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스라엘)] [Include(틀:이스라엘 관련 문서)] [Include(틀:이스라엘의 행정구역)] [목차] == 개요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7/Israel_districts.png|사진]] ➀북부 관구, ➁중부 관구, ➂남부 관구, ➃하이파 관구, ➄텔아비브 관구, ➅예루살렘 관구, ➆유대아 사마리아 특구로 구성된다. 이스라엘 국토의 면적은 약 2만 제곱킬로미터이며 대략 [[경상북도]]의 면적과 비슷하다. === 북부 관구 === 치소([[治]][[所]])는 노프 하갈릴(Nof Hagalil)이지만, 최대 도시는 [[나사렛|나츠라트]]인데, 이스라엘 본토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구역이다. [[골란 고원]]과 [[https://en.wikipedia.org/wiki/Mount_Hermon|헤르몬 산]]도 이곳에 위치한다. === 중부 관구 === 최대도시이자 치소는 라믈라(Ramla; 팔레스타인의 [[라말라]]와는 다른 곳이다). === 남부 관구 === 최대 도시는 [[아슈도드]]. 대부분이 [[네게브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게브 사막 한가운데에 [[베르셰바]]가 치소로서 자리잡고 있다. === 하이파 관구 === 최대도시이자 치소는 [[하이파]]. 텔아비브와 더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주요도시이자, 예루살렘, 텔아비브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아랍계 기독교인]] 주민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이 비교적 갈등없이 잘 지내는 지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 텔아비브 관구 === 최대도시이자 치소는 [[텔아비브]]. 이스라엘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며, 본격적으로 수도를 예루살렘으로 옮긴 이후로도 여전히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이스라엘 아랍인]]들은 주로 야파(Jaffa)라는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지역[* 물론 이스라엘 입장에서 중세 십자군 유적 등등은 별로 유쾌한 기억이 아니므로 옛날 유적들은 별로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여타 유명 역사도시들의 구시가지 느낌은 잘 들지 않는다.]에 거주하고 있다. === 예루살렘 관구 === 최대도시이자 치소는 [[예루살렘]]. [[오슬로 협정]]의 발효에 따라서 서예루살렘 지방([[이스라엘]]의 예루살렘 관구)과 동예루살렘 지방([[팔레스타인]]의 예루살렘 현)이 분리되었다. [[유엔 총회]]에서 거론하는 서예루살렘과 동예루살렘은 옛날의 양국간([[이스라엘]] vs [[요르단]]) [[휴전선]]이 지나가는 [[공간]]이다. 오늘날의 예루살렘 시가지는 이스라엘 정부의 [[도시계획]]에 따라 [[시내]]([[新]]시가지)와 [[읍성]]([[舊]]시가지)의 [[사회간접자본]]을 [[재개발]]한 산물이다.[* 신시가지인 시내는 이전부터 이스라엘 관할이던 곳으로 과거의 서예루살렘 시를 가리키고, 구시가지인 읍성은 옛 요르단령 동예루살렘 시를 가리킨다.] 현재 [[팔레스타인]]이 다스리는 동예루살렘 지방은 [[이북 5도|명목상으로는 오스만 제국 시절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포함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스라엘 내무부가 '''서예루살렘 지방의 [[부도심]]으로 편입하여'''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관할하기 때문에 국가체제로서 팔레스타인의 [[통치]][[권력]]이 전무하며, 대신 [[파타]] 계열 정치단체들이 [[오월동주|거액의 자금을 투자해]] 예루살렘 시내의 사회문화에 깊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814804|영향력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741157|행사하고]] 있다.[* 예루살렘 시내의 비유대인 공동체에 투자하는 [[파타]] 계열 정치단체들의 영향력에 대한 내용은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8603339|모던 지하드]]([[https://en.wikipedia.org/wiki/Loretta_Napoleoni|로레타 나폴레오니]]),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707752|베이루트에서 예루살렘까지]]([[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Friedman|토머스 프리드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99568|봉기]](레티시아 비카이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03902|아랍 vs 이스라엘]]([[https://ja.wikipedia.org/wiki/%E7%AB%8B%E5%B1%B1%E8%89%AF%E5%8F%B8|다테야마 료지]]),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371469|팔레스타인 땅 이스라엘 정착촌]](홍미정),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575739|내 집을 차지한 이방인]]([[https://en.wikipedia.org/wiki/Raja_Shehadeh|라자 샤하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316335|팔레스타인 현대사]]와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6176376|팔레스타인 비극사]]([[https://en.wikipedia.org/wiki/Ilan_Papp%C3%A9|일란 파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0391942|6일 전쟁]]([[https://en.wikipedia.org/wiki/Jeremy_Bowen|제러미 보엔]]),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4970415|6일 전쟁 50년의 점령]]([[https://en.wikipedia.org/wiki/Ahron_Bregman|아론 브레그먼]]) 등을 참고.] === 유대아 사마리아 특구 === 이스라엘인들의 정착촌들이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아랍 연맹]]의 회원국들은 [[팔레스타인인|팔레스타인 아랍인들]]([[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영역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모디인일리트가 이스라엘 국민들이 거주하는 정착촌 도시들 가운데 가장 큰 곳이다. '''기실 이스라엘 정부는 이 일대를 끝내 합병하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와 요르단과의 우호관계 유지에 대해서 중앙부처간에 의견이 갈렸고, 이런 상황에서 마치 한반도의 [[미군정청]]처럼 민족 화합과 거리가 매우 먼 급진적인 정책을 펼쳐 비유대인들의 어마어마한 반감을 샀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행정구역들과 달리 [[https://en.wikipedia.org/wiki/Israeli_Civil_Administration|국방부 민정청]]('''군정통치체제의 민사행정기관''')이 다스리는 [[특별행정구]]로서 관리하고 있다. == 여담 == [[6일 전쟁]]에서 국운을 걸고 대승을 거둔 이스라엘 중앙정부는 [[시나이 반도]]를 '''군정통치구역'''(북서부)과 '''민정통치구역'''(남동부)으로 분리하면서 다스렸는데, [[수에즈 운하]]와 [[지중해]] [[바닷가]]를 통제하는 군정통치구역은 [[이집트군]]의 반격을 격퇴하는 전쟁터로서 군정을 유지한 반면에, [[아카바|아카바 만]]과 [[홍해]] [[바닷가]]를 통제하는 민정통치구역은 매우 평온한 후방이었다. 그래서 민정통치구역을 이스라엘 남부 관구에 합병했으며, 농림업 정착촌과 상공업 정착촌 및 [[키부츠]]와 [[https://en.wikipedia.org/wiki/Moshav|모샤브]]를 여러 곳에 건설했는데, 이중 [[샤름 엘 셰이크|오피라]]와 [[타바]], [[다합]], [[https://en.wikipedia.org/wiki/Yamit|야미트]]가 유명하다. 1979년 3월에 체결한 [[https://en.wikipedia.org/wiki/Egypt%E2%80%93Israel_peace_treaty|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이 1980년 1월에 발효되자,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이스라엘 국민들을 데리고 차례로 철수하는 과정에서 이집트 정부에게 정식으로 반환했으며, 이스라엘 정부가 [[삼각측량]]을 추진하여 새롭게 작성한 [[지도]]들을 바탕으로 [[https://en.wikipedia.org/wiki/Egypt%E2%80%93Israel_barrier|이집트-이스라엘 국경]]도 다시 설정하고, 키부츠와 모샤브를 [[가자 지구]]와 변방으로 이전하면서 재건했다. [[가자 지구]]도 [[1960년대]]의 후반기부터 [[2000년대]]의 전반기까지 '''유대인 정착촌들만''' 민정통치구역으로 분리하여 이스라엘 남부 관구에 합병했지만, 2005년 모셰 카차브 [[이스라엘 대통령|대통령]]과 [[아리엘 샤론]] [[국무총리]], [[시몬 페레스]] [[부총리]]가 주도한 [[국무회의]]의[* [[영토]]와 [[영해]]의 변경은 대통령과 국무총리 및 부총리들과 장관들의 연서([[連]][[署]])를 요구하기 때문에 '''내각회의가 아니라 국무회의를 열어서''' 모든 [[국무위원]]들이 친필서명한 [[공문서]]에 [[도장]]을 찍어 비준하는 것이다.] 명령에 따라 이스라엘 민정관청들이 [[https://en.wikipedia.org/wiki/Israeli_disengagement_from_Gaza|정착촌의 주민들과 함께 급히 철수하면서]][*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이 매우 빨랐기 때문에 전국 방방곡곡에서 대규모의 반대시위가 벌떼같이 일어났지만, 정착촌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유대인 주민들의 이주에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했으며, [[이스라엘 경찰]]과 [[이스라엘 육군]]이 출동하여 정착촌과 도로망을 철통같이 경비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게 통치권을 양도했다. 그러나 2007년 자치정부의 주도권을 둘러싼 [[파타]]와 [[하마스]] 간의 [[파타-하마스 분쟁|내전]] 끝에 하마스가 장악하여 10년 넘게 하마스의 통제 아래 놓인 상태다. [[분류:이스라엘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