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AD469F> '''{{{#ffffff 제4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br]{{{+2 이상로}}}[br]李相魯|Lee Sang-Ro}}}'''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5226_115302_941.jpg|width=100%]]}}} || || '''출생''' ||[[1955년]] [[2월 14일]] {{{-2 ([age(1955-02-14)]세)}}}[br][[서울특별시]][* <한국언론 인물사전(2009)> 상 충청북도 보은군으로 나오지만 실제로 본적이다.] || || '''학력''' ||[[공주사범대학]][* 現 [[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 {{{-2 (불어교육/ 학사)}}} [[연세대학교/대학원#행정대학원|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언론홍보전공.] / 석사[* [[http://www.riss.or.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bf0ca2563f9269cf&keyword=%EC%9D%B4%EC%83%81%EB%A1%9C|TV방송뉴스의 분야별 분류와 평가]](1987)])}}} [[건국대학교/대학원#부동산대학원|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 (부동산학[* 부동산건설개발전공.] / 석사[* [[http://www.riss.or.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4e6720a1ed630696ffe0bdc3ef48d419&keyword=%EC%9D%B4%EC%83%81%EB%A1%9C|일본의 개호보험이 고령자 주택시장에 미친 영향: 유료노인 홈을 중심으로]](2006)])}}} [[경기대학교/대학원#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 (경영학[* 부동산금융투자전공.] / 석사[* [[http://www.riss.or.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9fd5d6c8edbe195fffe0bdc3ef48d419&keyword=%EC%9D%B4%EC%83%81%EB%A1%9C|長期不況이 日本 不動産 市場에 미친 影響에 관한 分析 : 부동산투자자들의 투자결과를 중심으로]]]·박사[* [[http://www.riss.or.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1b57ab03cfc37bcffe0bdc3ef48d419&keyword=%EC%9D%B4%EC%83%81%EB%A1%9C|재개발·재건축을 이용한 실버주택 공급에 관한 연구: 지역주민 선호도 분석과 전문가 경제성 평가를 중심으로]]])}}}|| || '''소속 정당''' ||[[내일로미래로]] || || '''현직''' ||내일로미래로 중앙당 최고위원, 대변인 내일로미래로 인재영입위원장 || || '''경력''' ||제4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전주기전대학]] 초빙교수 미래미디어포럼 대표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iMBC]] 이사 MBC 공정방송노동조합 위원장 [[문화방송|MBC]] 심의국 라디오심의부 국장 [[문화방송|MBC]] 편성국 부국장 [[문화방송|MBC]] 건설기획단 건설1팀장 [[MBC C&I|MBC프로덕션]] 전략사업팀장 [[문화방송|MBC]] 보도국 국제부 파리특파원 || || '''링크''' ||[[http://facebook.com/citylovele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youtube.com/@user-yu3vr3qs1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정치평론|시사평론가]], [[우파 유튜버]]다. == 생애 ==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나 [[대동세무고등학교]], [[국립공주대학교/학부/사범대학|공주사범대학]](現 [[국립공주대학교]]) 불어교육과를 졸업했다. 이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과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에서 각각 석사를 땄고,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따기도 했다. 1981년 [[문화방송|MBC]] 카메라기자직으로 입사하여 한동안 보도국 취재카메라부에 몸 담으며 [[카메라 출동]] 코너에서 활약했는데, 1988년 일시 중단 전까지 리포팅도 했다. 1989년 7월부터 국제부로 이동되어 파리특파원을 맡다가 1992년 8월 귀국 후 취재카메라부로 돌아갔고, 1993년 영상편집부, 1995년 영상프로젝트팀 연구원 등을 거쳐 1997년 자회사 [[MBC C&I|MBC프로덕션]] 전략사업팀장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2000년 기획국 위성방송추진팀 차장으로 본사에 돌아와 2001년 부장대우 승진 후 인사부로 옮겼고, 2002년 건설기획단 건설기획부장으로 첫 보직간부를 맡아 건설1팀장(2003), 기획국 위원(2003~2005.2)을 거쳐 2005년 편성국 TV편성부로 옮겼고, 편성국 부국장(2008~2009), TV편성부 부국장(2009~2011), 심의국 라디오심의부 국장(2011~2013) 등을 거치며 2010년 경 MBC 공정방송노동조합 위원장을 맡았고, 2013년 [[iMBC]] 이사로 발령나 1년을 지냈다. 그 후 경기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북대학교 등에서 겸임교수 및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2016년 경부터 미래미디어포럼 회장까지 겸했다. 2018년 1월부터 3년 동안 제4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이후 [[우익]] 인터넷 언론사인 프리덤뉴스의 고문 겸 객원 논설위원을 지내다가, 2020년 독자 유튜브 채널 '카메라출동'을 차려서 활동하고 있다. 2023년 [[내일로미래로]]에서 인재영입으로 입당했고, 현재는 내일로미래로의 최고위원과 대변인이자 인재영입위원장을 맡고 있다. === 주요 활동 === *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최순실 태블릿PC 조작설]]을 주장하였다. 2017년 1월 당시 조작설을 주장하던 태블릿PC진상규명위원회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이후 자신 소유의 미디어인 프리덤뉴스를 통해 2012년 당시 선거캠프에서 일했던 인물을 태블릿PC의 진짜 주인이라는 [[http://www.youtube.com/watch?v=S7L14qL9lz4|인터뷰]]를 진행하는가 하면, 2018년에는 JTBC의 태블릿 관련 보도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지 않자 불공정한 심의를 하는 것 보다 차라리 "방송심의제도를 폐지하자"는 주장을 했다. 언론노조가 이에 반대하는 기사를 게제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884|#]] * 2019년 3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으로 있으면서 5·18 민주화운동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한 유튜브 영상을 게시한 [[지만원]] 등 심의 대상자에게 5.18 민주화운동 관련 심의날자를 알렸다. 이상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수사 기관이 아닌 민간 기관이니 어떤 내용을 심의하는지 심의 당사자에게는 공개하는게 맞다, "우리가 국민에게 알려줘야 할 당연한 의무"였다. 방송통신심의 위원회 규정에도 심의 날자와 심의내용를 공개하도록 의무화 되 있다"고 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3203395|#]] 이에 다른 방심위 위원들이 자진 사퇴를 권고했지만 사퇴하지 않았고,"정의의 이름으로 사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때마침 전광삼 방심위원이 해촉되면서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위원회 활동을 이어나가게 되었다. * 2020년 5월 27일 서울 목동 방심위 회의실에서 열린 통신소위는 4·16 연대가 신청한 이상로 위원의 세월호 관련 유튜브 영상을 심의한 뒤 시정요구 결정을 내리고, 이 위원을 의견진술자로 불러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http://news.v.daum.net/v/20200528160627359|#]] * 2020년 9월 1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의 [[디지털 교도소/대응#s-3|디지털 교도소 심의]]에서 디지털 교도소를 전체적으로 차단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사이트 전체를 폐쇄하는 선례를 남기기 되면 정치적으로 약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상로 위원은 디지털 교도소 문제가 심각해지자 9월 24일 이어서 열린 2차 심의에서도 홀로 전체 차단을 반대하고 문제가 된 내용만 부분적으로 삭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 참고/관련 자료 == * 저서 * 파리특파원의 교통정책르포 - 나남. 1992. * 교통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하여(서유석과 공저)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1993. * 민선 서울특별시장 - 을지출판사. 1993. * 케이블TV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 한국프레스센터. 1993. * MBC '카메라 고발' 이상로 기자의 입장바꿔 생각해봐! - 서울기획. 1994. * 뭐야, 카메라 치워! - 새로운사람들. 1995. * 격변기 부동산 신투자전략(공저) - 매일경제신문사. 2006. * 고품격 부동산론(참여) - 건대부동산연구원 저. 매일경제신문사. 2007. * 대한민국을 위한 겸손한 제안: 부유하고 강한 나라가 되는 비결 - 봄빛서원. 2016. * 외부 자료 * 한국언론 인물사전: 1883~2009 - 한국언론재단. 2009. p1007. * 문화방송 삼십년사 - 문화방송. 1992. * 문화방송 연감 2007 - 문화방송. 2007. * 문화방송 연감 2008 - 문화방송. 2008. p717.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대동세무고등학교 출신]][[분류:국립공주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경기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MBC 전직 기자]][[분류:내일로미래로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