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34a2f 이승학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1차 지명선수)] ---- [include(틀:2007년 KBO 리그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 ||
'''{{{#d34a2f 이승학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7번}}}''' || || 박성남[br](2006) || {{{+1 →}}} || '''{{{#000 이승학[br](2007)}}}''' || {{{+1 →}}} || [[진야곱]][br](200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5번}}}''' || || [[김명제]][br](2005~2007) || {{{+1 →}}} || '''{{{#000 이승학[br](2008)}}}''' || {{{+1 →}}} || [[지승민]][br](2009.7.16.~2009)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7번}}}''' || || [[진야곱]][br](2008) || {{{+1 →}}} || '''{{{#000 이승학[br](2009)}}}''' || {{{+1 →}}} || [[진야곱]][br](2010~2012)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81번}}}''' || || [[장재중]][br](2014~2015) || {{{+1 →}}} || '''{{{#fff 이승학[br](2016)}}}''' || {{{+1 →}}} || [[이상훈(1987)|이상훈]][br](2017)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공고이승학.jpg|width=100%]]}}} || ||<-2>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No.75''' || ||<-2> '''{{{#000 {{{+2 이승학}}}[br] 李承學 | Lee Seunghak}}}''' || ||<|2> '''출생''' ||[[1979년]] [[6월 2일]] ([age(1979-06-02)]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하단초 - [[경남중학교|경남중]] -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공고]] -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s-2|1998년 고졸우선지명]] ([[롯데 자이언츠|롯데]])--[* 입단을 거부하고 단국대학교 진학.] [br] 200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br]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2007년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3번, [[두산 베어스|두산]]) || || '''소속팀'''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마이너 (2001~2006){{{#!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 [[필라델피아 필리스|GCL 필리스]] (2001) / Rk}}} [br] {{{-1 → [[필라델피아 필리스|바타비아 먹독스]] (2001) / A-}}} [br] {{{-1 → [[필라델피아 필리스|레이크우드 블루클로스]] (2002) / A}}} [br] {{{-1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 (2002~2005) / AA}}} [br] {{{-1 → [[필라델피아 필리스|클리어워터 필리스]] (2002, 2005) / A+}}} [br] {{{-1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 (2003~2006) / AAA}}}}}} [[두산 베어스]] (2007~2009) || || '''지도자''' ||[[상무 피닉스 야구단]] 투수코치 (2015) [br] [[kt wiz]] 잔류군 투수코치 (2016) [br]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7~) || || '''병역''' ||[[전시근로역]][* 후술할 허리 디스크 문제로 면제 처분을 받았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 [[kt wiz]]의 투수코치이다. 현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선수 경력 == 부산공고 시절 고2 때 처음 투수로 전향해 마운드에 올라 193cm의 큰 키에 135km/h의 직구를 뿌리면서 관심을 모았던 선수였고, 롯데가 1998년 고졸우선지명을 한 후, 계약금 1억원을 제시하면서 잡으려고 했던 투수였다. 집안이 넉넉한 편이 아니라서 롯데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지만 고민 끝에 이승학은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학교]] 진학을 선택했고, 여기서 기량이 일취월장하면서 대학 리그 최고 투수 중 한 명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1년 [[필라델피아 필리스]]로부터 계약금 115만 달러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마이너리그]] 6시즌 동안은 괜찮은 성적이었지만, 다소 불운했다. 2000년대 초반 필라델피아는 꼴찌를 달리던 약체 팀의 대명사였고, 팜 시스템도 영 신통치가 않았다. 이승학 본인의 회고로는 마이너 베테랑들이 자주 들락날락거리면서 더블A에서 활약해도 트리플에서 밀리는 일도 잦았다고 한다. 물론 마이너에서 이승학의 성적을 보면 준수한 편이었고 이 때문에 오랜 기간 버틸 수 있었지만, 눈에 띌 만한 결정적인 무언가가 없기는 했다. 압도적인 삼진율도 아니었고, 핀포인트 제구력도 아니었던 이승학은 결정적으로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까지 발생하면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2007년에 귀국을 결심한 이승학은 다른 선수라면 군에 있으면서 해외파 복귀 제한 기간인 2년을 충족시킬 때까지 기다렸겠지만,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로 인해 이미 군 면제 판정을 받았던 터라 이대로라면 2년을 그냥 쉬어야 할 상황이었다. 당시 스포츠2.0과의 인터뷰에서 이것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심경을 밝히기도 했다. 마침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2007년 4월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가 열리면서 이승학은 극적으로 공백 없이 복귀할 기회를 잡게 되었다. 복귀 드래프트 대상자 중 전에 고졸우선지명을 했던 선수가 2명 있어서 선택권을 먼저 가졌던 [[롯데 자이언츠]]는 이승학과 [[송승준]]을 두고 고민을 거듭했다. 당장 실전에서 쓸 수 있지만 허리디스크로 인해 발전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던 이승학과, 군 문제가 불투명하지만 발전 가능성은 더 높았던 송승준 중에서 롯데가 송승준을 택하면서 이승학은 두산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송승준이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로 병역 특례를 받으면서 롯데가 이득을 보게 됐다. 두산에서는 선발과 중간을 오가면서 활약했다. 아주 인상적인 활약이라기엔 애매했지만 2007년에 기록한 7승 1패 2.17의 기록은 당시 조금씩 불안감이 있던 두산 투수진에 상당한 보탬이 되는 선수였음은 분명하며[* 선발진은 외국인 원투펀치 --약--[[다니엘 리오스]]-[[맷 랜들]]의 원투펀치를 제외하면 불안감이 많았고, 불펜진 역시 클로저 [[정재훈(1980)|정재훈]]과 신인왕 [[임태훈(야구선수)|금지어]] 이외에는 그다지 좋지 못해 [[임태훈(야구선수)|금지어]]가 고졸 신인 첫해부터 불펜으로 100이닝을 소화하는 기록적인 혹사를 당했다.] 팀의 한국시리즈행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가장 이름을 날린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허용투수]]로서인데, 바로 [[양준혁]]의 프로 최초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을 때 이 안타를 허용한 투수가 이승학이었다. 2008년까지 팀 투수진에서 보탬이 되었으나, 2009년 고질병인 허리 부상이 재발하면서 단 한 경기에도 나서지 못하며 2009년 시즌 후 두산에서 방출당해 프로 무대를 떠나게 되었다. 한때 신생팀 [[kt wiz]]에 입단해 현역 복귀를 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선수가 아니라 코치로 합류하는 걸로 알려졌고, 결국 프로 복귀는 없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2014년까지 부산남부민초등학교 감독을 맡았다. 2014년을 끝으로 [[상무 피닉스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최경훈이 [[LG 트윈스]] 코치로 옮기게 되자, 그를 대신하여 이승학이 상무의 투수코치로 선임된 것. 2015년 한 해동안 상무 투수코치로 있다가, 시즌 후 [[kt wiz]]의 코치로 합류했다. 보직은 잔류군(3군) 투수코치. 하지만 2016년 시즌 종료 후 코칭스태프 개편 과정에서 재계약하지 않게 되면서 1년만에 다시 kt 유니폼을 벗었다. 이후 모교인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연도별 성적 == ===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MiLB]] === * 한 연도에 동일 구단 산하 여러 레벨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 Rk → A- → A → A+ → AA → AAA 순으로 서술. ||<-17>
<:>{{{#ffffff 역대 기록(투수)}}}|| ||<:>{{{#ffffff 연도}}}||<:>{{{#ffffff 소속팀}}}||<:>{{{#ffffff 경기수}}}||<:>{{{#ffffff 이닝}}}||<:>{{{#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2> 2001 || [[필라델피아 필리스|GCL 필리스(Rk)]] || 3 || 9 || 1 || 0 || 0 || 0 || 1.000 || 3.00 || 12 || 0 || 1 || 4 || 7 || 3 || 1.33 || || [[필라델피아 필리스|바타비아 먹독스(A-)]] || 4 || 20 || 0 || 3 || 0 || 0 || .000 || 7.56 || 31 || 3 || 6 || 14 || 24 || 17 || 1.75 || ||<-2> '''2001 시즌 합계''' || 7 || 29 || 1 || 3 || 0 || 0 || .250 || 6.21 || 43 || 3 || 7 || 18 || 31 || 20 || 1.62 || ||<|3> 2002 || [[필라델피아 필리스|레이크우드 블루클로스(A)]] || 23 || 147⅓ || 7 || 10 || 1 || 0 || .412 || 3.24 || 132 || 8 || 53 || 112 || 64 || 53 || 1.21 || || [[필라델피아 필리스|클리어워터 필리스(A+)]] || 3 || 19 || 2 || 0 || 0 || 0 || 1.000 || 0.00 || 6 || 0 || 2 || 16 || 1 || 0 || 0.42 ||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1 || 6 || 0 || 1 || 0 || 0 || .000 || 0.00 || 5 || 1 || 0 || 6 || 2 || 0 || 0.83 || ||<-2> '''2002 시즌 합계''' || 27 || 172⅓ || 9 || 11 || 1 || 0 || .450 || 2.77 || 143 || 9 || 55 || 134 || 67 || 53 || 1.11 || ||<|2> 2003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26 || 147 || 11 || 6 || 0 || 0 || .647 || 4.96 || 140 || 21 || 53 || 109 || 85 || 81 || 1.27 ||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2 || 5⅓ || 0 || 2 || 0 || 0 || .000 || 23.63 || 18 || 2 || 2 || 5 || 15 || 14 || 3.38 || ||<-2> '''2003 시즌 합계''' || 28 || 152⅓ || 11 || 8 || 0 || 0 || .579 || 5.61 || 158 || 23 || 55 || 114 || 100 || 95 || 1.35 || ||<|2> 2004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3 || 6⅔ || 0 || 0 || 0 || 0 || - || 10.80 || 13 || 4 || 1 || 2 || 8 || 8 || 2.10 ||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35 || 80⅔ || 2 || 4 || 1 || 0 || .333 || 4.57 || 89 || 12 || 29 || 67 || 45 || 41 || 1.40 || ||<-2> '''2004 시즌 합계''' || 38 || 87⅓ || 2 || 4 || 1 || 0 || .333 || 5.05 || 102 || 16 || 30 || 69 || 53 || 49 || 1.45 || ||<|3> 2005 || [[필라델피아 필리스|클리어워터 필리스(A+)]] || 2 || 5 || 0 || 1 || 0 || 0 || .000 || 1.80 || 5 || 1 || 1 || 5 || 2 || 1 || 1.20 ||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14 || 64 || 3 || 1 || 0 || 0 || .750 || 1.97 || 58 || 2 || 26 || 50 || 17 || 14 || 1.28 ||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1 || 2⅔ || 0 || 1 || 0 || 0 || .000 || 23.63 || 5 || 2 || 3 || 1 || 7 || 7 || 3.00 || ||<-2> '''2005 시즌 합계''' || 17 || 71⅔ || 3 || 3 || 0 || 0 || .500 || 2.76 || 68 || 5 || 30 || 56 || 26 || 22 || 1.34 || || 2006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31 || 93 || 8 || 9 || 2 || 3 || .470 || 4.35 || 89 || 10 || 40 || 62 || 47 || 45 || 1.31 || ||<-2>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MiLB]] 통산'''[br](6시즌) || 148 || 605⅔ || 34 || 38 || 4 || 3 || .479 || 4.22 || 603 || 66 || 217 || 453 || 324 || 284 || 1.30 || ||<-3> {{{#FFFFFF 완투, 완봉 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2002년 || 6완투 || 1완봉 || ||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MiLB]] 통산''' || 6완투 || 1완봉 || ---- ||<-16>
<:>{{{#ffffff 역대 기록(타자)}}}|| ||<:>{{{#ffffff 연도}}}||<:>{{{#ffffff 소속팀}}}||<:>{{{#ffffff 경기수}}}||<:>{{{#ffffff 타수}}}||<:>{{{#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2002 ||<|2>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1 || 2 || .500 || 1 || 0 || 0 || 0 || 0 || 0 || 0 || 0 || .500 || .500 || 1.000 || || 2003 || 26 || 22 || .136 || 3 || 0 || 0 || 0 || 1 || 0 || 0 || 0 || .136 || .136 || .272 || || 2004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35 || 3 || .333 || 1 || 0 || 0 || 0 || 1 || 0 || 0 || 0 || .333 || .333 || .666 || ||<|2> 2005 || [[필라델피아 필리스|클리어워터 필리스(A+)]] || 2 || 0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 [[필라델피아 필리스|리딩 필리스(AA)]] || 14 || 10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2> '''2005 시즌 합계''' || 16 || 10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 2006 || [[필라델피아 필리스|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드 배런스(AAA)]] || 31 || 9 || .222 || 2 || 0 || 0 || 0 || 0 || 1 || 0 || 0 || .222 || .222 || .444 || ||<-2>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MiLB]] 통산'''[br](6시즌) || 148 || 46 || .152 || 7 || 0 || 0 || 0 || 2 || 1 || 0 || 0 || .152 || .152 || .304 || === [[KBO 리그|KBO]] === ||<-17>
<:>{{{#ffffff 역대 기록}}}|| ||<:>{{{#ffffff 연도}}}||<:>{{{#ffffff 소속팀}}}||<:>{{{#ffffff 경기}}}||<:>{{{#ffffff 이닝}}}||<:>{{{#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2007||<|3> [[두산 베어스|두산]] || 33 || 62⅓ || 7 || 1 || 0 || 3 || .875 || 2.17 || 53 || 3 || 22 || 38 || 15 || 15 || 1.14 || ||2008|| 16 || 59⅔ || 6 || 5 || 0 || 1 || .545 || 4.98 || 75 || 6 || 21 || 25 || 34 || 33 || 1.56 || ||2009||<-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2시즌) || 49 || 122 || 13 || 6 || 0 || 4 || .684 || 3.54 || 128 || 9 || 43 || 63 || 49 || 48 || 1.34 || == 여담 == 2007년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당시 [[롯데 자이언츠]]에서 이승학과 [[송승준]] 중 누구를 지명할지 고민했던 때, 롯데 자이언츠 [[이상구(1954)|이상구]] 단장이 고민 끝에 점을 보러 갔는데, [[점쟁이]]는 이승학을 뽑으라는 말을 했다. 그러나 수뇌부들의 상의 결과 '점쟁이 말만 듣고 선수 뽑는 건 말도 안 된다'며 송승준으로 최종 결정을 내렸고, 그 둘의 운명이 이렇게 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news/sports/200907/20090716/97p74103.htm|#]]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9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부산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