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이라크)] [include(틀:서아시아의 경제)] [include(틀:이라크 관련 문서)] [[파일:Baghdad.jpg]] [[파일:이라크 술라이마니야.jpg]] [[파일:Erbil.jpg]] [목차] == 개요 == [[2012년]] 기준 이라크의 1인당 [[GDP]]는 IMF에 의하면 6,305 달러로 [[중국]]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전체 GDP는 2,125억 달러로 세계 46위의 규모였다. 1인당 GDP만 보면 적당히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산유국이기 때문에 가능한 수치였다. 2011년 기준으로 GDP의 60.5%는 2차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상당한 비중은 석유 산업이다. 이라크의 석유 매장량은 2011년 기준 세계 4위였으며, 또한 2013년 기준 세계 7위의 석유 생산국이었다. 그래도 2008년 이후 경제상황이 좀 나아지면서 전쟁 피해를 석유자금으로 복구해 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2016년 유가 폭락 및 [[ISIL]]의 난동으로 국토의 거의 절반 이상이 전쟁터가 되어 갈려나가면서 GDP가 4,100달러 선으로 크게 떨어지고 특히 북부 지역은 내전으로 완전히 초토화됨에 따라 국가 경제가 [[알제리]] 수준이 되었다. 알제리처럼 분배라도 잘 되는 것도 아니라서[* 이라크 인구 60%인 시아파와 20%인 수니파가 전혀 융화가 안 되는 상황에서 분배가 제대로 되면 그게 이상할 수도 있다.] 2020년 이라크 국민 4천만명 가운데 60%가 하루 6달러 미만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아랍 국가끼리 비교해보자면 [[이집트]]보다는 낫지만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보다는 생활 수준이 낮은 편인데 이집트가 거의 막장 수준의 경제 상황을 보여주고 있고, 모로코나 튀니지는 산유국이 아니라는 걸 생각하면 산유국이라도 꼭 잘사는 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생활 수준과 경제력은 꾸준히 성장하는 중이라는 것과, 역시 산유국은 산유국인지라 피해 복구가 빠르다는 것. 2008년 기준으로 취업 인구의 21.6%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북부는 강을 이용한 천수 경작이 가능하나 자급자족 형태의 농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남부는 강수량이 적어서 [[관개]]농업에 의지하고 있다. 주요 생산물은 [[보리]], [[밀]], [[쌀]], [[콩]]류, [[아마]], [[대추야자]] 등이다. 이외에도 [[야채]], [[목화]], [[담배]] 등이 생산된다. 물론 [[이라크 내전]] 전 수치이나 2020년 시점에는 내전이 종식되고 인프라가 어느 정도 재건된 뒤이므로 이 비율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6835&mobile&categoryId=200000188|참조]].] [[터키]]의 댐 건설과 가뭄 등으로 인해 강의 유량이 줄어들고 오염이 심해지면서 농업에 타격을 입지만 그래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후예 아니랄까봐 중동에서 중간 이상은 되는 농업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라크의 석유개발은 [[1927년]]에 북부에서 발견된 [[키르쿠크]] 유전 지대에서 시작되었다. 석유개발은 서방세계의 자본으로 구성된 ''''이라크석유회사(IPC)''''가 독점하고 있었으나 [[1961년]] 이라크 정부에 대부분 몰수되었다. 이라크는 [[1964년]]에는 ''''이라크국영석유회사(INOC)''''를 설립하여 자주적 석유 개발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후 [[1972년]] 이라크는 ''''이라크석유회사''''를 국유화한다. 공업은 간단한 재래방식의 경공업과 복잡한 석유정제, 철강, 기계, 시멘트 등의 중화학 공업이 존재한다. 농업치수화, 농업기계화, [[농업]]근대화도 상당히 진척되었으며[* 그러나 [[쿠르드족]]이 사는 북부 산악지대에서는 아직도 중세시대와 크게 다름없는 재래식 농업이 이루어진다.] [[치수]]사업과 수자원 개발도 어느 정도 진척된 상황이다. 이라크 석유회사 국유화 이후로는 이라크는 한 동안 잘나가는 나라가 되어 1인당 GDP는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도달해서 1980년 기준으로 1인당 GDP가 3911달러로 스페인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란-이라크 전쟁]] 및 [[걸프전]], [[이라크전]] 등으로 인해 기존의 인프라 대부분이 리셋되었고, 미군이 재건에 들어갔지만 내부 혼란으로 인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사회가 안정화되기만 하면 오일머니를 배경으로 재건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누리 알 말리키|알 말리키]] 정부의 연이은 실책으로 나라 전체가 종파전쟁에 휩쓸린데다 시리아 내전을 계기로 외부 무자헤딘들까지 유입되면서 재건은 중동 전역이 한번 피바다를 이루고 혼란이 종식된 뒤에나 가능할 전망. 그래도 시아파 정부가 민심 안정화를 위해 뿌리는 돈이 있어서 극단적인 빈곤 상태는 아니다. 하지만 내전으로 인해 경제가 발전을 못하다보니 빈곤한 국가인것은 맞다. 특히 이라크인 대부분이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게다가 다른 중동의 산유국들처럼 저유가로 인해 경제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중동의 재앙인 사막화로 인한 물부족까지 심해지고 있다. 그나마 이 상황에서 또 국민들이 총들고 일어나지 않는 건 군과 경찰이 붕괴되면 [[ISIL]]같은 집단이 또 일어나서 나라를 지옥도로 만들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 실제로 내전 종식 이후 이라크는 상당 기간 안정이 유지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사실상 혼합체제에 가깝긴 하지만 절차적 민주주의가 그럭저럭 돌아가고는 있다. 2018년부터 2년간 진행된 정권규탄시위도 사실 내전 이전이었으면 총들고 폭동 벌였을 가능성이 높은데, 어찌됐건 ISIL의 난동을 계기로 이라크인들은 총 들어야 할 때와 들면 안되는 때를 구분은 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경제상황이 여전히 나쁜데 빈부격차와 실업률이 매우 높아서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전력 부족이 심각하여 단전사태가 자주 발생되고 사막화로 인해 갈수록 농업이 어려워지고[* 2018년부터는 정부에서 물부족이 우려가 되어 아예 물이 많이 드는 작물인 곡물들에 대한 농사를 금지할 정도다.[[https://www.krei.re.kr/wldagr/selectBbsNttView.do?key=162&bbsNo=66&nttNo=126839&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마실 물까지도 부족한 상황에서 기온이 50도(!)까지 올라가 열사병으로 죽는 사람이 속출할 지경이 된다. 결국 견디다 못한 국민들이 폭발하여 2018년 7월 5일부터 [[바스라]]에서는 항의시위가 벌어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204638|#]] 그리고 민생고로 인해 반이란 시위가 일어났고 이과정에서 이란 영사관이 공격당하고 시위과정에서 [[미아 칼리파]](!)가[* 포르노 배우. 성에 폐쇄적인 이슬람권에서 포르노가 어떤 대우를 받는가를 생각해보면 이건 정치인들을 인간쓰레기로 묘사한 것이나 다름없다.] 더 낫다는 항의시위까지 일어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329880|#]] 시위는 2년 내내 벌어지다가 2020년에 이르러 [[코로나 19]] 감염이 속출하면서 좀 줄어든 상황이다. 이라크가 아랍에미리트와 신재생에너지 생산 합의서에 서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571269|#]] 관광업의 경우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터전이었던 곳이라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고 많은 유적이 있는데다 [[바그다드]], [[사마라(이라크)|사마라]]처럼 이슬람 제국의 수도였던 도시들도 있는만큼 관광업에서 잠재력이 크지만 전쟁과 테러 단체들이 판을 친 이후부터는 정세가 혼란스러워져 많은 나라들이 이라크를 여행금지국가로 지정하면서 관광업이 성행하지 못했었다. 그래도 현재는 테러 단체들도 거의 축출되었고 내전도 사실상 종식되어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상황이라 머지 않아 관광업도 발전할 가능성은 있다.[* 다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이라크가 여행금지국가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되기 전까지는 방문할 수 없다.] == 산업 구조[*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Iraq|참조]].] == === [[GDP]] 구조 === |||| [[2017년]] 이라크의 GDP 구조 || ||[[농업]] ||3.3% || ||[[공업]] ||51% || ||[[서비스]] 산업 ||45.8% || === 노동력 구조 === |||| [[2019년]] 이라크의 노동력이 각 산업에서 투입되는 비중 || ||[[농업]] ||18.27% || ||[[공업]] ||22.93% || ||[[서비스]] 산업 ||58.8% || == [[무역]] 구조 == || [[파일:2021년 이라크 수출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이라크의 수출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irq/all/show/2021/|#]] {{{-1 위 트리맵은 2021년 이라크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이라크는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AA7329 금속류(Metal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2E97FF 기계류(Machine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A0D447 식품류(Foodstuff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9C9FB2 기타(Miscellaneou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이라크는 2021년 825억 달러를 수출했다.}}} || || [[파일:2021년 이라크 수입 HS17_4 OEC.png|width=100%]] || || '''OEC에 따른 2021년 이라크의 수입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irq/all/show/2021/|#]] {{{-1 위 트리맵은 2021년 이라크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이라크는 {{{#2E97FF 기계류(Machines)}}},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A0D447 식품류(Foodstuff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AA7329 금속류(Metals)}}},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9C9FB2 기타(Miscellaneou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9CF2CF 무기류(Weapon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이라크는 2021년 521억 달러를 수입했다.}}} || OEC에 따르면 2021년 이라크는 825억 달러를 수출하고 521억 달러를 수입, 30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로 이 상품군은 전체 수출의 88.7%를 차지했다. 특히 원유(Crude Petroleum), 정제유(Refined Petroleum)가 각각 88.9%, 6.75%를 차지하여 석유 부문에 극심히 의존하고 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기계류, 광물제품류, 식품류, 수송수단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0.3%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 [[인도]], [[UAE]], [[한국]], [[튀르키예]], [[그리스]]이다. === 주요 [[수출]] 지역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2006Iraqi_exports.png|width=600]] || || ※ [[2006년]], 이라크의 주요 수출 지역 || |||| [[2019년]] 이라크의 국가별 수출 비중 || ||[[중국]]||25.9% || ||[[인도]] ||24.2% || ||[[미국]] ||7.79%|| ||[[대한민국]] ||8.69%|| ||[[이탈리아]] ||5.83%|| ||[[그리스]] ||5.61% || === 주요 [[수입]] 지역 === |||| [[2019년]] 이라크의 국가별 수입 비중 || ||[[아랍에미리트]]||27.6% || ||[[터키]] ||20.6% || ||[[중국]] ||19%|| ||[[인도]] ||4.06%|| ||[[대한민국]] ||3.91%|| ||[[미국]] ||2.43% || == 관련 문서 == * [[국력]] * [[경제학]] [각주] [[분류:서아시아의 경제]][[분류:이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