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이마 베프}}}''' (1996)[br]''Irma Ve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마 베프.jpg|width=100%]]}}} || || '''장르''' ||[[블랙 코미디]], [[드라마]] || || '''감독''' ||<|2>[[올리비에 아사야스]] || || '''각본''' || || '''제작''' ||조지 베냐옹|| || '''기획''' ||프랑소아즈 구글리엘미 || || '''출연''' ||[[장만옥]], [[장피에르 레오]] ,,외,, || || '''음악''' ||필립 리처드 || || '''촬영''' ||에릭 고티에 || || '''편집''' ||루크 바니어 || || '''미술''' ||프랑수아즈 클라벨 || ||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Dacia Films || ||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Haut et Court[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무비다이브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퍼스트런]] || ||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96년]] [[11월 1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9년]] [[4월 16일]](걸작단편 필름페스티벌)[* 4월 9일부터 16일까지 코아아트홀에서 진행한 프랑스 영화 중심의 영화제. 이마 베프는 마지막 날 폐막작으로 상영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40700289120003&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9-04-07&officeId=00028&pageNo=20&printNo=3470&publishType=0001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1일]]|| || '''상영 시간''' ||98분 (1시간 38분) || || '''제작비''' ||140만 유로[* [[https://www.jpbox-office.com/fichfilm.php?id=11242|출처]]] || || '''북미 박스오피스''' ||$282,310 || || '''월드 박스오피스''' || || || '''총 관객수''' || || || '''[[영상물 등급 제도|{{{#d20403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코미디 영화. [[루이 푀이야드]]의 [[흡혈귀단|뱀파이어]] 및 등장인물 [[이마 베프]]를 모티브로 삼은 영화다. [[1996년]] [[제49회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작. 국내에서는 코아아트홀에서 개봉 후 비디오로 출시했다가 2023년 재개봉한다. 이 영화로 인해 [[올리비에 아사야스]]랑 [[장만옥]]은 결혼 생활을 했으나 금세 이혼했다. == 시놉시스 == >우리가 드디어 목격할 단 하나의 순수한 시네마적 축복! > >점차 쇠락해가는 프랑스 영화 감독 ‘르네 비달’은 >고전 명작 <뱀파이어>를 리메이크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홍콩 여배우 ‘장만옥’을 뱀파이어 집단의 우두머리 ‘이마 베프’역으로 캐스팅한다. > >그러나 파리에 도착한 그녀를 기다리는 건 >창작의 활기가 사라진 썰렁한 현장과 불편한 의상, >그리고 지친 기색을 감추지 않는 감독뿐. > >결국 막다른 골목에 놓인 <이마 베프>는 >완성을 눈 앞에 두고 길을 잃게 되는데…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24416#|다음영화]]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PnjhhXn7ZM)]}}} || == 등장인물 == * [[장만옥]]: 장만옥 홍콩의 여배우. 그녀의 작품에 감명을 받은 프랑스 감독 르네 비달로부터 루이 푀이야드의 [[흡혈귀단]]의 리메이크작 주인공 이마 베프 역으로 낙점되어 프랑스로 건너온다. * [[장피에르 레오]]: 르네 비달 * 나탈리 리샤르: 조에 * 앙뜨완느 바슬레르: 저널리스트 * 나탈리 부테푸: 로레 * 알렉스 데스카스: 데소르모 * 도미니크 파이스: 마이테 * 아르시네 칸지안 * 자크 피쉬 * 루 카스텔 * 베르나르 니실 * 에스텔르 라리바즈 * 뷜 오지에 * 피에르 암잘라그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irma-vep, critic=80, user=4.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irma_vep, tomato=94, popcorn=71)]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 user=3.9)]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 presse=,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 user=3.5)]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 user=3.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light=)]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 expert=, audience=, user=)]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 user=)] [include(틀:평가/CGV, code=, egg=)]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MRQE,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 user=)]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 user=)] >'''요염한 장만옥이 주연을 맡은 이마 베프는 영화에 대한 애정으로 만들어진 영화 제작에 관한 반사적인 풍자입니다.''' >---- >[[로튼 토마토]] >[[이동진]] - (★★★★☆) >'''예술의 얼굴이자 산업의 속살''' >---- > [[박평식]] (★★★☆) >'''감독과 배우는 이후 많이 변했지만, 영화의 매혹은 그대로'''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예술과 산업. 절충의 교차로에서 영화로 살기를 결심하다''' >---- > [[송경원]] (★★★★) >'''영화의 유령에 빙의 혹은 동행하려는 중독적 움직임''' >---- > [[김소미]] (★★★★☆) >'''이마 베프를 연기하는 장만옥을 연기하는 장만옥''' >---- > 소은성 (★★★☆) >'''영화의 모든 것을 경쾌하게 미행하는 절묘한 언메이킹 필름'''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 [[이마 베프(드라마)|리메이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마 베프(드라마))] 2022년, [[HBO]]에서 [[알리시아 비칸데르]]를 주연으로 하여 리메이크 하여 드라마로 방영하였다. [[분류:1996년 영화]][[분류:프랑스의 코미디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영화를 소재로 한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