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영화 감독]][[분류:니가타현 출신 인물]][[분류:1974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재일교포]] ||
'''{{{#ffffff 이상일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C0000><-5> {{{#E5D85C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E5D85C 일본 아카데미상}}}]]'''}}} || ||<#FFFFFF,#333333><-5> [[파일:japan-academy-prize.png|width=180]] || ||<#0C0000><-5> [[일본 아카데미상/감독상|{{{#E5D85C '''최우수 감독상'''}}}]] || || '''제29회[br]([[2006년]])''' || {{{+1 →}}} || '''제30회[br]([[2007년]])''' || {{{+1 →}}} || '''제31회[br]([[2008년]])''' || || 야마자키 타카시[br]([[올웨이즈 - 3번가의 석양]]) || {{{+1 →}}} || '''이상일[br](훌라 걸스)''' || {{{+1 →}}} || 마츠오카 조지[br]([[도쿄 타워(릴리 프랭키)#s-4.1|오다기리 죠의 도쿄타워]]) || ||<#0C0000><-5> [[일본 아카데미상/각본상|{{{#E5D85C '''최우수 각본상'''}}}]] || || '''제29회[br]([[2006년]])''' || {{{+1 →}}} || '''제30회[br]([[2007년]])''' || {{{+1 →}}} || '''제31회[br]([[2008년]])''' || || 야마자키 타카시[br]코사와 료타[br]([[올웨이즈 - 3번가의 석양]]) || {{{+1 →}}} || '''이상일'''[br]하바라 다이스케[br]'''(훌라 걸스)''' || {{{+1 →}}} || 마츠오 스즈키[br]([[도쿄 타워(릴리 프랭키)#s-4.1|오다기리 죠의 도쿄타워]]) || ||<#0C0000><-5>|| ---- ||<-5>
{{{#e5d85c '''역대 [[키네마 준보|{{{#e5d85c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 ||<-5> [[파일:키네마준보.png|width=180]] || ||<-5> [[키네마 준보/연도별 베스트|{{{#e5d85c '''감독상'''}}}]] || || '''제83회[br]([[2010년]])''' || {{{+1 →}}} || '''제84회[br]([[2011년]])''' || {{{+1 →}}} || '''제85회[br]([[2012년]])''' || || 기무라 다이사쿠[br](츠루기다케 점의 기록) || {{{+1 →}}} || '''이상일[br]([[악인]])''' || {{{+1 →}}} || [[소노 시온]][br](길티 오브 로맨스 / [[차가운 열대어]]) || ||<-5> || ---- ||<-5>
{{{#ffffff '''역대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ffffff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5> [[파일:20210222_223227.jpg|width=180]] || ||<-5> {{{#ffffff '''일본영화 대상'''}}} || || '''제63회[br]([[2009년]])''' || {{{+1 →}}} || '''제64회[br]([[2010년]]) ''' || {{{+1 →}}} || ''' 제65회[br]([[2011년]]) ''' || || 지지 않는 태양 || {{{+1 →}}} || '''[[악인#3]]''' || {{{+1 →}}} || 한 장의 엽서 || ||<-5> || ---- }}} || [[파일:이상일 감독.webp|width=670]] [목차] == 개요 == 이상일(李相日)은 [[일본]]의 [[영화 감독]]이다. [[1974년]] [[1월 6일]] 출생. [[재일 한국인]] 3세로, [[일본]]의 [[니가타]] 출신이다. == 생애 == 어릴 적에 집안을 따라 [[요코하마]]로 이사갔다. 아버지가 [[조선학교]]의 교사였으며 본인도 [[고등학교]]까지는 조선학교에 다녔다. 고등학교 때는 [[야구]]를 했으며 [[가나가와대학]]을 다녔다. [[경제학]]부였는데 졸업 후에 일본영화학교에 진학해 졸업했다. 졸업 작품은 1999년작인 《청 -chong-》이었으며 2004년 [[무라카미 류]]의 소설을 영화화한 《[[69]]》을 감독했다. 그때 만난 [[츠마부키 사토시]]와 2010년작인 [[악인]]을 찍기도 했다. 2006년에는 [[아오이 유우]]를 주연으로 훌라 걸스를 찍었다. 2013년에는 [[와타나베 켄]]과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서부영화]]인 [[용서받지 못한 자(1992)|용서받지 못한 자]]를 19세기 말의 [[홋카이도]]로 번안한 [[용서받지 못한 자(2013)]]를 찍었다. 같은 재일 한국인 영화제작자인 [[이봉우]]와 자주 작업한다. 이봉우는 [[박치기!]]의 제작을 맡고 해외 영화를 배급하기도 했다. [[살인의 추억]]이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월레스와 그로밋]] 등을 일본에 배급했다. [[최양일]]과는 달리 이상일은 딱히 영화에서 자신이 재일 한국인이란 정체성을 드러내지는 않고 그냥 상업영화감독에 가깝다. 다만 일본영화학교 졸업제작 작품이자 감독 데뷔작인 《아오 ~춍~(青 ~chong~)》에선 그의 재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잘 드러나 있다.[* '춍'은 한국어의 '총각'이 일본에서 변형된 형태인 '춍가'의 줄임말인데, 2000년대 이후 일본 웹에서는 거의 "짱깨"나 "쪽바리" 수준으로 한국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확고히 자리잡은 상태이다.] 참고로 이 작품은 배우 [[마시마 히데카즈]]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2019년 1월에는 '2000년대 [[일본 영화]] 특집' 행사로 방한해서 인터뷰를 했는데, 함께 일해 보고 싶은 한국 배우로 [[송강호]]를 꼽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ViyFQbFdNmg|#]] [[히로세 스즈]]가 은인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촬영 현장에서 늘 칭찬만 듣고 구체적인 지적을 받은 적이 없었는데, 이상일 감독은 매우 엄격하게 연기 지도를 해서 배우로서 느낀 게 많았다고.[[https://www.fmkorea.com/best/4145194933|#]] == 주요 작품 == * 아오 ~춍~ (1999) * BORDER LINE (2002) * [[69(소설)|69]][* 숫자 '로쿠쥬큐(육십구)'가 아니라 '식스티나인'이라고 읽는다. [[무라카미 류]] 원작.] (2004) * 스크랩 헤븐 (2005) * 훌라 걸스 (2006) * [[악인]] (2010) * [[용서받지 못한 자(2013)|용서받지 못한 자(일본 영화)]] (2013) * [[분노(영화)|분노]] (2016) * [[https://www.youtube.com/watch?v=FhyYRos_Fcw|ドラゴンクエストX 冒険者たちのきせき EPISODE 2: どの職業で戦うか迷う話]] (2017년) * [[유랑의 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