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당 추존 및 비정통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37449 0%, #a48252 20%, #a48252 80%, #937449); color: #ece5b6" '''당 추존 황제[br]{{{+1 세조 원황제 | 世祖 元皇帝}}}'''}}} || ||<|2> '''출생''' ||[[530년대]] 추정 || ||[[서위]] [[간쑤성|농서군]] [[톈수이시|성기현]][br](現 [[간쑤성]] [[톈수이시]] 친안군) || ||<|2> '''사망''' ||[[572년]] || ||[[북주]] [[시안시|장안]][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 '''능묘''' ||흥녕릉(興寧陵) || ||<|6> '''재위기간''' ||'''{{{#ece5b6 서위 농서군공(隴西郡公)}}}''' || ||[[551년]] ~ [[557년]] || ||'''{{{#ece5b6 북주 농서군공(隴西郡公)}}}''' || ||[[557년]] ~ [[564년]] || ||'''{{{#ece5b6 북주 당국공(唐國公)}}}''' || ||[[564년]] ~ [[572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이(성씨)|농서 이씨]] || || '''휘''' ||병(昞) || || '''부모''' ||부황 [[이호(서위)|태조]][br]모후 경열황후 || || '''형제자매''' ||8남 2녀 중 3남 || || '''배우자''' ||원정황후[* 원정황후 독고씨는 [[수문제]] 양견의 황후인 [[독고가라|문헌황후 독고씨]]의 넷째 언니였다. 즉, [[수양제]] 양광과 당고조 이연은 이종사촌이었다.] || || '''자녀''' ||4남 1녀 || || '''자''' ||명택(明澤) || || '''작호''' ||농서군공(隴西郡公) → 당국공(唐國公) || || '''묘호''' ||'''[[세조]](世祖)''' || || '''시호''' ||인공(仁公) → 원황제(元皇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당나라]]의 추존 황제. 당나라의 초대 황제인 [[당고조]] 이연의 아버지였다. 5호 16국 중의 하나인 [[서량]] 왕실의 후손으로 [[당태조]] 이호의 아들이었으며 당나라가 건국되고 난 후 황제로 추존되었다. == 상세 == 당태조 이호의 3남으로, 형인 이연백과 이진이 요절하자 [[551년]]에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받았다. [[북주]](北周) 시대에는 아버지의 작위인 당국공을 계승했으며 독고씨와의 사이에서 [[고조(당)|고조]](高祖) 이연, 이징(李澄), 이담(李湛), 이홍(李洪)을 낳았다. 북주가 건국된 이후 당국공(唐國公)에 봉해졌고, 안주총관과 주국대장군에 임명되었다. [[573년]]에 사망했고 당시 시호는 당인공(唐仁公)이었으나 당나라의 건국 이후 아들 [[당고조|이연]](李淵)이 그를 황제로 추존하여 묘호를 세조(世祖). 시호를 원황제(元皇帝)라고 했다. == 가족관계 == * 부황: [[태조(당)|태조]](太祖) 이호 * 세조 이병 * 양왕(梁王) 이징(李澄) * 촉왕(蜀王) 이담(李湛) * 정왕(鄭王) 이홍(李洪) * [[고조(당)|고조(高祖) 이연(李淵)]] == 둘러보기 == ||<-5> '''[[북주|{{{#fff 북주의 역대 당국공}}}]]''' || || [[이호(서위)|이호]] || {{{+1 ←}}} || '''이병''' || {{{+1 →}}} || [[고조(당)|이연]] || [각주] [[분류:572년 사망]][[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당나라의 추존 황제]][[분류: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