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8e55a2,#8e55a2 이세계 마왕과}}} {{{#ce0017,#ce0017 소환 소녀}}}{{{#8e55a2,#8e55a2 의}}} {{{#086d41,#086d41 노예 마술}}}}}}''' (2018)[br]{{{#8e55a2,#8e55a2 異世界魔王と}}}{{{#ce0017,#ce0017 召喚少女}}}{{{#8e55a2,#8e55a2 の}}}{{{#086d41,#086d41 奴隷魔術}}}[br]{{{-1 {{{#8e55a2,#8e55a2 How Not to Summon a Demon Lo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세계 마왕.jpg|width=100%]]}}} || ||<-2> {{{#086d41,#086d4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086d41,#086d41 장르}}}''' ||[[이세계 전이물|이세계 전이]], [[판타지]], [[마왕물|마왕]] || || '''{{{#086d41,#086d41 원작}}}''' ||무라사키 유키야(むらさきゆきや) || || '''{{{#086d41,#086d41 캐릭터 원안}}}''' ||츠루사키 타카히로(鶴崎貴大) || || '''{{{#086d41,#086d41 감독}}}''' ||[[무라노 유타]] || || '''{{{#086d41,#086d41 시리즈 구성}}}''' ||[[후데야스 카즈유키]] || || '''{{{#086d41,#086d41 캐릭터 디자인}}}''' ||[[카네코 시즈에]] || || '''{{{#086d41,#086d41 총 작화감독}}}''' ||니시오카 유키(西岡夕樹) || || '''{{{#086d41,#086d41 몬스터 디자인}}}''' ||<|2>미야모토 유키(宮本雄岐) || || '''{{{#086d41,#086d41 액션 작화감독}}}''' || || '''{{{#086d41,#086d41 프롭 디자인}}}''' ||나카지마 유이치(中島裕一) || || '''{{{#086d41,#086d41 미술 감독}}}''' ||오카모토 호다카(岡本穂高) || || '''{{{#086d41,#086d41 색채 설계}}}''' ||오오츠카 나츠코(大塚奈津子) || || '''{{{#086d41,#086d41 촬영 감독}}}''' ||사토 텟페이(佐藤哲平) || || '''{{{#086d41,#086d41 편집}}}''' ||요시타케 마사토(吉武将人) || || '''{{{#086d41,#086d41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086d41,#086d41 음향 제작}}}''' ||HALP H·P STUDIO || || '''{{{#086d41,#086d41 음악}}}''' ||카토 유스케(加藤裕介) || || '''{{{#086d41,#086d41 음악 제작}}}''' ||[[에이벡스 그룹|DIVE Ⅱ Entertainment]] || || '''{{{#086d41,#086d41 프로듀서}}}''' ||무라카미 타카시(村上貴志)[br]야마오카 유키(山岡勇輝)[br]와타세 쇼타(渡瀬昌太)[br]후루세 마코토(古瀬 慎)[br]오자와 신이치로(小澤慎一朗)[br]스즈키 세이지(鈴木誠二)[br]시오타니 요시유키(塩谷佳之)[br]모모다 히데오(百田英生)[br]오치아이 타케시(落合 剛)[br]미야기 소지(宮城惣次)[br]바바 요코(馬場楊子) || || '''{{{#086d41,#086d41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아라카와 유토(荒川勇人) || || '''{{{#086d41,#086d41 애니메이션 제작}}}''' ||[[아세아당]] || || '''{{{#086d41,#086d41 제작}}}''' ||이세계마왕 [[제작위원회]] || || '''{{{#086d41,#086d41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8년 7월|2018. 07. 05.]] ~ 2018. 09. 20. || || '''{{{#086d41,#086d4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목) 2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화) 00:00[br]→ (화) 01:00 || || '''{{{#086d41,#086d41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38832|▶]][br][[넷플릭스]][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357320|▶]] || || '''{{{#086d41,#086d41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86d41,#086d41 화수}}}''' ||12화 || || '''{{{#086d41,#086d41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첫 공개 시에는 [[15세 이용가|15세 이상 시청가]]였으나, 곧 수위를 인식해서인지 1화 방영 직전 19세로 상향되었다.][br]{{{-2 {{{#ffffff (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 || '''{{{#086d41,#086d41 관련 사이트}}}''' ||[[http://season1.isekaimaou-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sekaimaou)]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이트 노벨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의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1기.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8년 7월|2018년 7월]]. 감독은 [[무라노 유타]], 제작사는 [[아세아당]]이 맡았다. == 공개 정보 ==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자막으로 동시방영만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심의 등급이 15세 시청가였으나, 수위가 높다는 걸 뒤늦게 의식해서인지 방영 직전에 19세 시청가로 올라갔다. 그럼에도 막상 전파를 탄 결과물은 누가 애맥 아니랄까 봐 모자이크가 아주 넘쳐 흐른다. 가위질도 심해서 2화는 아예 상영시간이 21분밖에 안 된다.[* 일반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1화 분량은 오프닝&엔딩&차회예고 다 합쳐서 24분 내외다. 즉 1/8이나 가위질 당했다는 소리. 다른 말로는 '''오프닝, 엔딩 영상(각각 1분 30초 내외)을 합친 거와 동일한 분량'''을 본편에서 도려냈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망의 10화에서는 마왕 부활 전후 장면을 모조리 자르고 나니 상영시간이 고작 '''20분''' 남짓하는 수준이 되었다. --이쯤 되면 신기록 달성이다.-- 2018년 3분기 애니맥스 동시방영작 중 유일하게 오프닝과 엔딩에 가사 자막이 들어가는 작품이다. 5화부터 추가. 북미에서는 [[크런치롤]]에서 동시방영을 하며, 방송이 아닌 VOD 사이트를 통해서만 서비스되는 만큼 당연히 무삭제 원본이다. [[퍼니메이션]]에서도 'How Not to Summon a Demon Lord'라는 제목으로 방영하는데, 이쪽은 한국과 달리 영어 더빙으로 [[https://en.wikipedia.org/wiki/How_Not_to_Summon_a_Demon_Lord|방영된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rSnbvpprm4, width=100%)]}}} || || '''애니맥스 PV''' || == 줄거리 == >게임 마왕하고 있었더니, 이 세계에 소환되었다? >MMORPG 크로스레버리에서 사카모토 타쿠마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마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압 >도적인 힘을 자랑하던 어느 날, 그는 게임 내의 모습으로 이세계에 소환돼 버린다. >거기에는 ‘내가 바로 소환주’라 우기는 소녀 두 명이 있었다. >타쿠마는 그녀들로부터 소환수의 노예화 마법을 받게 되는데…. >그러나 고유 능력 ‘마법 반사’ 발동! 노예화된 것은 소녀들이었다! 당황하는 타쿠마. >그는 최강의 마술사였지만,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전무했다. >고민 끝에 던진 한마디는 게임에서 사용하던 마왕 역할 연기?! > >‘내가 대단하다고? 당연하지. 나는 [[디아블로(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디아블로]]… 마왕으로써 공포의 대상이다!’ > >마침내 세계를 뒤흔드는 마왕(연기)이 절대적인 힘으로 돌진하는 이세계 모험담 개막! >---- >''― [[https://laftel.net/item/38832|라프텔]]''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등장인물)]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086d41,#086d41 OP[br]DeCI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nJfYJ-RVGs, width=100%)]}}} || ||<-2> '''{{{#086d41,#086d4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86d41,#086d41 Full ver.}}}''' || || '''노래''' || SUMMONERS 2+[br],,셰라 L 그린우드 (CV. [[세리자와 유우]]) / 렘 가레우 (CV. [[와키 아즈미]]) / 알리시아 (CV. [[하라 유미]]) / 실비 (CV. [[오오쿠보 루미]]) / 에델가르트 (CV. [[카토 에미리]]),,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唐沢美帆) || || '''작곡''' ||<|2> 카토 유스케(加藤裕介)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무라노 유타]] || || '''연출''' || || '''작화감독''' || 엔도 에미코(遠藤江美子) || || '''총 작화감독''' || 니시오카 유키(西岡夕樹)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 ED === ||<-2>
'''{{{#086d41,#086d41 ED[br]最悪な日でもあなたが好き。[br]최악의 날이라도 당신이 좋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86d41,#086d4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MwmEzEG08U, width=100%)]}}} || ||<-2> '''{{{#086d41,#086d41 Full ver.}}}''' || || '''노래''' || [[세리자와 유우]][* 본 애니메이션에서 [[셰라 L. 그린우드]]의 성우를 맡고 있다.] || || '''작사''' ||<|3> [[HoneyWorks]]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무라노 유타]] || || '''연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후데야스 카즈유키]]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魔王演技[br]마왕 연기 || [[무라노 유타]] ||<|2> 네기시 히로키[br](根岸宏樹) || 엔도 에미코[br](遠藤江美子) || 日: 2018.07.05.[br]韓: 2018.07.10. || || 제2화 || 最強新人[br]최강 신인 || [[후지모리 마사야]] || 세키네 마사유키[br](関根昌之) || 日: 2018.07.12.[br]韓: 2018.07.17. || || 제3화 || 魔族襲来[br]마족 습격 || 무라노 유타 || 사카이바시 와타루[br](境橋 渡) || 카토 시게루[br](加藤 茂)[br]유도 야요이[br](有働弥生) || 日: 2018.07.19.[br]韓: 2018.07.24. || || 제4화 || 追撃乱舞[br]추격 난무 || 후지모리 마사야 || 네기시 히로키 || 엔도 에미코[br]세키네 마사유키 || 日: 2018.07.26.[br]韓: 2018.07.31. || || 제5화 || 国家騎士[br]국가 기사 || 타카하시 토오루[br](高橋 亨) || 칸바라 토시아키[br](神原敏昭) || [[이카이 카즈유키]][br]나리마츠 요시토[br](成松義人)[br]유효상[br](柳孝相)[br]카도 토모아키[br](門 智昭)[br][[STUDIO MASSKET]] || 日: 2018.08.02.[br]韓: 2018.08.07. || || 제6화 || 奴隷市場[br]노예 시장 || [[모리 타케시]] || [[코가 카즈오미]] || 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br]사이토 카오리[br](齋藤香織)[br]이이즈카 요코[br](飯塚葉子)[br]니시오카 유키[br](西岡夕樹)[br]엔도 에미코 || 日: 2018.08.09.[br]韓: 2018.08.14. || || 제7화 || 人心変転[br]인심 변전 || 무라노 유타 || 타카기 요시에[br](高木由絵) || 이보나[br](李普螺) || 日: 2018.08.16.[br]韓: 2018.08.21. || || 제8화 || 英雄驀進[br]영웅 맥진 || 후지모리 마사야 || 네기시 히로키 || 후지모리 마사야[br]ジャカルタカルカッタ軽田[br]야나기다 요시아키[br](柳田義明)[br][[카이야 토시히사]][br]니시오카 유키[br]엔도 에미코 || 日: 2018.08.23.[br]韓: 2018.08.28. || || 제9화 || 聖騎士譚[br]성기사담 || 모리 타케시 || 칸바라 토시아키 || 카도 토모아키[br]쿠마가이 카요코[br](熊谷香代子)[br]오오하시 유고[br](大橋勇吾)[br]이카이 카즈유키[br][[STUDIO MASSKET|마스켓]] || 日: 2018.08.30.[br]韓: 2018.09.04. || || 제10화 || 魔王復活[br]마왕 부활 || 무라노 유타 || 쿠니사키 토모야[br](国崎友也) || 와타나베 코지[br](渡辺浩二)[br]이카이 카즈유키[br]니시오카 유키[br]엔도 에미코 || 日: 2018.09.06.[br]韓: 2018.09.11. || || 제11화 || 幼女覚醒[br]유녀 각성 || 모리 타케시 || 코가 카즈오미 || 마츠모토 후미오[br](松本文男)[br]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 || 日: 2018.09.13.[br]韓: 2018.09.18. || || 제12화 || 真贋対戦[br]진안 대전 || 무라노 유타[br]후지모리 마사야 || 네기시 히로키[br]타카기 요시에 || 후지모리 마사야[br]ジャカルタカルカッタ軽田[br]사쿠라이 마사아키[br](桜井正明)[br]이보나[br]니시오카 유키[br]엔도 에미코 || 日: 2018.09.20.[br]韓: 2018.09.25. || == 평가 == 스토리, 캐릭터는 어디에나 있을 법한 진부한 소재이다보니 흥미마저 떨어져서 이세계물로서의 평가는 낮은 편이다. 다만 하렘물로서는 굉장히 평가가 좋은 편인데, 동분기의 동일 장르인 [[오버로드(소설)/애니메이션/평가|오버로드 2기의 평가]]가 바닥을 쳤다보니 오히려 해당 애니가 상대적으로 고평가를 받은 점도 있다. 라노벨 기준 3권까지 애니화되었는데, 세세한 묘사나 대사 등이 바뀌었으나 애니 특유의 연출과 시간 분배 문제로 인한 변경 정도라 큰 위화감은 없는 편. 전개 속도도 무난하다. 원작의 잘 빠진 디자인이 애니화가 되면서 너프를 먹어, 불안해하는 의견이 많았으나 그런 의견은 쏙 들어가버릴 만큼 작화가 좋은 편이다. 성우의 목소리 연기도 캐릭터와 잘 들어맞는 편. 셰라의 [[바스트 모핑]]과 '''머리카락 처리''' 등은 특히나 더 공을 들였다. 바람에 휘날리는 머리카락과 옷은 그리기에 상당히 난해해서 그냥 대충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품은 논외다..[* 게임 프로그래밍에서도 괜히 유체 역학과 천(cloth) 물리, 머리카락 같은 건 매우 무겁고 까다로운 연산이 필요한 게 아니다.] 심지어 중간의 스폰서 화면조차 정지 화면이 아니다. 요새 애니메이션들이 스크린샷으로 때우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꽤나 의외인 부분. 물론 한국판은 검열로 인해 의미가 없어졌지만... BD/DVD 1권 초동판매량은 약 1380여장으로 무난한 성적을 기록했다. 사실 일본보다 서양에서 더 흥행한 작품이다. 작화나 액션이 그쪽 취향에 잘 맞았고 더빙이 잘 되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런 흥행 덕분에 2기가 나오기도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 version=740, paragraph=6.2, title2=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애니메이션, version2=12)] [[분류: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8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