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헌법재판소|[[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width=30px]]]] {{{#E4B477 '''[[헌법재판소 재판관|{{{#E4B477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한민국 국회|{{{#E4B477 국회 선출}}}]], [[대한민국 대통령|{{{#E4B477 대통령 임명}}}]])'''}}} || || [[하경철]][br]{{{-2 {{{#911B2B [[새정치국민회의|국회 선출(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 || '''이상경'''[br]{{{-2 {{{#911B2B [[새천년민주당|국회 선출(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 || [[조대현(법조인)|조대현]][br]{{{-2 {{{#911B2B [[열린우리당|국회 선출(열린우리당)]],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 李相京 [[1945년]] [[9월 20일]] ~ ([age(1945-09-20)]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본관은 [[이(성씨)|경산]](京山)[* [[https://ljw1674.tistory.com/18302678|#]]. 26세 '''상(相)''' 근(根) 동(東) 항렬.], 자는 응정(應廷). [[독립유공자]] [[이만성(1872)|이만성]](李萬成)은 그의 조부로, 경산 이씨 시조 이덕부(李德富)의 23대 대종손이다. == 생애 == 1945년 9월 20일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이(성씨)|경산 이씨]](京山 李氏) 집성촌이다.]에서 아버지 이기영(李其永, 1894. 11. 17 ~ 1978. 7. 16)[* 초명 이일원(李一源).]과 어머니 [[밀양 박씨]](1905. 12. 16 ~ ?)[* 박내귀(朴來龜)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3녀 중 [[외아들]]로 [[https://m.blog.naver.com/baksj15/40203007550|태어났다]].[* 어머니 밀양 박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으로, 아버지의 첫째 부인 [[탁(성씨)|광산 탁씨]](光山 卓氏, 1896. 1. 8 ~ 1921. 1. 12) 탁진수(卓鎭秀)의 딸은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하고 요절했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중앙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69년 제10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군법무관]]으로 병역의무를 이수하였다. 이후 [[판사]]로 근무하였으며, 2000년 7월 21일부터 2001년 2월 11일까지 잠깐 동안 [[대구지방법원]] 법원장을 지냈다. 2001년 2월 12일부터 2002년 2월 7일까지 1년간 [[인천지방법원]] 법원장을 지내다가 2002년 2월 8일 [[https://bsgodung.scourt.go.kr/bsgodung/intro/intro_01/chiefcourt_01/index.html|제13대]] [[부산고등법원]] 법원장으로 영전되어 2004년 2월 9일까지 역임했다. 2004년 2월 [[새천년민주당]] 추천 몫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되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에서 권성, 김영일 등과 탄핵 찬성 의견이었다. 2005년 6월 6일 탈세 의혹으로 자진 사임하였다. 이후 2005년 8월 [[서울특별시]]에서 [[변호사]]를 개업하여 활동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법조인/목록]]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경산 이씨]][[분류:1945년 출생]][[분류:헌법재판소 재판관]][[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참여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