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펠릭스 유수포프 공비[br]{{{+1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로마노바}}}[br]Княгиня Ири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России'''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ss Irina Alexandrovna of Russia_.jpg|width=100%]]}}} || || '''이름'''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로마노바[br](Ири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Романова)|| || '''출생''' ||[[1895년]] [[7월 15일]][br][[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테르고프 알렉산드리아 궁전|| || '''사망''' ||[[1970년]] [[2월 26일]] (향년 74세)[br][[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배우자''' ||[[펠릭스 유수포프]] ,,(1914년 결혼 / 1967년 사망),,|| || '''자녀''' ||이리나|| || '''아버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 || '''어머니'''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 '''형제''' ||안드레이, 표도르, 니키타, 드미트리, 로스티슬라프, 바실리||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과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의 고명딸이자, [[펠릭스 유수포프]]의 아내.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조카이다. == 생애 == === 어린 시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0109-1329736730.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ced62dcad2a51d903a196219918da0c.jpg|width=100%]]}}} || ||<-2><#E8DCC8> '''어린 시절''' || [[1895년]] [[7월 15일]] [[러시아 제국|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같은 해 7월 24일에 세례를 받았고 대부모는 외삼촌 [[니콜라이 2세]]와 외숙모 [[헤센의 알릭스]]였다. 아버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은 [[니콜라이 1세]]의 손자고, 어머니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의 장녀로 이리나는 친가와 외가 모두 러시아 황족이었다. 니콜라이 2세의 자녀들인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올가 여대공]], [[타티아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타티아나 여대공]]과도 친했다고 한다. 다만 이리나는 친가 쪽으로는 차르의 증손녀였기 때문에 여대공(Grand Duchess)이 아닌 공녀(Princess)로 불렸다. 아버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의 정치적 문제로 어린 시절을 대부분 남프랑스에서 보냈다. 이리나는 프랑스식 이름인 이렌느로 자주 불렸으며, [[러시아어]]보다 [[프랑스어]]와 [[영어]]를 더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0142-1329736790.jpg|width=100%]]}}} || ||<#E8DCC8> '''가족 사진''' || 이리나를 포함한 자녀를 7명이나 낳았음에도,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알렉산드르 대공]]과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크세니야 대공비]]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두 사람은 서로 정부를 두고 맞바람을 피웠다. 다만 아이들에게는 불행한 결혼생활을 숨기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이리나는 나름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낼 수 있었다. === 결혼 === 1913년, 이리나는 당대 최고 부자 중 한명이었던 [[펠릭스 유수포프]]와 혼담이 오갔다. 펠릭스는 [[양성애자]]라는 소문도 있었고 [[여장]]을 하는 등, 사교계에서 여러 스캔들을 일으켰지만 신앙심이 깊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청년이었다. 결혼 생활에 확신이 없었던 펠릭스는 잠시 망설이기도 하였으나 아름다운 이리나를 보자마자 첫눈에 반해버렸다. 그러나 이리나의 부모인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알렉산드르 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크세니야 여대공]]과 외할머니 [[덴마크의 다우마|마리야 표도로브나 황태후]]는 결혼을 반대했다.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가 이리나의 5촌 당숙인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1891~1942, [[알렉산드르 2세]]의 6남 파벨 대공(1860~1919)의 장남이다. 파벨 대공의 부인 알렉산드라 대공비(1870~1891)가 황태후의 둘째 오빠 [[요르요스 1세]]의 장녀이기 때문에 둘은 6촌이기도 하다. 그리고 요르요스 1세의 부인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올가 왕비]]도 로마노프 왕가 출신이라 이쪽으로도 친척이 된다.]과 연인 관계라는 소문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펠릭스는 이리나의 가족들을 설득하여 1914년 2월 성대한 결혼식을 올릴 수 있었다. 펠릭스는 재산이 매우 많았지만 통치 가문 출신이 아닌 러시아의 귀족이었기 때문에, 이리나는 황위에 대한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0c507a459521460b0fa871b564085666_f752c823_1280.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ina wedding.jpg|width=100%]]}}} || ||<-2><#E8DCC8> '''결혼 사진''' || === 제1차 세계대전 === 결혼 후 신혼여행을 하던 중,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와 이리나는 독일에 억류당했다. 이리나는 고종사촌이자 [[독일 제국]]의 황태자비인 [[체칠리에 아우구스테 마리|체칠리에]]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하였으나 [[빌헬름 2세]]는 그들이 러시아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펠릭스의 아버지의 도움으로 중립국인 [[덴마크]]와 [[핀란드]]를 통해 간신히 돌아올 수 있었다. 러시아로 돌아온 후에도 외아들은 군대에 가지 않아도 된다는 법을 이용하여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는 전쟁터에 나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이리나의 외사촌인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은 펠릭스를 비난하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cfe5c74b1c2c80516965d1a039f4d09.jpg|width=100%]]}}} || ||<#E8DCC8> '''딸 이리나와 함께''' || 결혼한 지 1년이 지난 1915년 3월 21일, 유일한 딸 이리나 펠릭소브나 유수포바가 태어났다. 애칭은 베베(Bebé). 이리나가 자신의 이름을 좋아해서 딸에게도 똑같은 이름을 지어줬다고 한다. === [[그리고리 라스푸틴]]의 처단 === 당시 러시아 사회에서는 [[니콜라이 2세]]와 [[헤센의 알릭스|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그리고리 라스푸틴]]을 제거해야 한다는 여론이 만연했다. [[펠릭스 유수포프]]와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역시 라스푸틴이 나라를 파괴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라스푸틴을 죽이기로 결정했다. 펠릭스는 라스푸틴의 신뢰를 얻기 위해 라스푸틴을 자주 찾아갔다. 1916년 12월 30일 밤, 펠릭스는 [[그리고리 라스푸틴|라스푸틴]]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했다. 펠릭스는 아름다운 이리나에게 관심을 보였던 라스푸틴에게 그녀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했다. 정작 이때 이리나는 집에 없었고 크림 반도에 있었다고 한다. 결국 펠릭스와 드미트리 대공의 계획은 성공했고 그날 밤 라스푸틴은 살해당했다. 그러나 이에 매우 분노한 [[니콜라이 2세]]는 펠릭스와 드미트리 대공을 유배보냈다. === 망명과 사망 === 1917년 3월 19일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그의 가족들은 모두 [[볼셰비키]]에 체포됐다. 다음 해인 1918년 니콜라이 2세와 [[헤센의 알릭스|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를 비롯한 여러 러시아 황족들이 처형당했지만 이리나와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는 유배중이었기 때문에 처형을 피할 수 있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In_exile_Irina_and_Felix.jpg|width=100%]]}}} || ||<#E8DCC8> '''망명 중의 이리나와 펠릭스''' || 이리나와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는 잠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집으로 돌아와 보석들과 [[렘브란트]]의 그림을 챙겨 급히 [[크림 반도]]로 떠났다. 그리고 [[몰타]]와 [[영국]]을 거쳐 [[파리(프랑스)|파리]]에 정착했다. 이리나는 [[파리(프랑스)|파리]]에서 패션 사업을 벌이고 여러 자선활동을 했지만, 시간이 흐르자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말았다. 결국 딸 이리나는 9살이 될 때까지 친조부모 밑에서 자랐다. 주로 유모 밑에서 자랐던 이리나와 [[펠릭스 유수포프|펠릭스]]는 딸을 직접 기르는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딸 이리나 유수포바는 아버지와는 가까운 사이였지만 어머니는 어려워했다고 한다. 이리나와 펠릭스는 행복한 여생을 보냈으며 1967년 펠릭스가 사망했을 때 이리나는 큰 슬픔에 잠겼다. 그리고 3년 뒤인 1970년 2월 26일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서 눈을 감았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러시아 제국|러시아]]의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공녀[br]{{{-2 (Princess Irina Alexandrovna of Russia)}}} ||<|6>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br]{{{-2 (Grand Duke Alexander Mikhailovich of Russia)}}} ||<|3>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의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 Michael Nikolaevich of Russia)}}} || || [[니콜라이 1세]][br]{{{-2 (Nicholas I)}}} || || [[프로이센의 샤를로테|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장녀다.][br]{{{-2 (Princess Charlotte of Prussia)}}} || ||<|3> [[바덴의 체칠리에|바덴의 체칠리에 공녀]][br]{{{-2 (Princess Cecilie of Baden)}}} || || [[레오폴트(바덴)|바덴 대공 레오폴트]][br]{{{-2 (Leopold, Grand Duke of Baden)}}} || || [[스웨덴의 소피아|스웨덴의 소피아 공주]][* [[구스타브 4세 아돌프]]의 장녀다.][br]{{{-2 (Princess Sophie of Sweden)}}} || ||<|7>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 Xenia Alexandrovna of Russia)}}} || ||<|3> [[알렉산드르 3세]][br]{{{-2 (Alexander III)}}} || || [[알렉산드르 2세]][br]{{{-2 (Alexander II)}}} || || [[헤센의 마리|헤센의 마리 공녀]][br]{{{-2 (Princess Marie of Hesse and by Rhine)}}} || ||<|3> [[덴마크의 다우마|덴마크의 다우마 공주]][br]{{{-2 (Princess Dagmar of Denmark)}}} || ||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이리나 펠릭소브나 셰레메테바 백작부인[br]{{{-2 (Countess Irina Felixovna Sheremeteva)}}} || [[1915년]] [[3월 21일]] || [[1983년]] [[8월 30일]] || 니콜라이 드미트리비치 셰레메테프 백작[br]슬하 1녀 || [[분류:1895년 출생]][[분류:1970년 사망]][[분류:러시아 황족]][[분류: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