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세영}}}[br]李世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세영(1870).jpg|width=100%]]}}} || || '''이명''' ||이유흠(李維欽), 이세구(李世求)[* [[http://db.history.go.kr/id/su_007_1924_08_25_0910|#]]] || || '''자''' ||좌현(佐顯) || || '''호''' ||고광(古狂)·천민(天民) || || '''본관''' ||[[덕수 이씨]][* 충무공파 24세 영(永) 항렬.] || ||<|2> '''출생''' ||[[1870년]][* 1869년생이라고도 한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5366626#home|#]]] [[5월 29일]] || ||[[충청도]] [[아산시|아산현]] 이동면 구휴동[br](現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신휴3리 구부엉골마을)[* [[https://www.joongang.co.kr/article/5366626#home|#]] 신휴리 87-2번지에 [[https://blog.daum.net/gaetuel/656|생가터가 있다고 한다]].] || ||<|2> '''사망''' ||[[1941년]] [[5월 28일]] || ||[[중화민국]] [[사천성]] [[성도]] || || '''묘소''' ||[[중국]]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본래는 이순신의 형 율리공(栗里公) 이요신(李堯臣)의 12대손이나, 입양된 후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12대손이 되었다. [[이민우(1905)|이민우]] 전 국회의원은 7촌 재종숙(再從叔)이다. == 생애 == 1870년 5월 29일 충청도 아산현 이동면 구휴동(現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신휴3리 구부엉골마을)에서 아버지 이민하(李敏夏, 1851. 2. 2 ~ 1950. 2. 9)와 어머니 [[평강 채씨]](1845. 8. 14 ~ 1924. 2. 23)[* 채예묵(蔡禮默)의 딸이다.]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25촌 지간의 족숙(族叔) 이민철(李敏哲, 1844 ~ 1886. 7. 21)에 입양되었으며, 1894년 [[청일전쟁]]이 발발할 무렵 충청도 [[청양군|정산현]] 관면 관현리(現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관현리)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그 뒤 1895년 10월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이에 분개하여 그해 11월 [[홍성군|홍주부]] [[홍성군|홍주군]](現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을미의병]]을 일으켰으나 [[전라도]] 관찰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952|이승우]](李勝宇)가 의병대에 가담하는 체하면서 몰래 정부측 관리와 내통하여 [[김복한]] 등을 체포, 투옥시키면서 의병대가 와해되었다. 그는 이 때문에 홍주부 [[부여군|홍산군]]으로 피신하였고, 이듬해인 1896년에는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2261|황재현]](黃載顯) 등과 함께 홍주부 [[보령시|남포군]]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으나 또 다시 실패하였다. 그 뒤 군 주사(郡主事)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1906년에는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014|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그의 참모장으로서 활약했으나, 그해 4월 홍주군에서 패하면서 충청남도경찰부에 체포되었다. 체포된 후에는 종신 유배형을 선고받아 [[황해도]] [[황주군]]에 유배되었다. 1907년 10월 그는 [[재령강]] 연안의 철도(鐵島)로 옮겨졌다가 유배형이 해제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 뒤 [[경술국치]]를 당하고 1912년 [[임병찬]] 등이 비밀결사 [[대한독립의군부]]를 조직하자 이세영은 충청도·[[전라도]]·[[경상도]] 3도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13년 3월에는 [[함경도]]·[[평안도]]·[[황해도]] 3도 총사령관에 임명되었고 그해 6월에는 [[만주]]로 건너가 [[선양시|봉천부]](奉天府) 통화현(通化縣) 합니하(哈泥河)[* 現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 퉁화현(通化縣) 광화진(光華鎭) 광화촌(光華村) 제7촌민소조(第七村民小組).]에 있던 [[신흥무관학교|신흥강습소]] 소장 서리에 취임하였다. 1917년 6월에는 소장에 취임했고, 그해 11월에는 신흥중학교 교장에 취임했다. 그 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에서 출범하자, 이에 가담하였고 참모차장에 임명되었다. 1920년 5월 3일에는 [[신흥무관학교]] 교장에 취임하였고, 1921년 11월에는 주만통군부 사령관에 취임하였다. 1922년 2월에는 한교교육회 이사장에 취임하였고, 이어 그해 8월 [[대한통군부]] 군사부장, 10월 [[대한통의부]] 군사위원장 등에 취임하였다. 1932년 3월에는 [[충칭]] 신사회(新社會) 부위원장, [[요녕성]]·[[길림성]]·[[흑룡강성]] 민중후원회 간사에 각각 임명되어 활동했다. 1941년 5월 28일 중화민국 사천성 성도에서 별세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덕수 이씨 충무공파]][[분류:1870년 출생]][[분류:1941년 사망]][[분류:건국훈장 독립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