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이병헌(동명이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0%, #000080 20%, #000080 80%, #000080);" '''[[대한민국 국회의원|{{{#FFFFFF 대한민국 제5대 민의원}}}]][br]{{{#FFFFFF {{{+1 이병헌}}}[br]李炳憲 | Lee Byung-h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병헌(독립운동가).png|width=100%]]}}} || ||<|2> '''출생''' ||[[1896년]][* 함평이씨대동보 7권 대교공파 3쪽에는 1895년생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http://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1484&page=1|대한민국헌정회]]의 기록에는 1897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11월 20일]] || ||[[경기도]] [[수원군]] 가사면 고잔리[br](現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고잔마을 445번지)[* [[https://m.blog.naver.com/1926nh/221545379323|#]]] || ||<|2> '''사망''' ||[[1976년]] [[1월 17일]] (향년 79세) || ||[[서울특별시]] [[관악구]] [[상도동(서울)|상도동]] 197-27번지 자택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473호 || || '''본관''' ||[[함평 이씨]][* 대교공파(待敎公派) 26세 헌(憲) 항렬.] || || '''필명''' ||석운(石雲) || || '''도호''' ||오암(梧菴) || || '''학력''' ||{{{-1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 {{{-2 (졸업)}}}[br]{{{-1 [[보성전문학교]]}}} {{{-2 ([[법학|법과]] / 졸업)}}} || || '''종교''' ||[[천도교]]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5대 국회의원|'''5''']] || || '''경력''' ||[[신간회]] 경성지회 발기인 겸 총무 간사[br]천도교 부교령[br]대종사 경리[br]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서무과장[br] [[경찰인재개발원|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br] [[경찰인재개발원|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br]제5대 민의원의원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 [[정치인]]이다.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896년 11월 20일 [[경기도]] [[수원군]] 가사면 고잔리(現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고잔마을 445번지)에서 아버지 이민도(李敏道, 1851 ~ 1921. 2. 14)[* 자는 효직(孝直).]와 어머니 [[남원 양씨]](? ~ ?. 4. 7)[* 양종상(梁鍾商)의 딸이다.] 사이에서 3대 독자,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평택시에 대대로 거주하는 [[함평 이씨]] 집안의 입향조는 고려 말기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지낸 이중길(李中吉)인데, 이병헌은 이중길의 17대 종손이다. 아버지 이민도는 29세 되던 1879년 [[동학]]에 입도해 이듬해인 1880년 접주(接主)에 임명되었으며, 1893년 [[충청도]] [[보은군|보은현]](現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열린 보은 집회에 수원군 지역 동학도들을 이끌고 참여했다. 1894년 [[동학 농민 혁명]]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천도교]] 수원교구 설립에 참여해 수원교구장, [[진위군]] 현덕면 종리사 등을 지냈다. 출생 이후 16세 되던 1911년 6월 천도교 수원교구 제544 교리강습소 속성과(3개월 과정)에 입학해 졸업했고, 1912년 6월 22일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모집한 제1회 종학강습소 고등과에 입학해 6개월간 수학해 졸업했다. 1915년 4월 수원교구 현덕면 전교사에 선임되었고, 1916년 공선원, 1917년 전제원, 1918년 금융원 및 전제원 등 천도교 교역자로 활동하던 중 1919년 1월 [[손병희]]의 비서에 임명되면서 교역자 활동을 그만두었다. 이후 [[경기도]] [[경성부]] 북부 팔판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고,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했다. 한편, 1919년 1월 중순, 손병희의 부탁을 받고 비폭력, 대중화, 일원화의 독립운동 3대 원칙을 기록한 서신을 동지들에게 전달하였고, 같은 해 2월 [[천도교]] 교단으로부터 독립운동 자금 5,000원을 송금받아 [[이승훈(1864)|이승훈]]에게 전달하여 기독교계의 독립만세운동을 지원했다. 같은 달 27일, 그는 경성부 [[견지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소재 보성사(普成社)에서 [[기미독립선언서]]의 인쇄를 돕고 이를 비밀리에 천도교당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국 각지에 배부하도록 하였으며, 3월 1일 태화관(泰和館)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때 당시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한편, [[탑골공원]]에 모여든 학생 및 시민들과의 연락을 맡아 활동하였다. 또한 [[3.1 운동|당일 경성부 도심에서 벌어진 만세시위]]에 참가하였으며, 3월 5일 [[남대문역]] 앞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도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했고, 시위 뒤에 체포된 [[민족대표 33인]]의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이후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에 전조선학생대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졸업 후에는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경성법학전문학교]][* [[http://db.history.go.kr/id/im_108_02751|#]] 및 서울대인명록 확인]에 입학해 졸업하였다. 1927년 [[신간회]]가 창립되자 경성지회 발기인 겸 총무 간사로 활동하며 재정을 담당했다. 한편 [[천도교]] 교역자로서 중앙총부에서 시무를 지내는 등 천도교 청년동맹 경성지부, 개운사(開雲社) 등에서 활동하였고, 천도교 부교령(副敎領), 대종사 경리 등을 역임하였다.[[https://news.joins.com/article/1189619|#]]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의 서무과장을 지내기도 했다. 또한 [[경찰공무원]]에 입직하여 1947년 11월부터 1949년 2월까지 [[경찰인재개발원|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을 지냈으며, 교장 대리를 거쳐 1949년 2월 21일부터 1949년 7월 25일까지 [[http://www.phrdi.go.kr/hongbo/hongbo1_05a.asp|제3대]]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총경]])을 지내기도 하였다.[[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47&q_bbscttSn=1B000016814011200|#]]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도중에 후보직을 사퇴하였으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황경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에는 대한행정신문사 사장을 지냈으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정존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9년에는 시사시보사출판국에서 〈[[3.1 운동|삼일운동]]비사(三一運動秘史)〉를 발표했다. 1960년, 4번의 국회의원 도전 끝에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에는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정당]] [[유치송]]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9년에는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이라는 회고록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 여자상업고등학교를 설립하고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자로서도 활동했다. 1976년 1월 17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상도동(서울)|상도3동]][* 1980년 [[동작구]]로 이관되었다.] 197-27번지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427211#home|별세하였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본래 [[김포시]] [[풍무동]] 김포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5년 10월 1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평택군[* 제17선거구] ||<|2> [include(틀:무소속)] ||<-2> 후보 사퇴 ||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 경기 평택군[* 제16선거구] || 9,844표 (24.56%) ||<|2> 낙선 (2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0,437표 (18.92%) ||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평택군[* 제17선거구] || '''15,863표 (28.02%)''' || '''당선 (1위)''' || '''초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평택군[* 제9지역구] || [include(틀:국민의당(1963년))] || 3,634표 (6.72%) || 낙선 (4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기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평택시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1896년 출생]][[분류:1976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고려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법학전문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