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스토니아 리기코구의 원내 구성)] ||<-2> [[파일:에스토니아 이사마 로고.png|width=200]] || ||<-2> {{{#fff '''Isamaa'''}}} || || {{{#fff '''한글명칭'''}}} ||이사마||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a2e6;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하늘색}}}}}} || || {{{#fff '''대표'''}}} ||헬러-발도르 시더|| || {{{#fff '''창당일'''}}} ||[[2006년]] [[6월 4일]]|| || {{{#fff '''당사'''}}} ||Paldiski mnt 13, [[탈린]]|| || {{{#fff '''당원 수'''}}} ||7,766명^^(2021년 기준)^^|| || {{{#fff '''이념'''}}} ||[[국민보수주의]][br][[기독교 민주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우파]] ~ [[우익]]|| || {{{#fff '''국제 조직'''}}} ||[include(틀:국제민주연합)]|| || {{{#fff '''청년 조직'''}}} ||청년 공화국(ResPublica)|| || {{{#fff '''유럽 정당'''}}} ||[[유럽 인민당]]|| || {{{#fff '''유럽의회 정당'''}}} ||[[유럽 인민당 그룹]]|| || {{{#fff '''리기코구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2e6 calc(4*100%/101), #fff 0%)" {{{#000 '''4석 / 101석'''}}}}}} || || {{{#fff '''유럽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2e6 calc(1*100%/7), #fff 0%)" {{{#000 '''1석 / 7석'''}}}}}} || || {{{#fff '''웹사이트'''}}} ||[[https://isamaa.e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isamaaerakond/|[[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rakond?lang=en,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isamaa_erakon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PYK5AH1dxLqGK3IjCd5t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에스토니아]]의 보수주의 정당이다. == 상세 == 전신은 1995년에 창당한 국민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성향의 조국 연합(Isamaaliit)과 2001년에 창당한 보수주의, 대중주의 성향의 공화국당(Erakond Res Publica)의 합당 형식으로 이뤄진 정당으로 양 당간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없는데다 중앙당에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로 2007년 총선 이전에 합쳐진 것이다. 당명은 그냥 에스토니아당으로 고려되기도 했으나 거부되었다. 따라서 '''조국과 공화국을 위한 연합(Erakond Isamaa ja Res Publica Liit)'''으로 정한 것이다. 2007년 총선에서 19석을 얻어 제3당으로 올라서면서 개혁당과의 연립정부에 참여했다. 2011년 총선에서 23석까지 올라서기도 했다. [[에스토니아 인민보수당]]의 등장으로 서서히 지지율을 잃기 시작하면서 2019년 총선에서 12석까지 줄어들었고, 그럼에도 인민보수당, 중앙당과 연정을 가지기도 했지만, 2021년 1월 13일, 중앙당의 스캔들로 연정이 붕괴되었고 야당으로 머물다가 2022년에 중앙당의 연정 탈퇴로 소수정부 가지다가 다시 연립여당에 들어섰다. == 역대 선거 결과 == === 에스토니아 의회 선거 === ||
'''연도''' || '''의석수''' || '''득표율''' || '''순위''' || '''집권''' || ||2007||19/101||17.9%||'''3위'''||[[에스토니아 개혁당|개혁당]],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사회민주당]]과 연정 (2007~2009) [br] [[에스토니아 개혁당|개혁당]]과 연정 (2009~2011)|| ||<|2>2011||<|2>'''23/101'''||<|2>'''20.5%'''||<|2>'''3위'''||[[에스토니아 개혁당|개혁당]]과 연정 (2011~2014)|| ||비집권 (2014~2015)|| ||[[2015년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선거|2015]]||14/101||13.7%||4위||[[에스토니아 개혁당|개혁당]],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사회민주당]]과 연정 (2015~2016) [br] [[에스토니아 중앙당|중앙당]],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사회민주당]]과 연정 (2016~2019)|| ||<|3>[[2019년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선거|2019]]||<|3>12/101||<|3>11.4%||<|3>4위||[[에스토니아 중앙당|중앙당]], [[에스토니아 보수인민당|보수인민당]]과 연정 (2019~2021)|| ||비집권 (2021~2022)|| ||[[에스토니아 개혁당|개혁당]],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사회민주당]]과 연정 (2022~2023)|| ||[[2023년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선거|2023]]||8/101||8.2%||6위||비집권(2023~) || === [[유럽의회]] 선거 === ||
'''연도''' || '''의석수''' || '''정원'''[*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 한정.] || '''득표율''' || '''결과''' || ||2009||1||<|2>6||12.2%||4위|| ||2014||1||'''13.9%'''||3위|| ||2019||1[* 선거 당시에는 0석이었으나, [[브렉시트]] 이후로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이 6석에서 7석으로 늘어나면서 이사마에게 1석을 배정하였음.]||7[* [[브렉시트]] 이후로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이 6석에서 7석으로 늘어남.]||10.3%||5위|| [[분류:에스토니아의 정당]][[분류:기독교 민주주의 정당]][[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2006년 정당]][[분류:국제민주연합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