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특정지방교통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일본국유철도|[[파일:JNR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일본국유철도|{{{#ffffff 일본국유철도}}}]]}}}|| ||<-2><:> {{{#c0c0c0 '''{{{+1 胆振線}}}'''[br]Iburi Line | 이부리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62e3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폐선)]|| ||<-2> [[파일:iburi.jpg|width=100%]] ---- [[키하 47형 동차]] || ||<-2><:>'''노선 정보'''|| ||<:>'''분류'''||<:>지방교통선|| ||<:>'''기점'''||<:>[[다테몬베츠역]]|| ||<:>'''종점'''||<:>[[쿳찬역]]|| ||<:>'''역 수'''||<:>21|| ||<:>'''개업일'''||<:>[[1919년]] [[11월 15일]] || ||<:>'''폐선일'''||<:>[[1986년]] [[11월 1일]] || ||<:>'''소유자'''||<|2><:>[[일본국유철도|[[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width=230]]]]|| ||<:>'''운영자'''|| ||<-2> '''노선 제원''' || ||<:>'''노선연장'''||<:>84.0km'''(본선)'''[br]7.5km'''(지선)'''|| ||<:>'''궤간'''||<:>1067mm||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비전화|| [목차] == 개요 == [[일본국유철도]]가 운영하던 지방교통선으로, 홋카이도 [[다테시(홋카이도)|다테시]]의 [[다테몬베츠역]]에서 [[무로란 본선]] 분기, 아부타군 [[쿳찬초]]의 [[쿳찬역]]에서 [[하코다테 본선]]에 접속했다. [[국철재건법]]의 제정으로 1984년 6월에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에 선정되었으며 1986년 11월에 폐선되었다. == 역사 == 본선은 [[경편철도법]]에 의해서 건설된 [[쿄고쿠역]] 이북과 사철 [[이부리 철도]]의 노선을 인수하여 건설된 [[쿄고쿠역]] 이남으로 나뉜다. 쿄고쿠 이북 구간은 [[철도부설법]] 제정 이전에 1898년 발견된 광산의 화물 수송을 목적으로 하여[[경편철도법]]에 따라 1919년에 [[쿄고쿠 경편선]]으로 개통되었다. 이남 구간은 [[쿄고쿠선]]을 연장한 형태로 [[이부리 철도]]가 건설, 1928년에 [[키모베츠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된다. 1940년에는 이부리 종관철도가 다테몬베츠-신오타키 간이 개업하고, 이듬해에는 이부리 종관철도를 인수합병한 다음 노선을 확장하여 현재의 노선망이 완성된다. 그리고 1944년에는 이부리 종관철도가 국유화되면서 쿄고쿠선이 이부리선으로 개칭된다. 그런데 6월 30일 밤 [[쇼와신산]]이 분화를 시작하면서 철도가 큰 피해를 입고 영업중지를 먹게 된다. 하지만 철광석 수송용이라는 노선의 특성상 이대로 계속 방치할 수는 없었기에 전국 각지에서 다른 철도노선의 레일을 뜯어서(...) 피해 구간의 우회 철로를 건설한다. 그리고 쇼와신산의 화산 활동이 끝날 때까지 이 작업은 계속된다. 그리고 지선이 된 쿄고쿠-와키카타 노선은 광산이 폐광되면서 수송량이 바닥을 치기 시작했고, [[적자 83선]]에 등재되면서 1970년에 폐지된다. 남아있던 본선도 1980년에 [[국철재건법]]이 통과되면서 제 2차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지정된다. 그리고 1986년 10월 31일에는 열차 운행을 중지하고 버스로 대체 수송을 시작하면서 폐선에 이르게 된다. == 운행형태 == 이부리선에는 삿포로-삿포로 간 순환선을 운행하던 급행열차 "이부리" 가 있었다. (치토세선-무로란 본선-이부리-하코다테 본선 경유) 사용되는 열차는 [[일본국유철도 키하 22형 기동차]]였다. 1962년 10월 1일 : 임시 준급행열차로 영업개시 [* 삿포로 → 쿳찬 → 다테몬베츠 → 삿포로 단독방향만 운행했다.] 1963년 10월 1일 : 정기열차화, 삿포로 → 다테몬베츠 → 쿳찬 → 삿포로 방향의 운전을 시작. [* 이 당시는 준급행열차 "에리모"(삿포로-사마니), 준급행열차 "치토세"(삿포로-무로란)와 병결해서 삿포로를 출발, 삿포로-토마코마이가 3중 병결, 토마코마이-히가시무로란이 2중 병결, 단독으로 이부리선을 통과한 뒤 굿찬-삿포로를 준급행열차 "니세코" 와 병결하는 매우 무서운(...) 운행방식을 채택하였다.] 1966년 3월 5일 : 급행으로 격상. 1967년 10월 : 쿳찬-삿포로에서 연결하는 열차가 "니세코"에서 "라이덴" 으로 변경 1980년 10월 1일 : 폐지. 정차역 : 삿포로-치토세-토마코마이-시라오이-노보리베츠-히가시무로란-모토와니시-다테몬베츠-소베츠-쿠보나이-반케이-키타유자와-신오타키-미소노-키모베츠-쿄고쿠-쿳찬-코자와-요이치-오타루-삿포로 == 역 목록 == === 본선 === * 전 구간 [[홋카이도]] 소재. * 소재지는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5><:>{{{#ffffff '''일본국유철도 이부리선 본선'''}}}|| ||<:>{{{#ffffff 역명}}}||<:>{{{#ffffff km}}}||<:>{{{#ffffff 승강장}}}||<:>{{{#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다테몬베츠역|다테몬베츠]][br]伊達紋別||<:>0.0||<:>2면 3선||¶ [[일본국유철도]] [[무로란 본선]] ||<|2><:>[[다테시]]|| ||<:>[[카미나가와역|카미나가와]][br]上長和||<:>5.1||<:>단선||<:> || ||<:>[[소베츠역|소베츠]][br]壮瞥||<:>10.3||<:>단선||<:> ||<|3><:>[[우스군]][br][[소베츠초]]|| ||<:>[[쿠보나이역|쿠보나이]][br]久保内||<:>17.1||<:>상대식||<:> || ||<:>[[반케이역|반케이]][br]蟠渓||<:>23.1||<:>단선||<:> || ||<:>[[키타유자와역|키타유자와]][br]北湯沢||<:>27.5||<:>단선||<:> ||<|4><:>우스군[br]오타키무라|| ||<:>[[유토쿠역|유토쿠]][br]優徳||<:>30.3||<:>단선||<:> || ||<:>[[신오타키역|신오타키]][br]新大滝||<:>35.0||<:>상대식||<:> || ||<:>[[오로엔 가승강장|오로엔]][br]尾路遠[* 자료에 따라 尾路園으로도 표기됨]||<:>43.7||<:>단선||<:> || ||<:>[[미소노역(홋카이도 키모베츠초)|미소노]][br]御園||<:>48.4||<:>상대식||<:> ||<|4><:>[[아부타군]][br][[키모베츠초]]|| ||<:>[[키타스즈카와역|키타스즈카와]][br]北鈴川||<:>53.5||<:>단선||<:> || ||<:>[[키모베츠역|키모베츠]][br]喜茂別||<:>59.2||<:>상대식||<:> || ||<:>[[루산역|루산]][br]留産||<:>62.9||<:>단선||<:> || ||<:>[[미나미쿄고쿠역|미나미쿄고쿠]][br]南京極||<:>65.0||<:>단선||<:> ||<|4><:>아부타군[br][[쿄고쿠초]]|| ||<:>[[히가시쿄고쿠역|히가시쿄고쿠]][br]東京極||<:>68.4||<:>단선||<:> || ||<:>[[쿄고쿠역|쿄고쿠]][br]京極||<:>69.6||<:>2면 3선||¶ 일본국유철도 이부리선 와키카타 지선 || ||<:>[[키타오카역|키타오카]][br]北岡||<:>72.6||<:>단선||<:> || ||<:>[[칸베츠역|칸베츠]][br]寒別||<:>74.9||<:>단선||<:> ||<|4><:>아부타군[br][[쿳찬초]]|| ||<:>[[산고역(홋카이도)|산고]][br]参郷||<:>78.4||<:>단선||<:> || ||<:>[[로쿠고역(홋카이도)|로쿠고]][br]六郷||<:>80.4||<:>단선||<:> || ||<:>[[쿳찬역|쿳찬]][br]倶知安||<:>83.0||<:>2면 3선[* 현재는 쿳찬역이 [[홋카이도 신칸센]] 공사로 승강장이 이설되어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본국유철도]] [[하코다테 본선]] || === 지선(1970년 폐지) === * 전 구간 [[홋카이도]] [[아부타군]] [[쿄고쿠초]] 소재. * 소재지는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5><:>{{{#ffffff '''일본국유철도 이부리선 지선'''}}}|| ||<:>{{{#ffffff 역명}}}||<:>{{{#ffffff km}}}||<:>{{{#ffffff 승강장}}}||<:>{{{#ffffff 환승노선}}}|| ||<:>[[쿄고쿠역|쿄고쿠]][br]京極||<:>0.0||<:>2면 3선||¶ 일본국유철도 이부리선 본선 || ||<:>[[와키카타역|와키카타]][br]脇方||<:>7.5||<:>-||<:> ||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1919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1986년 폐지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