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성우(1896).jpg]] 李成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는 李成'''{{{+1 祐}}}'''로 등재되기도 했다.] [[1896년]] [[음력]] [[12월 13일]][* [[양력]] [[1월 15일]]] ~ [[1965년]] [[8월 7일]][* 함평이씨대동보 권11 1065쪽 참조.] (향년 68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본관은 [[함평 이씨|함평]](咸平)[* 효우공파(孝友公派) 29세 재(載) 항렬.], 자는 재욱(載旭), 호는 동포(東圃). == 생애 == === 출생 및 성장배경 === 1896년 음력 12월 13일(양력 1월 15일)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아버지 영은(穎隱) 이두회(李斗回, 1869. 9. 27 ~ 1926. 10. 28)[* 족보명 이충범(李忠範).]과 어머니 [[함평 모씨]](1870. 2. 22 ~ ?. 6. 11)[* 모종민(牟宗敏)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http://db.history.go.kr/id/im_108_03006|태어났다]]. 조부 이태형(李泰亨, 1841 ~ 1894. 12. 25)[* 족보명 이계균(李啓均), 자는 상삼(相三).]은 1888년([[고종(조선)|고종]] 25) [[무과]]에 급제한 뒤 1890년(고종 27) 고군산진 수군첨절제사(古群山鎭水軍僉節制使)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7_10A_29A_00600_2003_142_XML|임명되었다]]. 이후 1894년 4월 16일 동학농민군이 전라도 함평현에 입성하자, 이때부터 [[동학 농민 혁명]]에 가담해 수시로 고군산진과 함평현 영풍면 주포(現 함평군 [[함평읍]] 장년리 구주포마을)를 오가며 함평현 읍내에 주둔한 백여 명의 동학농민군에게 지시를 내려 함평현, [[영광군]], [[나주시|나주목]](現 [[나주시]]) 경계를 배회하며 관군을 계속 남하하도록 유도케 했다. 그리고 후방에서 가축 및 식량 등의 군수물자를 동학농민군에 지원해주었다. 이러한 활약이 이어 발발한 [[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동학농민군이 승리는 거두는 계기가 된 것이다.[* [[https://db.history.go.kr/id/prw_019|동학농민혁명 증언록 - 현직관리로 농민군에 가담한 이태형, 증손 일행]]] 그러나 이후 45촌 지간의 족숙(族叔)인 고창현감 이경인(李景寅, 1851 ~ 1895. 2. 27)[* 현감공(縣監公) 손무(孫茂)파 26세 현(鉉) 항렬. 초명 이현인(李鉉寅), 자는 진구(珍九). 장남 [[이남규(1867)|이남규]]는 [[정미의병]] 당시 [[기삼연]] 의병장 휘하에서 활약한 공로로 [[독립유공자]]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34|서훈되었다]]. 1877년([[고종(조선)|고종]] 14) [[경기도]] [[수원시|수원유수부]]에서 심한 기근이 들자, 1만 냥을 의연금으로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14_04A_16A_00120_2004_067_XML|기부하였다]]. 이에 대한 포상으로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 종6품)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14_04A_28A_00160_2004_067_XML|임명되면서]] 관직에 진출했다. 이때 또한 [[전라도]]에도 기근에 대한 의연금 2,000냥을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14_08A_21A_00180_2004_069_XML|기부하기도 했다]]. 1887년(고종 24) 고창현감(高敞縣監)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4_12A_28A_00330_2003_126_XML|임명되었으나]] 1888년 총무관 겸 전운어사(總務官兼轉運御史) 홍종영(洪鍾永)의 탄핵으로 사고가 있을 때 관련 아전과 향임(鄕任)을 제때 파견하지 않아 일 처리를 그르치고, 무뢰배가 진(鎭)의 장교(將校)를 구타했음에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음이 드러나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5_06A_03A_00300_2003_129_XML|파직되었다]].]의 밀고로 관군에 체포되어 1894년 12월 25일 전라도 [[나주시|나주목]](現 [[전라남도]] [[나주시]])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후 이경인은 동학 농민 혁명이 평정되자 1895년 2월 27일 함평현에 방문했고, 함평현 읍내 기성면 서부리(現 함평군 함평읍 내교리 서부마을)[* 지금의 [[https://naver.me/5izpahIg|함평농협본점]] 자리]에서 연회를 벌이던 중 이태형의 장남 이두회에 발각되어 살해되었다. 이때문에 세상에서는 이두회를 '의기(義氣)있는 효자(孝子)'라 불렀다고 한다. 한편, 이태형이 처형된 후 그 후손들은 거처도 없이 조정의 탄압을 피해다녀야 했는데,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한 뒤 이태형의 9촌 삼종질(三從姪)이자 고종 때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5A_29A_00060_2004_173_XML|조경묘 참봉]](肇慶廟參奉, 종9품) 및 만경군수·은율군수를 지낸 석암(石菴) 이동범(李東範, 1869 ~ 1940. 3. 2)[* 자는 경연(敬然). 이 사람이 건립해 살았던 집이 2004년 2월 13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aMeaEmOJxp1TJGy1IlOwY01pnFB6ONWNOWORkPk8Ozb0zU21nG6FxCM7BJd8TgBR.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3413602500000|함평 이재혁 가옥]](咸平李載爀家屋,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379-2번지 소재)이다. 건립 후 자신의 차남 죽하(竹下) 이재혁(李載爀, 1893. 9. 15 ~ 1992)이 대를 이어 거주하면서 현재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 집은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2012100033|'이참봉'댁]]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1898년경 [[백범 김구]]가 은거했었다고 한다.]이 [[https://db.history.go.kr/id/prw_019|집을 지어주어]] 생계를 보태준 뒤에야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1954년 또는 1955년에 이성우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現 [[광주광역시]])에서 이경인의 증손자 이정근(李正根, 1924. 3. 6 ~ )[* 족보명은 이재근(李載根).]을 만나 과거의 앙금을 풀고 화해했다고 하며, 이성우의 장남 이일행(李一行, 1931. 12. 5 ~ 2006) 또한 [[서울특별시]]에서 이정근을 만나 재차 화해했다고. === 활동 내역 === 한편, 이성우는 일찍이 상경해 [[중동고등학교|경성부 중동고등보통학교]](現 [[중동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이후 귀향해 수년간 농업에 종사하면서 8년간 함농사친회 회장을 지냈다. [[8.15 광복]] 후 [[함평골프고등학교|함평공립농림중학교]](現 [[함평골프고등학교]]) 후원회장에 취임해 지방교육사업에 종사했으며, 신문사 지국장을 5년간 맡기도 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함평군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듬해인 1949년 7월 29일 [[대한노농당]]에 [[http://db.history.go.kr/id/dh_013_1949_07_29_0050|입당했다]]. 1949년 10월 12일 [[제헌 국회]] 제4회 임시국회에서 [[대한민국 국회|국회]] 외무국방위원회 상임위원에 [[http://db.history.go.kr/id/dh_014_1949_10_12_0020|선임되었다]]. 1950년 2월 25일 [[대한국민당]]에 [[http://db.history.go.kr/id/dh_016_1950_02_25_0110|입당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전라남도 함평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민주국민당]] 서상국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65년 8월 7일 사망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전남 함평군[* 제25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0,870표 (31.93%)'''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함평군[* 제18선거구] || [include(틀:대한국민당(1949년))] || 684표 (3.77%) || 낙선 (6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1896년 출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