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승연}}}'''[br]'''李昇淵'''}}}}}} || || '''자 / 호''' ||응오(應五) / 지강(芝崗, 芝岡) || || '''본관''' ||[[광주 이씨]][*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칠곡파)-휘 유경(遺慶)파 18세 연(淵) 항렬.] || ||<|2> '''출생''' ||[[1861년]] [[10월 4일]] || ||[[경상도]] [[칠곡군|칠곡도호부]] 퇴촌면 구암동[br](현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구암동(대구)|구암동]])[* 출생지인 구암동 307번지에 그가 1905년 재건한 가옥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9648&cid=40942&categoryId=33080|이인술 가옥]]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 ||<|2> '''사망''' ||[[1933년]] [[4월 20일]][* 음력 3월 26일.] || ||[[경상북도]] [[칠곡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428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61년 10월 4일 경상도 칠곡도호부 퇴촌면 구암동(현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에서 아버지 이이장(李以璋)과 어머니 [[파평 윤씨]] 윤유일(尹攸一)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큰아버지 이이형(李以珩)에 입양되었다. 1913년 7월 만주에 설치된 [[신흥무관학교]]의 경비조달을 위해 국내에 온 [[박경종]]으로부터 [[간도|서간도]]의 항일전쟁 준비 상황을 전해 듣고, 병사 양성에 필요한 기금 20만원을 모아 조달하는 데에 찬동하여 그와 함께 경상북도 일원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하였다. 1914년 9월에도 만주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해 온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43344|황종언]](黃鍾彦)·[[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8796|이형국]](李衡國)[* 초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이상룡]]의 조카이다.]·[[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8903|이승화]](李承和)[* 초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이상룡]]의 5촌 당숙이다.]·[[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4938|이헌교]](李憲敎)·이종태(李鍾泰)[* 초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이상룡]]의 조부이다.] 등과 20만원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1915년 2월 체포되어 그해 8월 18일 경성지방법원의 예심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959&evntId=0034975117&evntdowngbn=Y&indpnId=000000727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으며]], 9월 2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개월형(미결 구류 150일 산입)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959&evntId=0034975124&evntdowngbn=Y&indpnId=000000728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19년에는 영남 유림의 파리장서 운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이후 1933년 3월 26일 별세하였다. 사후 198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11년 10월 9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광주 이씨]][[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861년 출생]][[분류:1933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