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IMG_20220225_0061-94년3월.jpg|width=250]] [br] 1994년의 모습 || || '''이름''' || 이수형 (李壽衡) || || '''영문''' || Soo-Hyung Rhee || || '''출생''' || [[1941년]] 2월 1일 음력 || || '''사망''' || [[2022년]] 2월 13일 양력 || || '''직업''' || [[건축가]] || || '''모교''' || [[한양대학교]] (건축공학/학사) || || '''배우자''' || 박은경 || || '''자녀''' || 2남 || || '''수상''' || 1971년 최연소 건축사시험 합격 [br] 동작구민회관 현상설계경기 우수작 [*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199574553540748&oCn=JAKO199574553540748&dbt=JAKO&journal=NJOU00290372|현상설계경기 - 동작구 구민회관 및 보건소 청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건축가. [[여주 이씨]] 병사공파 (상위종중 상서공파, 경헌공파) 28세로 슬하에 두 아들을 남겼다.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14기)하고 건축연구소 창성사, 삼성합동 선건축, 정 건축연구소, 삼화합동 설계공단, 범일건축사무소 등의 대표를 맡았으며, 유신종합건축사사무소의 설계소장으로 성남제2종합운동장, 대전월드컵경기장 등을 실시 설계하고 시공감리를 맡았다. == 어린 시절 == 이수형은 1941년 2월 1일 [[경기도]] [[수원시]] 신풍동에서 이필항과 신정재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 위로 누나가 있고, 형이 있었으나, 형은 100일이 되지 않아 일찍 죽어, 장남의 역할이 되었다. 4세 되던 해, 수원시내에서 큰 한약방을 운영하던 조부 이성구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가세가 기울어, 그림을 잘 그리고 조각을 좋아했음에도 장남의 책임감에 미술에의 꿈을 접을 수 밖에 없었다. 수원 신풍국민학교[* 현재 [[신풍초등학교(경기)|신풍초등학교]]] 시절부터 공부를 잘해 이후 서울의 명문 [[용산고등학교]]로 진학했지만, 장거리 열차 통학의 고통으로 영양실조와 폐렴을 앓아, 고등학교 2학년 때 고등학교를 1년 휴학하였다. 대학 입시에서 전기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 지원했지만 아쉽게 낙방하여 후기로 한양대학교[* 당시 한양대학교는 서울대학교에 낙방한 우수한 학생들이 진학하는 후기전문대학이었다.]에 진학하였다. == 활동 == === 초기 === [[1971년]] 만 30세 최연소로 1급 [[건축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1973년 건축기술자 을류 면허를 취득하였다. 1965-1973년 화신건축연구소 근무하였고, 1969년 제주은행 제주본점 건설현장 감독을 역임하였다. 1973년부터 1988년까지 건축연구소 창성사, 선건축연구소, 정 건축, 삼화합동 설계사무소, 원일 종합건축사 사무소의 대표를 맡았다. 1984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현장에서 다수의 건축물을 설계하였다. === 중기 === 1988년부터 대략 10년간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건축사사무소 범일건축의 대표를 맡아 경영하면서, 파주군민회관 등을 설계하였다. 1997년부터 유신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소장을 맡아 남양주종합운동장, 성남제2종합경기장[* 현재 [[탄천종합운동장]]], [[대전월드컵경기장]]을 설계, 시공감리했다. 1998년 대전월드컵경기장 설계할 당시, 거친 인조잔디와 비싼 해외수입잔디를 배제하고, 국내 최초로 한국형 천연잔디를 도입하였다. 여담으로 당시 [[국제축구연맹]]는 관중석 모두를 지붕으로 덮을 것을 요구하였는데, 잔디의 생장을 연구하여 최소일광시간에 필요한 지붕의 면적 및 각도를 계산해보니, 한국 기후의 특성상 지붕을 이렇게 만들 경우 잔디 발육에 큰 문제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와 같은 우려를 [[대한축구협회]]에 전달하였으나 묵살당하였고, 이에 유신건축 김지덕 대표는 직접 국제축구연맹에 지붕의 면적을 탄력적으로 줄일 것을 건의해 어렵게 승인받았다[* [[https://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2420|건축은 끊임없는 나의 여정 - 김지덕 인터뷰]]]. 이런 과정을 통해, 대전월드컵경기장은 대한민국 최초로 반 개폐식 지붕구조를 갖춘 축구 전용 경기장로 재설계되었다. 평소에는 지붕을 열어 잔디에 흠뻑 태양 광선을 쏘여 최소일광시간을 보장하고, 비가 오는 날에는 지붕을 덮어 65%의 좌석을 가릴 수 있다. 대전월드컵경기장의 이동식 지붕은 한국의 전통 [[지게]]모양을 모티브로 사용하여 설계하여 전통미와 현대적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파일:dajeon-worldcup-roof.jpg]] 이수형의 대전월드컵경기장 지붕 설계안. 2001년부터는 유신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고문으로 일하기도 했다. == 사망 == 2000년 대전월드컵경기장의 완공을 수개월 앞두고 뇌경색으로 쓰러져 오랜 투병 생활을 했었다. 신장기능이 악화되어 2021년부터 하워드힐요양병원에 입원하여 지내오다, [[2022년]] 투석과정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 확진 하루만에, 경기도 용인 다보스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다음날 병원에서 말기 신부전과 [[코로나19]]로 사망했다. [[수원 연화장]][* 노무현 전 대통령이 화장된 곳으로 유명하다.]에서 화장되었고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여주이씨 선산에 묻혔다. == 주요 작품 == * 대전복합터미널 * 제주은행 본점 * 법무부 제주지검 * 파주군민회관 * [[남양주종합운동장]] * 성남제2종합경기장 * 대전월드컵경기장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건축가]][[분류:1941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용산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수원시 출신 인물]][[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죽은 인물]][[분류:여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