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 관련 인물(NPB)]] [include(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간략(투수))] ---- ||
'''{{{#ffffff 이마이 타츠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라운드 지명선수)] ----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c7bc69 '''우승반지'''}}}''' || || '''[[2023 APBC|{{{#FFFFFF 2023}}}]]'''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1번}}}''' || || [[키시 타카유키]][br](2007~2016) || {{{+1 →}}} || '''{{{#fff 이마이 타츠야[br](2017~2022)}}}''' || {{{+1 →}}} || [[우에다 타이가]][br](2024~)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48번}}}''' || || [[타케쿠마 쇼타]][br](2008~2022) || {{{+1 →}}} || '''{{{#000 이마이 타츠야[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마이타츠야.jpg|width=100%]]}}} || ||<-2>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No.48}}}''' || ||||<:><#00bfff> '''{{{#000 이마이 타츠야 [br] 今井 達也 / Imai Tatsuya }}}''' || ||<:> '''생년월일''' ||[[1998년]] [[5월 9일]] ([age(1998-05-0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도치기현]] [[카누마시]] ||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 '''출신학교''' ||사쿠신가쿠인고등학교(作新学院高等学校) || ||<:> '''체격''' ||180cm, 70kg || ||<:> '''프로입단''' ||2016년 신인 드래프트 1순위(세이부) || ||<:> '''소속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17~)''' || ||<:> '''후원사''' ||[[미즈노(브랜드)|미즈노]][* 미즈노 재팬 후원] || ||<:> '''등장곡''' ||Naoto Kitkat - Life pallet[* 과거 팀동료였던 타케쿠마 쇼타의 등장곡이다.] || ||<:> '''연봉''' ||2024 / ¥80,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소속의 우완투수. 2021년부터 [[타카하시 코나]]와 함께 팀의 주축 선발투수로 뛰고 있다.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西武今井.jpg|width=100%]]}}} || || '''{{{#fff 이마이 타츠야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 '''통합 선수 경력'''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3D69 100%)" '''[[파일:NPB 로고.svg|width=40]]'''}}} ||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1|'''{{{#ffffff 2017년}}}''']]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2|'''{{{#ffffff 2018년}}}''']]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3|'''{{{#ffffff 2019년}}}''']]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4|'''{{{#ffffff 2020년}}}''']] || || [[이마이 타츠아/선수 경력#s-2.1.5|'''{{{#ffffff 2021년}}}''']]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6|'''{{{#ffffff 2022년}}}''']]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2.1.7|'''{{{#ffffff 2023년}}}''']] || || ||<-4>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60]]]] || ||<-4>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s-3.1|'''{{{#ffffff 2023년}}}''']]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쓰리쿼터]]로 나오는 폼에 평균구속 150km/h, 최고구속 159km/h[* 2021년 4월 21일 기록]를 기록한 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등의 변화구를 던진다. 2021년부터는 팀동료 [[타이라 카이마]]로부터 어드바이스를 받아 커터를 더했다. 그러나 최대 단점은 역시나 제구로 고등학교 시절부터 제구난조에 시달렸는데, 2학년 여름 고시엔에서 엔트리 탈락한 이후로 런닝, 코어 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등의 메뉴를 스스로 생각하면서 훈련했고, 3학년 연습 시합에서는 감독으로부터 「140KM/h 이상 금지」, 「80%의 힘으로 던지기」라는 2개의 과제를 받았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구속과 제구력이 향상하며 여름 고시엔의 우승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이마이 본인도 "경기가 계속됨에 따라 폼이 옆으로 흔들리고 슈트성으로 회전하는 공이 많았다"고 말한 것처럼, 고시엔 막판에서는 피로로 퍼포먼스가 떨어졌고, U-18 대표에서도 제구난의 문제를 겪었다. 프로에 들어간 후에는 제구난조를 극복하기 위해 등번호 전임자 [[키시 타카유키]]와 [[다르빗슈 유]]의 투구 폼을 참고하고 있지만 2022년까지 9이닝당 볼넷비율이 5.3으로 좋은 편은 아니다. == 여담 == * 고등학교 3학년 여름 고시엔 때 그해 4월에 할아버지가 돌아가셔서 할아버지의 유골이 담긴 목걸이를 걸고 대회에 나갔다. * 2021년을 뜨겁게 달군 [[팀킬|움짤]] 투수가 이 투수이다.[[https://m.dcinside.com/board/npb/30584|#]] * 2022년 [[타이라 카이마]]의 게임 스트리밍 채널에 게스트로 출현했다. 둘이 같이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2]]를 했는데 처음엔 영관나인을 하다가 1대1을 했다. * 2021시즌부터 팀 동료 [[타카하시 코나]]랑 같이 머리를 기르고 있다. * [[오릭스 버팔로즈]] 좌완투수 [[타지마 다이키]]랑 같이 21시즌부터 라쿠텐상대로 꽤나 강한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게 어떠냐면 라쿠텐전 7경기 등판해서 7승을 기록한것도 모자라 자책점이 아예없다. 그만큼 꽤나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 前세이부, 現세이부 육성그룹겸 세이부 부기숙장인 [[타케쿠마 쇼타]]를 존경한다. 이에 2022시즌후 타케쿠마가 은퇴를하자 공석이된 등번호 48번을 이어받은데다 2023시즌중에 등장곡도 아예 타케쿠마가 썼던 등장곡을 변경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4>
{{{#ffffff 역대 기록(NPB)}}} || || {{{#000 년도}}} || {{{#000 소속팀}}} || {{{#000 경기수}}} || {{{#000 승}}} || {{{#000 패}}} || {{{#000 세}}} || {{{#000 홀}}} || {{{#000 이닝 }}} || {{{#000 ERA}}} || {{{#000 피안타}}} || {{{#000 피홈런}}} || {{{#000 사사구}}} || {{{#000 탈삼진}}} || {{{#000 WHIP }}} || || 2017 ||<|7>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16> 1군 기록 없음 || || 2018 || 15 || 5 || 5 || 0 || 0 || 78.2 || 4.81 || 74 || 11 || 41 || 65 || 1.39 || || 2019 || 23 || 7 || 9 || 0 || 0 || 135.1 || 4.32 || 127 || 16 || 77 || 105 || 1.47 || || 2020 || 19 || 3 || 4 || 0 || 0 || 61.2 || 6.13 || 72 || 5 || 57 || 44 || 2.01 || || 2021 || 25 || 8 || 8 || 0 || 0 || 158.1 || 3.30 || 123 || 15 || '''99''' || 137 || 1.40 || || 2022 || 9 || 5 || 1 || 0 || 0 || 59.2 || 2.41 || 37 || 3 || 39 || 61 || 1.19 || || 2023 || 19 || 10[br](3위) || 5 || 0 || 0 || 133 || 2.30 || 87 || 11 || 69 || 130 || 1.11 || ||<-2> '''[[NPB]] 통산'''[br](7시즌) || 110 || 38 || 32 || 0 || 0 || 626.2 || 3.69 || 520 || 61 || 393 || 542 || 1.39 || == 사건 사고 == === 미성년자 시절 흡연 논란 === 2018년 1월 말에 [[토코로자와시]] 시내에서 흡연했다고 외부에서 구단에 정보가 접수되어 2월 6일 엄중주의 처분으로 5월까지 유니폼 착용 금지 및 대외 경기 출전 정지가 부과되었다. 일본은 음주와 흡연이 가능한 나이가 만 20세인데, 이때 이마이는 생일이 안 지난 바람에 만 20세가 아닌 만 19세였기에 징계를 받았다. [각주]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카누마시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우완 투수]][[분류: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