 어려운 기술임은 명백한 사실이다. 한손으로 막는 동시에 다른 손으로 공격할 수 있어서 상대하기가 매우 껄끄럽다. 한마디로 '''칠 곳을 찾기 어렵다.''' 더구나 이도나 상단을 체계적으로 가르치지 않다보니 대부분의 검도가들이 중단에만 익숙해서 이도나 상단을 대회에서 만나면 당황하기 일수다. 하지만 이도 측도 여전히 판정을 짜게 받는 편이라서 쉽게 승부가 안 나는 편이다. 이도는 '''목을 찌르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도로도 찌름이 가능할 뿐더러, 또 한국 검도계는 찌름 연습을 잘 안 하는데다[* 찌름 자체가 상대에게 위험한 기술이다 보니 안전 문제로 인해 이를 금기시하고 있다. 300이하 맛세이 금지 처럼 3단 이하 찌름 자제가 암묵적인 규칙일 정도.] 소도로 걸쳐내서 머리로 '''반격 당하기 십상'''이다. 그밖에 규정상 대도로 상대 칼을 막고 '''소도로 공격해도 한 판'''으로 인정되나, 실제 경기에서는 대단히 드물다.[* 2023년 일본에서 일이일여의 주도로 개최되고 이도로 승단하였던 후지이 료이치 8단 사범이 참석하였던 이도세미나의 강연내용에 의하면 최근 일본에서는 소도에 의한 득점을 종종 인정해주는 추세이나, 아직 한국에서는 반영되고 있지않는 실정이다.] 정이도(正二刀)나 역이도(逆二刀)란 호칭이 좋지 않다고 여겨지는지[* 상당수의 검도 수련자들은 단순히 기술을 연마하는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수양에도 큰 비중을 두는 만큼, 무의식적으로 '올바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정이도를 선호하고, 반대로 '거꾸로'라는 의미를 가진 역이도는 마치 사도(邪道)인 양 안 좋게 바라보는 경향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우이도(右二刀)와 좌이도(左二刀)라는 호칭도 등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검도 이도 수련단체로는 크게 2곳이 있는데, 하나는 고류검술 류파인 [[니텐이치류]] 무사시카이 이고, 다른 하나는 故 토다 타다오 8단의 주도로 창설되고, 현재는 후지이 료이치 8단 및 무사시카이 전회원들이 주축인 일이일여({{{+1 [ruby(一二一如, ruby=いちにいちにょ)]}}})[[https://www.youtube.com/@user-se6pc2sl3e|링크]]가 있다. ===== 국내 ===== [[파일:nitoryulogoo.jpg|width=100%]] 한국의 니텐이치류 이도 수련모임 이도연구회 홈페이지[[https://nitokendos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인스타그램[[http://www.instagram.com/nitokendos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유튜브[[https://www.youtube.com/nitokendos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다음카페[[http://cafe.daum.net/nitory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nitokendosc/photos/?ref=page_intern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국내의 이도 수련인들은 다음의 [[http://cafe.daum.net/nitoryu|이도류의 세계(고경당무도관)]]와 이도연구회[[http://www.instagram.com/nitokendosc|인스타그램]]등에서 교류하고 있다. 둘 모두 정태선 사범이 개설한 것으로, 그는 일본에서 이도세미나를 개최하는 일이일여(一二一如)[* 故토다 타다오(8단) 주도로 설립된 단체로, 현재는 후지 료이치(8단) 주도로 활동]와 교류하고, [[니텐이치류]]로 부터 면허를 받아 현재 병도 7단, 전검련으로으로부터는 검도5단을 받았다. 정태선 사범이 중심이된 이도연구회는 매주 주말 혹은 달에 2-3번씩 정기 강습회를 열고 있고, 2022년부터 이도연구회(이연회)의 이름으로 국내 검도대회에도 참가하고 있다. 그 밖에 국내 수련자로는 전 서부검도관 관장인 김수종 7단과 현암재검도관 관장 이지훈 6단이 있으며, 그중 이지훈은 2023년 제36회 국제오픈 한국사회인 검도대회에 참가하여 노장부 개인전에서 준우승을 하였다.[[https://www.kumdo.org/bbs/board.php?bo_table=schedule_guide&wr_id=1018&shsubid=&page=2&year=&month=&sca=|링크]] === 대중매체에서의 사용자들 === 일반적으로 이도류 사용자들은 전투력이 높은 경향이 있다. [[쌍검]] 항목 참고. * 장검과 단검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표시 * 두 검의 형태가 다를 경우 ☆표시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BLACK]] - [[검성 빌게니아]]☆ * [[가면라이더 BLACK RX]] - [[섀도우 문]]☆ * [[가면라이더 쿠우가]]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쿠우가]] 라이징 타이탄 폼 * [[가면라이더 아기토]] -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아기토]](트리니티 폼☆, 샤이닝 폼) * [[가면라이더 류우키]] - [[가면라이더 나이트]]☆, [[가면라이더 오딘]] * [[가면라이더 555]] - [[가면라이더 사이가]], [[카이도 나오야|스네이크 오르페녹]], 소드피쉬 오르페녹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킹 폼]]☆, [[가면라이더 카리스|가면라이더 와일드 카리스]] * [[가면라이더 카부토]] - [[가면라이더 가탁크]] * [[가면라이더 덴오]]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덴오 윙 폼]]☆ * [[가면라이더 오즈]] - [[가면라이더 오즈(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오즈]] [[타토바 콤보]][* 메다쟈리버와 메다가브류를 동시에 사용한 적이 있다.]☆, [[가타키리바 콤보]], 그밖에 카마키리 메달을 사용한 모든 아종형태 * [[가면라이더 위자드]]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위자드]](플레임 드래곤, 워터 드래곤, 허리케인 드래곤, 랜드 드래곤) * [[가면라이더 가이무]] - [[가면라이더 가이무(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가이무]](오렌지 암즈☆★, 딸기 암즈, 진바 레몬 암즈☆, 키와미 암즈☆★), [[가면라이더 류겐]] 키위 암즈, [[가면라이더 브라보]] 두리안 암즈, [[가면라이더 세이버(가면라이더 가이무)|가면라이더 세이버]] 블러드 석류 암즈☆★ * [[가면라이더 고스트]] - [[가면라이더 고스트(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고스트]](무사시 다마시, 료마 다마시, 그레이트풀 다마시 등)☆ * [[가면라이더 지오]] - [[가면라이더 지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지오]]☆[* 지오 II 로 강화된 이후부터], [[어나더 지오]] * [[가면라이더 세이버]] - [[가면라이더 세이버(가면라이더 세이버)|가면라이더 세이버]]☆[* [[킹 엑스칼리버]]나 [[뇌명검 황뢰]], [[광강검 최광]], [[인왕검 십성인]] 장비시 한정.], [[가면라이더 켄잔]]☆, [[가면라이더 팔시온]]☆[* [[데자스트]] 변신체 한정. [[무명검 허무]]와 그러지 덴트를 동시에 사용한다.], [[로드 오브 와이즈]](스파르탄☆, 디아고, 쿠온) * [[가면라이더 기츠]] - [[가면라이더 크로스 기츠]] * [[갓 오브 워]] - [[크레토스]] * [[갓 오브 하이스쿨]] - [[충청북도 팀#s-3|장장미]]★ * [[귀멸의 칼날]] - [[하시비라 이노스케]], [[우즈이 텐겐]] * [[건담 시리즈]] - 대다수의 [[모빌슈트]][* 사람이 아니라 다소 애매하긴 하지만, 극중 양손에 근접무기를 사용하거나, 이에 준하는 전투방식을 사용하는 기체는 상당히 많다.][* 가장 유명한 장면은 건담이 마 쿠베가 탄 걍을 상대하면서 두 개의 빔 사벨로 허리를 동강내는 것이다.] * [[검은사막]] - [[레인저(검은사막)|레인저]]★ * [[나이트런]] - [[앤 마이어]], [[소피아 비스타]], [[가로우 라타]], [[레오(나이트런)|레오]]☆, [[드라이 레온하르트]], [[디오 딜런]], [[라임 자일]]☆, [[애니 밀러]], [[화이트볼]] * 니어 시리즈 - [[카이네]] * [[노라쿠로군]] - 노라야마 쿠로키치[* 정확히는 야구배트를 양손에 쥐고 휘두를수 있다. 물론 취미인지 모르겠지만 검도도 하기에 죽도로도 가능할것으로 추정된다.] * [[뉴럴 클라우드]] - [[아키(뉴럴 클라우드)|아키]] * [[다크 소울 3]] - [[심연의 감시자]]★, [[차가운 골짜기의 무희]]☆, [[법왕 설리번]]☆ * [[대마인 시리즈]] - [[이가와 사쿠라]], [[신간지 쿠레나이]]★, [[아이슈 헤비코]], [[모모치 나기]]☆ * [[던전앤파이터]] - [[달빛을 걷는 자 야신#s-2.5|심연을 걷는 자]], [[적귀 소륜]]★, [[도적(던전 앤 파이터)|도적]]직업군 전원 *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 -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단테]], [[버질(데빌 메이 크라이)|버질]]☆ * [[도사의 무녀]] - [[시치노사토 코후키]], [[오리가미 유카리]], [[타기츠히메]], [[무스미 키요카]] * [[동방 프로젝트]] - [[콘파쿠 요우무]]★ * [[디지몬 시리즈]] - [[그라디몬]], [[야차몬]], [[바지라몬]], [[크로우몬|카라텐몬]], [[라모르몬]], [[가이오몬]], [[에이션트가루몬]], [[디어비트몬]], [[펜리루가몬 타케미카즈치]] * [[리그 오브 레전드]] - [[요네]]☆ * [[리니지 시리즈]] * [[리니지2M]] - 휴먼[* 워리어, 글라디에이터, 듀얼리스트 한정.], 엘프[* 다크댄서, 블레이드 댄서, 스펙트럴 댄서 한정.], 드워프[* 드워븐워리어, 스톤메이슨, 골든메이슨 한정.] * [[리니지(게임)|리니지]] - 다크엘프 * [[리니지M]] - 다크엘프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미키 사야카]]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토키와 나나카]], [[이리나 쿠슈]]☆ * [[메이플스토리]] - [[듀얼블레이드]], [[설희(메이플스토리)|설희]] ☆[* 애초에 설희 본인부터 듀얼블레이드 전직 교관이다.] * [[모탈 컴뱃 시리즈]] - [[스콜피온(모탈 컴뱃)|하사시 한조]] * [[민백두 유니버스]] - [[하종화(민백두 유니버스)]]★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시노모리 아오시]] * [[바키 시리즈]] - [[미야모토 무사시(바키 시리즈)|미야모토 무사시]] * [[블리치]] - [[쿄라쿠 슌스이]]★, [[우키타케 쥬시로]], [[쿠로사키 이치고]]☆★[* 니마이야에 의해 진정한 참월로 다시 태어날때 장도와 단도로 태어났으며 형태마저 다르다.] * [[비탄의 아리아]] - [[칸자키 홈즈 아리아]]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시리즈]] - [[다이바 나나]] * [[소드 아트 온라인]] -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 1부에서는 일루시데이터와 다크 리펄서를 사용했고, 3부 외전에선 유니티 워크스와 디비네이션을 사용하다가, 성검 엑스캘리버를 얻은 뒤에는 디비네이션 대신 사용하며, 4부에선 [[청장미검]]과 밤하늘검의 이도류를 사용한다.], [[레인(소드 아트 온라인)|레인]] * [[슈퍼전대 시리즈]] * [[과학전대 다이나맨]] - [[단 호쿠토]]★ *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호노 리키]]☆ * [[공룡전대 쥬레인저]] - [[게키(공룡전대 쥬레인저)|게키]]☆[* 암드 티라노 레인저 한정.]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천화성 료]]★ * [[초력전대 오레인저]] - [[오블로커]] * [[격주전대 카레인저]] - [[진나이 쿄스케]]☆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시바 타케루]], [[다이카이오]][* 미나미(남) 모드 한정,], [[다이카이 신켄오]] * [[해적전대 고카이저]] - [[조 깁켄]], [[고카이오]] * [[수전전대 쿄류저]] - [[릿푸칸 소우지]]☆ [* 자크도르 슬레셔와 가브리칼리버를 사용했으나 [[현신 토린]]에게 무기인 페더 엣지를 받아 가브리칼리버와 페더 엣지로 이도류를 구사한다.]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돈 오니타이진]], [[블랙 오니타이진 무라사메]], [[소노니]] * [[임금님전대 킹오저]] - [[기라]]☆[* 킹스 웨폰의 다른 형태의 검 모드가 있다. 다만 기라 본인은 킹스 웨폰은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은 오저 크라운 랜스를 사용한다.], [[고마 로자리아]]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 [[늑대(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늑대]][* 늑대가 사용하는 칼은 타도 '''[[쿠사비마루]]''', 대태도 '''[[불사베기]]''', 닌자 의수에 장착된 소태도 '''[[사비마루]]'''로 총 세 자루지만, 불사베기는 오의를 사용하거나 불사인 상대를 마무리 인살할 때를 제외하면 뽑지 않아 삼도류는 볼 수 없다. 일반적으로는 쿠사비마루 한 자루만 사용하나, 닌자 의수에 장착된 독검 사비마루를 꺼내 이도류를 사용하기도 한다.] * [[스타 오션]] - [[피아 멜]] * [[스타워즈]] - [[아소카 타노]], [[그리버스]][* 이쪽은 사도류도 겸한다.], [[아사즈 벤트리스]], [[다스 시디어스]] * [[신비아파트 시리즈]] - [[최강림의 어머니]] * [[원신]] - [[타르탈리아]][* 기본적으로 궁수 캐릭터이나, 모드 변경으로 이도류로 전환할 수 있다.], [[알하이탐]][* 강공격 사용 시, 별도의 검 하나를 소환해서 같이 휘두른다.] * [[원피스]] - [[롤로노아 조로]][* 유년시절에는 이도류였으며, [[쿠이나]]의 죽음 이후 삼도류가 되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칼 하나를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이도류를 사용하는 기술도 갖추고 있다.], [[비스타(원피스)|비스타]], [[아트모스(원피스)|아트모스]], [[코즈키 오뎅]] * [[용사다 시리즈]] - [[미요시 카린]], [[쿠스노키 메부키]] * [[은혼]] - [[사이토 시마루]] * [[진격의 거인]] - [[병단(진격의 거인)|병단]]의 병사들 * [[철권 시리즈]] - 2대 [[쿠니미츠]]★ * [[트릭컬 리바이브]] - [[티그]] * [[휴먼버그대학교]] - [[무구루마 켄신]], [[사카키바라 아마네]] * [[Fate 시리즈]] - [[에미야 시로]], [[에미야|아처]], [[디어뮈드 오 디나(Fate 시리즈)|디어뮈드 오 디나]], [[미야모토 무사시(Fate 시리즈)|미야모토 무사시]], [[미야모토 이오리(Fate 시리즈)|미야모토 이오리]] === 관련 항목 === * [[격투기 무술 관련 정보]] * [[이천일류|니텐이치류]] * [[미야모토 무사시]] * [[쌍검]] * [[일본도]] == 스포츠계에서 쓰이는 용어 == === [[투타겸업|투수와 타자를 겸업]]하는 야구 선수 === [[일본]] 야구계에서 투타겸업 선수를 가리키는 말로, 이도류(二刀流)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투타겸업]] 참고. 대표적인 선수로는 [[오타니 쇼헤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오타니 쇼헤이의 등장 이후 본격적으로 언론에서 쓰이기 시작한 표현이고, 일본에서도 원래 60~80년대까지 야구 관련 매체에서 [[스위치 히터]]에 대한 비유적 표현으로 간간히 쓰인 바 있으나, 역시 오타니의 등장 이전까지는 사어화되었던 표현이다. 현 시점에서 이 뜻으로 쓰일 땐 아직까지 오타니 쇼헤이 한 명만을 가리킨다. === 미식축구와 야구를 겸업하는 선수 === [[NFL]]과 [[MLB]]가 서로 시즌이 겹치지 않다보니 양 리그를 왔다갔다하며 [[투잡]]을 뛴 선수들이 몇명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디온 샌더스]]나 [[보 잭슨]]이 있었다.[* NFL 개막이 보통 9월초에 시작되는데, 9월이면 야구는 포스트시즌 진출팀을 제외하면 사실상 한 시즌이 끝나거나 막바지에 돌입한다, 한편 그렇기 때문에 투잡을 뛰는 선수가 한 시즌에 야구와 미식축구에서 같이 우승하는 사례는 없다.] == 양성애자를 뜻하는 은어 == [[바이섹슈얼|양성애자]]를 뜻하는 [[은어(언어학)|은어]]로 쓰기도 한다. 말그대로 성적취향에 있어 남성, 여성을 가리지 않는 타입, 쉽게 말해서 [[바이]]다. 간혹 [[양손의 꽃]]과 혼동하는 케이스가 있지만 엄밀히 말해 전혀 다른 표현이다. --물건이 두개 있다는 뜻이 아니고-- --이걸로 오타니를 음해하기도 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일본 검술]][[분류:야구 용어]][[분류:스포츠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