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광역시 울주군수)] ---- || {{{#fff '''이선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시도당위원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울산광역시)]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a44 0%, #009a44 20%, #009a44 80%, #009a44)" '''{{{#fff 제7대 울산광역시 울주군수[br]{{{+1 이선호}}}[br]李先鎬 | Lee Sun-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선호 울주군수.png|width=100%]]}}} || ||<|2> '''출생''' ||[[1960년]] [[10월 4일]] ([age(1960-10-04)]세) || ||[[경상남도]] [[울산군]] [[범서면]][br](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 || '''본관''' ||[[학성 이씨]][* 21세 호(鎬) 항렬을 쓴다.] || || '''현직''' ||[[더불어민주당]] 울산광역시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울산]] [[울주군(선거구)|울주군]] 지역위원장 || || '''학력''' ||[[구영초등학교]] {{{-1 ([[졸업]])}}}[br][[범서중학교]] {{{-1 ([[졸업]])}}}[br][[울산고등학교]] {{{-1 ([[졸업]])}}}[br][[울산대학교]] {{{-1 (행정학 / [[학사]])}}} || || '''가족''' ||부인 이정희, 슬하 1남 1녀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경력''' ||SK노조 민주화추진위원회 의장[br][[국민참여당]] 울산시당위원장[br]친환경 무상급식 풀뿌리 울산연대 공동대표[br]한미FTA저지 울산운동본부 공동대표[br][[통합진보당]] 울산시당 공동위원장[br][[정의당]] 울산광역시당 수석부위원장[br]제7대 울산광역시 울주군수 {{{-2 (민선 7기)}}} || || '''링크''' ||[[https://facebook.com/shi8003|[[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unho_lee070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당적은 [[더불어민주당]]이다. == 생애 == 1960년 [[경상남도]] 울산군 범서면(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에서 태어났다. [[구영초등학교]], [[범서중학교]], 울산고등학교, [[울산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평범한 샐러리맨으로 생활하다가 2002년 [[노사모]] 활동을 시작하며 정치에 눈을 떴다. 2003년 [[개혁국민정당]] 울산시 집행위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울산 남구갑에 공천신청 하였으나 당내 경선에서 탈락하였다. 이후 2010년 [[국민참여당]] 울산시당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참여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수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현직 군수인 [[한나라당]] [[신장열]] 후보에 밀려 22.57%를 받고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선거구)|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새누리당]] [[강길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으로 인하여 [[진보정의당]]으로 옮겼고 정의당에서 정치를 이어갔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정의당 소속으로 울주군수 출마를 선언하였지만 본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2016년에 다시 정의당 소속으로 울주군 총선 공천을 받았지만 본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대선국면에서 정의당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참여계]] 내분으로 더민주로 온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이순걸]] 후보와 4년만에 리턴매치가 성사되었는데 큰 표차로 이순걸 후보가 당선되면서 재선에 실패하였다.[* 그래도 울산지역 민주당 기초단체장들 중에는 가장 적은 득표율 차로 졌다.] 지선 이후 동 지역구의 지역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에 단독으로 등록하여 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다.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개혁국민정당)] || 2003 || 정계 입문[br]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열린우리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2010 || 탈당 || || [include(틀:국민참여당)] || 2010 - 2011 || 창당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1 - 2012 || 합당[* [[민주노동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진보정의당)] || 2012 - 2013 || 창당 || || [include(틀:정의당)] || 2013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 - || 입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울산 울주군수 || [include(틀:국민참여당)] || 18,180 (22.57%) ||<|2>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울산 울주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9,536 (36.34%)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울산 울주군수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5,765 (49.77%)''' || '''당선 (1위)''' || '''초선'''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0,081 (41.19%)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울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7기))]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울주군 출신 인물]][[분류:학성 이씨]][[분류:1960년 출생]][[분류:울주군수]][[분류:울산고등학교 출신]][[분류:울산대학교 출신]][[분류:정의당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