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선우)] [include(틀:kt wiz/간략(투수))] ||
'''{{{#ffffff 이선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68번}}}''' || || [[박시윤(야구선수)|박시윤]][br](2018) || {{{+1 →}}} || '''이선우[br](2019)''' || {{{+1 →}}} || [[윤준혁]][br](2021.3.26.~2022)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67번}}}''' || || [[신병률]][br](2018~2019) || {{{+1 →}}} || '''이선우[br](2020)''' || {{{+1 →}}} || [[박시윤(야구선수)|박시윤]][br](2021~)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68번}}}''' || || [[윤준혁]][br](2021.3.26.~2022) || {{{+1 →}}} || '''이선우[br](2023)''' || {{{+1 →}}} || 결번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61번}}}''' || || [[신범준]][br](2023.9.12~2023) || {{{+1 →}}} || '''이선우[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선우 다음스포츠.jpg|width=100%]]}}} || ||<-2> '''kt wiz No.61''' || ||<-2> '''{{{+2 이선우}}}[br]Lee Seonwoo''' || || '''출생''' ||[[2000년]] [[9월 19일]] ([age(2000-09-1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진초 - [[매송중학교|매송중]] -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 || || '''신체''' ||186cm,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사우타]] || || '''프로 입단''' ||[[KBO 리그/2019년/신인 드래프트#s-3.2|2019년 2차 7라운드]] (전체 61번, [[kt wiz|kt]]) || || '''소속팀''' ||[[kt wiz]] (2019~) || || '''병역''' ||[[제15보병사단]] (2021~2022) || || '''등장곡''' ||[[린킨 파크]] - 《New Divide》 || || '''연봉''' ||4,000만 원 (33.3%↑, 202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kt wiz]]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kt wiz]] === 2019년 kt wiz의 2차 7라운드 지명을 받고 계약금 5,000만원에 입단했다. 2021년 1월 31일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2군 기록은 없이 육군 15사단 현역으로 입대했고, 군 제대 후 [[윤준혁]]의 등번호였던 68번을 달게 되었다. ==== 2023 시즌 ==== 5월 2일 정식 선수 전환과 함께 1군에 등록되었다. 5월 한달간 10경기 15이닝 1.20을 기록했다. 부진 및 부상으로 말소된 [[보 슐서]]의 대체선발로 나설 예정이라고 한다. 데뷔 첫 번째 선발로 나선 6월 4일 수원 두산전에서 [[호세 로하스]]에게 홈런을 허용하며 2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두 번째 선발로 나선 6월 10일 수원 키움전에서 1회 [[김혜성]]에게 만루홈런을 허용하는 등 초반에 매우 고전했으나 이후 안정감을 찾으며 5이닝 5실점으로 마무리. 8월 13일 퓨처스리그 삼성전에서 완봉승을 기록했다. 8월 18일 한화전에 휴식을 위해 말소된 [[고영표]]의 대체선발로 출장했다. 3회까지 2실점을 기록했으나 4회에서 3실점을 허용하고 역전당하며 3⅓이닝을 던지고 교체당했다. 최종 기록은 3⅓이닝 7실점 6자책을 기록하며 부진한 투구 내용을 보여주었고 팀이 6:11로 패하며 패전을 기록했다. 10월 4일 KIA전 4⅔이닝 2실점 하며 임시 선발 치고 상당히 준수한 투구를 보여주었다. 다만, [[박찬호(1995)|박찬호]]를 상대로 무리하게 몸쪽 승부를 하다 왼쪽 손목을 맞췄다. 진단 결과 척골 분쇄 골절 판정을 받았고 경기 후 취재진을 통해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맞춘 선수가 하필이면 내야의 중핵인 주전 유격수 박찬호였던지라 KIA 팬들에게 엄청나게 까였다. 이 때문에 이전에 [[최형우]]가 [[박병호]]와 부딫혀 부상을 당한 것 까지 포함해 [[이강철]] 감독이 엄청 미안해 해서 경기 후 [[김종국(야구)|김종국]] 감독을 찾아가서 미안하다고 사과까지 했을 정도였다.[* 공교롭게도 다음 날인 5일 경기서 대체 유격수로 들어간 [[김규성]]이 대량 실점의 빌미가 된 치명적인 실책을 기록하며 kt가 승리를 거뒀음에도 기뻐하는 표정 하나 없이 기아의 덕아웃을 보며 미안함을 여러 차례 전했을 정도다.][* 참고로, 이강철과 김종국 두 사람은 광주서림초 - 광주무등중 - 광주제일고 동문에 해태 타이거즈에서 한솥밥을 먹은 아주 친한 사이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균 130km 초중반대의 패스트볼에 변화구는 120km 초반대의 슬라이더와 120km 중반대의 체인지업을 던지는 사이드암 투수이다. 패스트볼/슬라이더/체인지업을 대략 55%/35%/10%의 비율로 던진다. 좌우 스플릿이 매우 큰 편으로 2023시즌 8월 기준 우타 상대 피OPS 0.517/좌타 상대 피OPS 0.999를 기록하는 중이다. 공격적인 투구로 볼넷을 거의 내주지 않는 것이 장점인데, 2S로 유리한 카운트를 점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결정구의 부재로 공을 커트당하는 게 단점이다. == 연도별 성적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이선우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9 ||<|5> [[kt wiz|kt]] || 3 || 0 || 0 || 0 || 0 || 1⅔ || 5.40 || 1 || 1 || 1 || 0 || 2 || 1.20 || 76.6 || 0.00 || || 2020 || 2 || 0 || 0 || 0 || 0 || 2 || 13.50 || 6 || 1 || 1 || 0 || 1 || 3.50 || 35.6 || -0.07 || || 2021 ||<-15> 군 복무 || || 2022 ||<-15> 1군 기록 없음 || || 2023 || 22 || 0 || 2 || 0 || 0 || 37⅓ || 4.34 || 47 || 5 || 9 || 4 || 24 || 1.50 || 97.3 || 0.13 || ||<-2> '''[[KBO 리그|KBO]] 통산'''[br](3시즌) || 27 || 0 || 2 || 0 || 0 || 41 || 4.83 || 54 || 7 || 11 || 4 || 27 || 1.59 || 91.9 || 0.07 || == 여담 == * 같은 드래프트에서 5라운드에 지명을 받은 [[남호]]와는 유신고 동기다. * 원래 이름은 이웅진이었으나 고교 3학년 때 개명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매송중학교 출신]][[분류:유신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사우타]][[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kt wiz/현역]][[분류:개명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