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이사키오스 두카스 네스톤고스[br](영어: Isaak Dukas Nestongos, 그리스어: Ἰσαάκιος Δούκας Νεστόγγος)|| || '''출생''' ||미상|| || '''사망''' ||미상|| || '''직위''' ||귀족|| || '''반란 대상''' ||[[요안니스 3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로마 제국]] [[라스카리스 왕조]]의 반란자. 형제 [[안드로니코스 네스톤고스]]와 함께 [[요안니스 3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당했다. == 생애 == [[11세기]]부터 동로마 제국에서 활약한 네스톤고이 가문의 일원이다. 어머니의 성명은 전해지지 않으나 이사키오스 두카스 앙겔로스의 딸이라고 하며, 할머니는 [[알렉시오스 1세]]와 [[이리니 두케나]]의 막내딸 테오도라 콤니니라고 한다. [[1204년]] 4월 [[제4차 십자군 원정|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략한 뒤, 다른 중요한 귀족 가문과 함께 [[비티니아]]로 이주하여 [[니케아 제국]]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올랐다. [[1221년]] [[요안니스 3세]]가 [[테오도로스 1세]]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오르자, 그는 형제 [[안드로니코스 네스톤고스]]와 함께 황위를 찬탈할 음모를 꾸몄다. [[1224년]] 말이나 [[1225년]] 초, 네스톤고스 형제는 상당수의 귀족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라틴 제국]]과 전쟁을 치르던 요안니스 3세는 즉시 귀환하였고, 반란군은 토벌군의 압도적인 규모를 보고 겁에 질러 전투 한 번 치르지 않고 항복했다. 그는 실명형에 처해졌고 손이 절단됐지만, 안드로니코스만은 [[신체형]]을 내리지 않고 [[감옥]]에 가뒀다가 곧 감옥에서 탈출하여 [[룸 술탄국]]으로 도피하는 걸 방임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기록이 미비해서 알 수 없지만, 아마도 네스톤고이 가문과 아예 척을 질 수는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후 그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분류:동로마 제국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