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승엽)]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승엽]]은 [[KBO 리그]]에서 의미가 큰 선수였던 만큼, [[한국야구위원회]]가 먼저 2017시즌 은퇴 투어를 제안하고 이를 전 구단이 동의하면서 시작되었다. == 행사 진행 == 대구 은퇴식 이전에는 KBO와 10개 구단이 합심해 이승엽의 구장별 마지막 원정 경기를 기념하는 사상 최초의 [[은퇴 투어]]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이승엽을 위해 각 구단이 준비한 선물을 전달하는 행사이다.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삼성의 마지막 경기 종료 후에 은퇴식을 열었다.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70908.010190847100001|출처]] 화려한 은퇴식을 위해 경기 시작 시간도 오후 2시에서 5시로 바꿨다. === 8월 11일 : [[한화 이글스]] /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문산 분재.jpg|width=100%%]]}}} || || {{{#fff 보문산 소나무 분재[br]전달자 : [[송광민|{{{#fff 송광민}}}]], [[박정진|{{{#fff 박정진}}}]], [[김태균|{{{#fff 김태균}}}]], [[배영수|{{{#fff 배영수}}}]], [[정근우|{{{#fff 정근우}}}]], [[이용규|{{{#fff 이용규}}}]] }}} || 대전에서 이승엽의 은퇴 투어가 시작되었다. 8월 10일 경기가 우천취소 되었지만 11일에 그대로 은퇴투어를 진행했다. [[한화 이글스]]는 대전 [[보문산]]에서 채취한 [[소나무]][* 대전의 시목.] 분재를 선물했다. 한화 소속이 아닌 선수 중 유일하게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외야 뒤쪽의 보문산 정상을 대전에서 친 홈런의 비거리 총합수로 넘었다는 의미라고 한다.[*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보문산 정상까지는 변위로 2,600m인데, 공이 그 거리를 비행하려면 비거리 115m 짜리 홈런을 23개 이상 쳐야 한다. 이승엽은 대전에서 28차례 담장을 넘겼다.] === [[생일|8월 18일]] : [[kt wiz]]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령전 운한각 인두화.jpg|width=100%%]]}}} || || {{{#fff 화령전 운한각 인두화[br]전달자 : [[염태영|{{{#fff 염태영}}}]] {{{-2 (경기도 수원시장)}}} }}} || [[kt wiz]]는 [[정조(조선)|정조]]의 초상화가 있는 [[수원화성]] [[화성행궁]] 화령전운한각을 그린 인두화를 선물했다. 인두화에는 '수원 시민 일동'이라고 적었다. 때마침 이승엽의 생일인 [[8월 18일]](선수 등록일 기준)에 행사가 열려 관중들이 생일 축하 노래도 함께 불러줬고 생일 케이크를 들고서 사진도 찍었다. === [[야구의 날|8월 23일]] : [[넥센 히어로즈]] / [[고척 스카이돔|고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척돔 잔디.jpg|width=100%%]]}}} || || {{{#fff 히어로즈 골드 유니폼 [br]전달자 : [[서건창|{{{#fff 서건창}}}]], [[장정석|{{{#fff 장정석}}}]] {{{-2 (넥센 히어로즈 감독)}}} }}} || [[넥센 히어로즈]]는 이승엽의 이름과 등번호 36번이 황금색으로 찍힌 넥센 유니폼을 제작해 액자에 넣어 전달했다. 액자 배경에는 [[고척 스카이돔]]에서 떼어낸 인조잔디를 사용했다. 또한 이 날은 넥센 선수단 식전행사 때 모두가 이승엽의 등번호인 36번을 달고 나왔으나, 경기 때는 본래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 === 9월 1일 : [[SK 와이번스]] / [[인천 SSG 랜더스필드|인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행용품.jpg|width=100%%]]}}} || || {{{#fff 여행용품[br]전달자 : [[박정권|{{{#fff 박정권}}}]], [[김강민|{{{#fff 김강민}}}]]}}} || [[SK 와이번스]]는 이승엽의 등 번호를 따 숫자 '3'과 '6'을 새긴 여행가방 두 개를 선물했다.[* 은퇴한 뒤 가족과 함께 두 가방을 들고 즐거운 여행을 하라는 뜻이라고 한다.] 사진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승엽의 선수 시절 플레이 사진들이 담긴 디지털 액자 또한 준비를 했다. 가방 안에는 그물 침대, 폴라로이드 사진기 등 여행 용품을 가득 담았다. 경기 전 SK 와이번스 프런트 측이 촬영한 영상에서 SK 팬들이 은퇴 이후 이승엽 선수가 가족들과 여행을 다녔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한 것과 인천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점을 반영한 듯하다. === 9월 3일 : [[두산 베어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자 달항아리.jpg|width=100%%]]}}} || || {{{#fff 백자 달항아리[br]전달자 : [[김태룡(1959)|{{{#fff 김태룡}}}]] {{{-2 (두산 베어스 단장)}}} }}} || [[두산 베어스]]는 퓨처스리그 홈구장이 있는 경기도 [[이천시]]의 특산품인 [[도자기]]와 캐리커쳐를 선물했다. 도자기에는 이승엽의 좌우명인 '진정한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가 새겨져 있고, 캐리커쳐는 두산의 홈 경기 이벤트 중 하나인 "허슬두데이" 행사에서 팬들에게 한정 수량으로 증정하는 굿즈에 그려져 있는 캐리커쳐 도안과 같은 그림체다. 이후 두산은 [[이대호/은퇴 투어|이대호 은퇴투어]] 때도 이 선물을 줬다. 그러고 얼마 뒤 김태형과 결별하고 후임감독으로 이승엽을 영입했다. === 9월 8일 : [[롯데 자이언츠]] / [[사직 야구장|부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금 잠자리채.jpg|width=100%%]]}}} || || {{{#fff 순금 잠자리채[br]전달자 : [[이대호|{{{#fff 이대호}}}]][* 5년후... 이대호는 이승엽을 뒤이어 은퇴투어를 여는 두번째 선수가 된다] ,[[이윤원|{{{#fff 이윤원}}}]] {{{-2 (롯데 자이언츠 단장)}}} }}} || [[롯데 자이언츠]]는 2003년 56호 홈런볼을 잡으러 사람들이 잠자리채를 들고 모였던 것을 기념하며 황금 잠자리채 모형을 선물로 주었다. 사진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대호가 준비한 잠자리채[* 이대호가 준비한 잠자리채가 상당히 커 어디서 구했냐는 반응이 있기도 했다.]와 배트 등 다른 선물도 전달했다. === 9월 10일 : [[KIA 타이거즈]]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등야구장 의자.jpg|width=100%%]]}}} || || {{{#fff 무등 야구장 외야 관중석[br]전달자 : [[김기태(1969)|{{{#fff 김기태}}}]] {{{-2 (KIA 타이거즈 감독)}}}, [[허영택|{{{#fff 허영택}}}]] {{{-2 (KIA 타이거즈 단장)}}} }}} || [[KIA 타이거즈]]는 1995년 5월 2일 [[이강철]]을 상대로 기록한 통산 1호 홈런이 떨어진 [[무등 야구장]] 외야석 관중석을 선물했다. 당시 중계 화면이 없어서 KIA 구단은 이승엽에게 확인한 타구의 위치와 비거리(110m)로 낙구 지점을 추정해 좌석을 떼어냈다고 한다. 하지만 선물한 [[무등 야구장]] 외야좌석은 1995년 당시 좌석이 아닌 2004년에 무등야구장 리모델링을 할 때 교체한 의자로 추정되며, 홈런을 쳤던 1995년 당시에는 등받이가 없는 초록색 의자가 설치되어 있었다. [[http://www.tigers.co.kr/news/news_view.asp?seq=311089&pageIndex=1&searchField=subject&searchQuery=%EA%B3%B5%EC%82%AC|보도자료(링크 삭제됨)]] [[https://youtu.be/IYo3IuR6P4Y|95년 무등야구장 외야 모습(이승엽의 무등구장 홈런 동영상)]] '홈런왕의 첫 시작'이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로 준 듯하지만, 비주얼 특성 상 은퇴투어 중 안 좋은 의미로 가장 화제가 되어 나머지 구단들에게 화제거리가 되기도 하였다. --줄 게 없어서 쓰레기를 주냐는 삼성팬들과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히 생각하라는 KIA팬들-- === 9월 15일 : [[NC 다이노스]] / [[마산 야구장|마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엽 자전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누비자 자전거 모형.jpg|width=100%%]]}}} || || {{{#fff 기념 액자, 누비자 자전거 모형[br]전달자 : [[유영준|{{{#fff 유영준}}}]] {{{-2 (NC 다이노스 단장)}}}, [[손시헌|{{{#fff 손시헌}}}]] }}} || [[NC 다이노스]]는 창원의 공공 자전거 브랜드인 [[누비자]] 자전거 모형을 전달했다. 함께 그라운드를 누빌 수 있어 행복했다는 의미라고 한다. 또한 36번이 적힌 깃발도 걸었다. 그러나 이승엽 은퇴투어 관련 선물이라기보다는 창원시 공공자전거 홍보에 더 가까운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 9월 30일 : [[LG 트윈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플 목각 조각품.jpg|width=100%%]]}}} || || {{{#fff 메이플 목각 조각품[br]전달자 : {{{#fff 신문범}}} {{{-2 (LG스포츠 대표이사)}}} }}} || [[LG 트윈스]]는 이승엽의 [[너를 태우고|응원가]]가 내장된 목각 기념패 스피커를 선물했다. 이승엽이 사용하는 배트를 만드는 캐나다산 하드 메이플로 만들었다고 한다. === [[KBO 리그/2017년/정규리그 최종전|10월 3일]] 은퇴식 및 영구결번식 : [[삼성 라이온즈]]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금 액자.jpg|width=100%%]]}}} || || {{{#fff 순금 액자[br]전달자 : {{{#fff 김동환}}} {{{-2 (삼성 라이온즈 사장)}}}}}} || [[삼성 라이온즈]]는 이승엽의 커리어 명장면 베스트 5를 새긴 순금 액자를 선물했다. 역시 돈 많은 팀이자 친정팀답게, 가장 화려하고 비싼 선물이다. 이 행사 이후 이승엽의 등번호 36번은 삼성 라이온즈의 세 번째 영구결번이자 KBO리그 통산 14번째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이승엽 선수, 우리 세대의 타자였습니다. >우리와 함께 데뷔했고, >우리와 함께 웃었고, 울었고, 기뻐했고, 슬퍼했던 타자입니다. >우리 세대의 선물을 오늘 우리는 우리의 가슴 속에 새깁니다. > >정말 우리에게 이 많은 추억을 안겨줘서 고맙습니다. >당신은 라이언킹이 아닌 >우리에게는 베이스볼 킹이었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당신이 얼마나 당당했고 자신 있는 선수였는지. >절대 배신하지 않는다는 당신의 땀과 눈물, >그리고 그 가치까지 잊지 않겠습니다. > >[[2011년 한국시리즈|보고 계시죠, 듣고계시죠]] >당신이 함께한 역사는 당신이 어디에 있든 >우리 가슴에 영원히 남을 것입니다. > >고맙습니다. 이승엽. >---- > '''[[MBC SPORTS+]] 캐스터 [[한명재]]의 이승엽 은퇴식 중계방송 클로징 멘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승엽, version=3221)] [[분류:이승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