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이시즈 이슈타르)]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듀얼링크스 이시즈.png|width=300]] >'''한국판 소개''' >---- >[[이시즈 이슈타르(유희왕 듀얼링크스)|이시즈 이슈타르]]는 [[천년 아이템|밀레니엄 아이템]]을 수호해 온 묘지기 가문의 후손입니다. 그녀는 어둠에 물든 자신의 남동생 [[어둠의 마리크(유희왕 듀얼링크스)|마리크]]를 구출하기 위한 굳은 의지를 품고 있습니다. 그녀는 [[천년 아이템#s-3.5|천년 목걸이]]의 힘을 통해 미래를 내다볼 수 있습니다. [목차] == 개요 == [youtube(vgVRyDtPNHQ,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박신희]] * '''일본판 성우''' : [[시마모토 스미]] [[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리시드]]와 전용 테마곡을 공유한다.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빛 속성 몬스터를 총 200번 소환 시 등장 * '''캐릭터 해금 미션''' : 게이트 출현 조건을 달성한 직후부터 진행 가능 ||
'''미션1''' ||듀얼 월드(DM)에서 레벨 30 이시즈 이슈타르를 상대로 1번 승리하세요. || || '''미션2''' ||이시즈 이슈타르를 상대로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6000 이상인 상태로 1번 승리하세요.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130899|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youtube(rvdK6VUZpqI,width=480,height=270)]||[youtube(vmvt2aa8c5E,width=480,height=270)]||[youtube(vmvt2aa8c5E,start=306,width=480,height=270)]|| || {{{+1 '''{{{#white 한국어}}}'''}}} || {{{+1 '''{{{#white 일본어}}}'''}}} || {{{+1 '''{{{#white 영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524418|음성이 존재하는 카드]][* 대사가 존재하는 카드와 음성이 존재하는 카드가 미묘하게 다르다.] * '''몬스터''' : '''[[묘지기의 심신자]]''',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대신관]]''', [[아기도]], [[켈도]], [[졸가]], [[무도라]], [[켈벡]], [[묘지기(유희왕)|샤브티의 부적]],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암살자]],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무녀]],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장]],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대포병]],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소환사]],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창기병]],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기도사]],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사령관]],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복병]],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후예]],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주술사]],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파수병]],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이단자]],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사도]],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정찰자]] * '''마법''' : [[원더 원드]], [[마법 재생]], [[다그라의 검]], [[무덤으로의 동반]], [[빛의 봉인검]], [[죽은 자의 소생]], [[왕가의 제물]],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석판]], [[묘지기(유희왕)|네크로밸리의 제전]],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 * '''함정''' : [[제물이 감춘 폭탄]], [[무효]], [[현세와 명계의 역전]], [[묘지기(유희왕)|강령의 의식]], [[묘지기(유희왕)|네크로밸리의 왕묘]] ##미출시 카드들도 NPC, 스킬전용 등의 항목으로 따로 나누지 말고 몬스터/마함/함정 항목에 맞춰 기입해주세요. 업데이트 될때마다 수정하는것도 번거롭고, 다른 캐릭터들도 굳이 나눠져있지 않습니다.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5> {{{+2 '''{{{#white 메인 덱}}}'''}}} || || UR [[제물이 감춘 폭탄]][br]x1 || N [[드리야드#s-1]][br]x3 || N [[정령(유희왕)#s-2.5.2|책의 정령 호크 비숍]][br]x2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s-12|잠자는 아이]][br]x3 || N [[마부라스#s-2|사염의 날개]][br]x3 || || N [[데몬즈 미러|악마의 거울]][br]x2 || N [[하니와#s-2]][br]x3 || N 성스러운 쇠사슬[br]x3 ||<-2>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1''' || [[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이시즈 이슈타르 || '''16''' || R [[진실의 눈#s-1]] ||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3''' || R [[묘지기(유희왕)#s-1.1.1|묘지기의 추종자]] || '''18''' || R [[불행을 알리는 검은 고양이]] || '''33''' || R [[네크로밸리#s-1.3|행운을 알리는 올빼미]] || || '''4'''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패스''' ||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25px]]: 이시즈 이슈타르 ||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혜안''' || '''35''' || R [[불행을 알리는 검은 고양이]] || ||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21''' || R [[묘지기(유희왕)#s-1.1.3|묘지기의 암살자]] || '''36''' || [[파일:듀링 ur 구슬.png|width=25px]] 1 || || '''7''' || R [[진실의 눈#s-1]] ||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3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23''' || SR [[묘지기(유희왕)#s-1.1.11|묘지기의 무녀]] || '''38''' || SR [[무덤으로의 동반]] || ||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 ||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3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0''' || R [[네크로밸리#s-1.3|행운을 알리는 올빼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25''' || SR [[묘지기(유희왕)#s-1.4.4|묘지기의 석판]] || '''40''' || SR [[무도라]] || || '''11''' || R [[묘지기(유희왕)#s-1.1.2|묘지기의 주술사]] ||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41'''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25px]]: 이시즈 이슈타르 ||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4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천사의 미소''' ||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43'''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14''' || R [[다그라의 검#s-2|세베크의 축복]] ||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4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이시즈 이슈타르 (Ver.2) || '''30'''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00[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45''' || SR [[묘지기(유희왕)#s-3.4.1|묘지기의 대신관]] || == 스킬 == ||<-2>
[[파일:듀링스킬.png|width=20px]] {{{+2 '''{{{#white 레전드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패스'''[br]① :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300 증가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총 3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4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천사의 미소'''[br]① :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에 일반 드로우로 천사족 몬스터 카드를 드로우하였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해당 카드를 상대에게 공개합니다. 그 후,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천년 아이템#s-2.5|{{{#black 혜안}}}]]'''[br]① : 듀얼 시작 후 5번째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양 플레이어의 덱의 맨 위의 카드를 볼 수 있습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묘지기의 영역'''[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묘지기(유희왕)|묘지기]]' 카드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거부할 수 없는 운명'''[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보다 2000 이상 낮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상대의 묘지에 있는 모든 몬스터를 "[[저주받은 하인]]"으로 바꿉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봉인묘'''[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보다 1000 이상 낮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상대의 다음 턴이 끝날 때까지, 양 플레이어는 묘지에서 카드를 제외하거나 묘지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β'''[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1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γ'''[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2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저레벨'''[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빛'''[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빛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어둠'''[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땅'''[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땅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밸런스''' [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몬스터 카드, 마법 카드, 함정 카드가 각각 6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발동됩니다.[br][br]① : 자신의 시작 패에 덱의 카드 밸런스가 반영될 확률이 높아집니다.[br]② :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랜덤 드랍||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아카이브 스킬/스피드 듀얼)] == CPU == [[파일:듀얼링크스 이시즈 덱.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5> {{{+2 '''{{{#white 메인 덱}}}'''}}} || || [[묘지기(유희왕)#s-1.2.1|묘지기의 암살자]][br]x3 || [[묘지기(유희왕)#s-1.1.4|묘지기의 소환사]][br]x3 || [[묘지기(유희왕)#s-1.1.3|묘지기의 무녀]][br]x3 || [[묘지기(유희왕)#s-1.2.2|묘지기의 창기병]][br]x3 || [[묘지기(유희왕)#s-1.3.2|묘지기의 기도사]][br]x1 || || [[묘지기의 심신자]][br]x1 || [[묘지기(유희왕)#s-1.4.1|묘지기의 대신관]][br]x1 ||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br]x3 || [[묘지기(유희왕)#s-1.7.1|강령의 의식]][br]x2 ||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제물이 감춘 폭탄]] || SR [[묘지기(유희왕)#s-1.2.1|묘지기의 장]] || SR [[졸가#s-2]] || SR [[묘지기(유희왕)#s-1.1.11|묘지기의 무녀]] ||SR [[묘지기(유희왕)#s-1.4.4|묘지기의 석판]] || || SR [[소울 드레인#s-2|묘지봉인]] || R [[아기도]] || R [[켈도]] || R [[묘지기(유희왕)#s-1.1.7|묘지기의 대포병]] || R [[어둠을 없애는 빛]] || || R [[네크로밸리#s-1.5|네크로밸리의 제전]] || N [[죽음의 침묵천사 도마]] || N [[달빛의 소녀#s-1]] || N [[무한의 패#s-2|히에로글리프의 석판]] || || == 미션 == ||<-2><:>
[[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40px]] {{{+1 '''{{{#white 카드 슬리브}}}'''}}}|| ||<:>'''카드 슬리브: 이시즈 이슈타르'''||평생 미션[* "이시즈 이슈타르" 레벨 5 달성]|| ||<-2><:>[[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40px]] {{{+1 '''{{{#white 플레이매트}}}'''}}}|| ||<:>'''플레이매트: 이시즈 이슈타르'''||평생 미션[* "이시즈 이슈타르" 레벨 12 달성]|| == 평가 == 초창기에는 묘지 자원을 사용하는 테마가 거의 없어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캐릭터였지만 점차 묘지 자원을 사용하는 테마가 늘어나면서 묘지의 카드를 제외할 수 없게 만드는 스킬 "봉인묘"에 대한 평가가 올라가면서 [[사기 캐릭터]]의 반열에 올라갔다. 그도 그럴것이 봉인묘의 발동조건이 아무 코스트도 없이 어느 때에나 발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묘지 견제를 위해 굳이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를 넣지 않아도 묘지 견제가 가능하기 때문인데, 기세를 잡은 다음에 "봉인묘"를 통해 발동한뒤 턴을 넘기면 상대는 묘지 제약 때문에 판을 더 뒤집기 힘들었다. 그 덕분에 2019년 말 ~ 2020년 1분기까지도 티어권에서 활약한 덱들은 거의 무조건 "봉인묘"를 채용하는 형태가 되었다. 결국, 2020년 3월 24일에 발동 조건에 제약이 생기는 너프를 받으면서 이전보다 채용률이 출어든 상황이다. 그래도 "봉인묘" 스킬이 여전히 못쓸 정도가 아니라 여전히 환경에서 활약할 여지는 충분히 있다."봉인묘"가 너프 이후에는 대체 스킬로서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 주목받게 되었고 묘지의 몬스터를 모두 못쓰게 만드는 강력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턴 제약이 없다는 사기성 때문에 채용률이 낮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른 캐릭터들의 스킬이 밸런스 때문에 곧바로 제재를 먹은 반면 이쪽은 봉인묘 버프 후 오랫동안 사기 캐릭터의 반열에 내려오지 않는 특이한 케이스다. 이는 여러가지 요인이 겹쳐서 만들어 낸 우연인데, 2019년 하반기 당시 타락천사의 독주를 막기 위해 봉인묘가 카운터로 떠오르게 되며 1차적인 제재를 피했고 2020년 이후 타락천사가 죽으며 봉인묘도 너프되었지만, 코즈믹 싸이클론의 채용률 증가와 시라누이와 썬더 드래곤의 부상으로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 더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여전히 활약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봉인묘가 너프를 먹자, 봉인묘에 밀려서 지금까지 그다지 주목을 못 받은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 대신 쓰이기 시작했다. 이쪽은 상대보다 라이프가 1000이하여야 발동 가능하지만, '''매 턴마다''' 발동할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이시즈의 채용률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결국 20년 5월 21일 금제에서 발동 조건이 '봉인묘'는 상대보다 라이프 1000 이하,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은 2000이하로 크게 어려워 졌으며 발동 횟수도 듀얼중 단 한번이 되는 강력한 너프를 먹으면서 랭겜 환경에서 사라졌다. 현제 봉인묘 스킬은 마계극단 덱에서 채용된다. 펜듈럼 테마라 묘지를 사용하지도 않으며, 멜로마돈나의 펜듈럼 효과를 통해 자신의 라이프를 1000포인트 쨀 수 있기 때문. 덕분에 팬텀나이츠나 갤럭시처럼 묘지 자원을 이용하는 덱에게 상당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혜안 스킬은 퍼니멀 덱에서 채용되는데, 현재 퍼니멀 덱 전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토이팟의 효과를 매우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스킬로 메이 발렌타인의 향수 전략이 있지만 6턴 이상의 중장기전이면 모를까, 5턴 이내에 끝나는 단기전이라면 상대의 덱까지 엿 볼 수 있어 상대의 덱을 파악, 또는 상대가 다음에 드로우할 카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이 쪽이 더 선호된다. == 기타 == 첫 등장 시, 자신의 [[천년 목걸이]]를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한테 주었는데[* 배틀시티 준결승전에서 카이바가 천년 목걸이의 예지를 뚫고 이시즈에게 이김에 따라 미래예지 능력이 없어졌고, 이후 [[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유희]]의 기억을 찾으려 노력하는 유희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넘겼다.] 왜 다시 자신이 가지고 있는지 이상하다고 한다고 말하며 등장한다. CPU 파밍은 레벨 40에서는 본격적으로 [[묘지기의 심신자]], [[묘지기(유희왕)#s-1.3.1|묘지기의 대신관]]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를 3장씩이나 들고 나온다. 또한 함정 카드로는 [[묘지기(유희왕)#s-1.5.1|강령의 의식]]만 쓰는데, 묘지에서 릴리스할 묘지기를 불러내거나 겨우 파괴시킨 심신자, 대신관 등을 다시 불러내기도 하기 때문에 파밍 난이도가 가장 높은 상대들 중 하나. 다만 효과 발동 무효화 및 묘지의 묘지기들을 제외시킬 수만 있다면 공격력 상승치가 낮아져서 조금은 쉬워질 수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DM), version=5, paragraph=2.3.4)][[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