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성범}}}'''[br]'''李聖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성범(3.1 운동).png|width=100%]]}}} || ||<-2> 1919년, 경성감옥에서 촬영된 사진. || || '''창씨명''' ||도요무라 세이한(豊村聖範) || || '''자 / 호''' ||응립(應立) / 화은(華隱) || || '''본관''' ||[[함평 이씨]][* [[http://www.dmook.co.kr/gallery/view.asp?seq=203780&path=121117195913&page=29|#]]. 기성군파 28세 범(範) 항렬.] || ||<|2> '''출생''' ||[[1882년]] [[4월 10일]] || ||[[경상도]] [[상주시|상주목]] [[화북면]] 장암리[br](現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821번지) || || '''사망''' ||[[1957년]] [[10월 5일]][* 함평이씨대동보 9권 1366쪽에는 1951년 8월 10일에 별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2년 4월 10일 경상도 상주목 화북면 장암리(現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821번지)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이계도(李啓道, 1846. 8. 19 ~ ?. 6. 20)와 어머니 [[함양 박씨]](1860 ~ ?. 5. 20)[* 박주원(朴周源)의 딸이다.]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면서 장암동의 구장(區長)으로 재직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 전국 각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그는 이러한 전국적인 추세에 호응하여 같은 마을 사람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942|김재갑]](金在甲)·[[홍종흠]]과 이웃 마을 입석리 사람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5665|이용회]](李容晦)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4월 4일에는 인근지역에 동참할 것을 권유하는 권고문을 보내고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사전준비를 진행하였다. 특히 그는 청년들을 모아 놓고 조국의 독립에 있어서 청년의 역할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등, 특히 청년의 규합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4월 8일 오후 2시 1백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문장산(文藏山)에 올라가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 급보를 받은 상주 주재 일본군 헌병대장 이하 수많은 헌병들이 출동하여 이를 제지하자, 그는 시위군중과 함께 투석으로 대항하다가 결국 체포되었으며, 그해 5월 15일[* 또는 5월 9일.[[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81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6402&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3개월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81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6402&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아]] 경성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듬해인 1920년 4월 26일 특별 사면으로 감형되어 출옥하였으며, 출옥 후에는 고향에서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이하였다. 그후 1957년 10월 5일 별세하였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이웃 마을인 화북면 용유리 화북중학교 앞에 그의 독립운동 공적을 기념하는 광복의사 화은 이성범 기념비가 [[https://www.mpva.go.kr/mpva/intro/daegu_newsView.do?id=20815¬ice=|세워져 있는데]], 비석의 글은 화북면 출신의 [[김인(1924)|김인]] 전 국회의원이 썼다고 한다.[[http://www.dmook.co.kr/gallery/view.asp?seq=203780&path=121117195913&page=23|#]]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1882년 출생]][[분류:195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