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움 히어로즈/간략(내야수))] || '''{{{#FFFFFF 이승원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8번}}}''' || || [[타일러 애플러|애플러]][br](2022) || {{{+1 →}}} || '''{{{#FFFFFF 이승원[br](2023~)}}}''' || {{{+1 →}}} || [[현역#s-2|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움 이승원 프로필.png|width=100%]]}}} || ||<-2> '''키움 히어로즈 No.8''' || ||<-2> '''{{{+2 이승원}}}[br]李昇沅 | Lee Seungwon''' || || '''출생''' ||[[2004년]] [[7월 2일]] ([age(2004-07-02)]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도봉초등학교|도봉초]]^^(노원구리틀)^^ - [[상명중학교|상명중]]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 || '''신체''' ||185cm | 75kg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s-3.1|2023년 4라운드]] (전체 36번, [[키움 히어로즈|키움]]) || ||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3~)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2> [[https://www.heroesbaseball.co.kr/players/infielder/view.do?num=457|[[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width=20]]]]{{{#000,#fff |}}}[[https://instagram.com/lt_s___on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움 히어로즈]]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노원구 리틀야구단 출신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고 이승원.jpg|width=100%]]}}} || 고등학교 2학년 때 서울권 톱 유격수로 지명권에 이름을 올렸으나 부상 이후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이후 연습경기에서 투수로 등판해 최고 구속 148km를 기록했고, 2022년 봉황대기에도 투수로 깜짝 등판해 최고 구속 145km를 기록했다. === [[키움 히어로즈]] === 처음에는 02번을 받았으나, 개막 엔트리에 합류하고 등번호도 8번으로 교체했다. 4월 4일, LG전에서 1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다음날인 5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5월 11일, 1군 엔트리에 다시 등록되었다. 15일, 한 경기도 뛰어보지 못한 채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7월 25, 26일 드디어 선발로 출장하였다. 25일 경기는 무난하였으나. 26일 실책과 함께 멘탈이 터졌는지 타격폼도 무너지면서 조기에 교체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고등학교 3학년 때 주로 2루수로 출전해서 2루수로 155이닝, 유격수로 37⅔이닝을 출전했는데 키움에선 되려 "유격수로 우리가 키울 수 있는 선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땅볼 타구 처리가 내야수 출신인 이수범 스카우트에게 가장 높게 평가받는 부분이었다고 한다. 23 드래프트 풀은 예년에 비해 유격수 자원이 없다는 말이 있었는데, '과연 프로에 와서도 유격수를 할 수 있는 선수가 몇이나 될까'라고 꼽았을 때 가장 높게 평가된 선수가 이승원이라고 한다. 내야 수비를 잘하는 선수들은 공을 눈으로만 보지 않고 머릿속으로 어떻게 공이 올지, 오면 어떻게 할지, 주자가 느린지 빠른지 등등 온갖 상황을 다 그려 놓는다고 한다. [[김혜성(야구선수)|김혜성]]이 그런 것에 능한데, 몸에 배어있기 때문에 바로 움직일 수 있다고. 그런 상황 인지 능력이나 야구 센스에 있어서 이승원을 높게 평가했다고 한다. 바운드만 발로 보는 게 아니라 발이 움직여 놔야 송구도 바로 할 수가 있는데, 이어지는 자세가 좋고 물 흐르듯이 흘러가는 움직임이 좋다고 한다. 몸에 탄력이 있어서 이승원을 보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김하성]]이 생각난다고 했다. 김하성의 신인 때 움직임과 몸매도 비슷하고, 어깨도 좋다고.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 2023 ||[[키움 히어로즈|키움]] || 4 || 5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00 || .000 || -123.9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4 || 5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00 || .000 || -123.9 || == 여담 == * 2023년 드래프트에서 유일하게 지명을 받은 덕수고 선수다.[* 고졸 한정. 대졸 [[강민균]]까지 포함하면 2명.] * 키움 히어로즈에서 지명할 때 '이 선수는 놓치면 안 된다'라는 생각으로 순위를 당겨서라도 잡아야 되는 선수, 드래프트에서 절대적으로 뽑아야 하는 선수였다고 한다. * 키움 스카우트들이 회의 초반부터 4라운드에서 지명하겠다고 정해놓고, 거의 변경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승원을 대체할 선수가 없었다고 말했을 정도. * 시즌 막판에 이제 투수로도 올라왔는데, 최고 147km까지 던졌다고 한다. 연습경기에서 148km의 구속을 기록했다는 글도 있는 걸 보면 구속이 매우 빠른 듯. * 신인 드래프트 이후 키움 스카우트들은 이승원을 제2의 [[김하성]]이라고 평가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153cIYWi-XE|#]] * 그와 동명이인인 축구 선수 [[이승원(2003)|이승원]]이 있다. 마침 그의 대표팀(김은중호) 배번이 8번이었는데, 히어로즈 이승원의 23시즌 배번과 같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4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키움 히어로즈/현역]][[분류:상명중학교 출신]][[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