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작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二十二麻雀(アルシーアル麻雀).[* 22의 중국어 발음인 èr shí èr을 가타카나로 표기한 것. 이름의 유래는 부저, 즉 부수의 최저점이 22부임을 나타낸 것(쯔모핑후가 없으므로).] 또다른 이름으로는 [[지나]]마작(支那麻雀). 태평양 전쟁때 주로 행해진 일본 마작 룰로서, 현재 일본 및 각국에서 널리 행해지는 리치마작의 원형. 지금은 잊힌 마작 룰이지만 일본마작연맹(日本麻雀連盟)에서는 아직도 이 룰로 경기를 한다. 비록 플레이할 일은 없더라도 이십이마작의 규칙은 마작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 규칙 == === 역의 종류와 판수 === 대부분의 역이 리치마작과 중복되므로, 각 역에 대한 설명은 [[리치마작/역]] 참고. 모든 역은 멘젠이 아니어도 성립하며, 판수도 같다. (구련보등과, 조건상 멘젠으로만 가능한 역 제외) ==== 1판역 ==== * 멘젠쯔모(門前清自摸) * 핑후(平和) (쯔모핑후 불가. 론으로 화료해야만 인정) * 탕야오(断幺) * 역패(翻牌) (장풍, 자풍, 삼원패) * 혼일색(混一色) * 혼노두(混老頭)[* 또이또이도 계산하므로, 실질적으론 두 판] * 또이또이(対々和) * 찬타(全帯幺九)[* 준찬타도 중복하지 않고 1판역으로 침] * 일기통관(一気通貫) * 산안커(三暗刻) * 소삼원(小三元)[* 역패도 계산하므로, 실질적으론 세 판] * 영상개화(嶺上開花) * 창깡(槍杠) * 해저로월(海底撈月) ==== 2판역 ==== * 연풍패(連風牌) ==== 3판역 ==== * 청일색(清一色)[* 청일색 화료시 부수에 10부를 추가함] ==== 만관 ==== * 천화(天和) * 지화(地和) * 대삼원(大三元) * ~~[[마작의 제왕 테쯔야#s-2.1|국토무쌍]]~~국사무쌍(国士無双) * 스안커(四暗刻) * 청노두(清老頭) * 자일색(字一色) * 사희화(四喜和) (소사희와 대사희) * 구련보등(九連宝灯) ==== 리치마작과 비교하여 없는 역 ==== * 리치(立直) * 일발(一発) * 도라(ドラ) * 이페코(一盃口) * 하저로어(河低撈魚) * 치또이쯔(七対子) [* 하지만 자 1000점, 친 1500점 즉 만관의 절반으로 계산하는 룰도 있었다. 현 리치마작에서 칠대자가 얼마나 사기 역인지 생각해보면 너무 높은거 아니냐 싶지만 멘젠이 깨져도 판수가 내려가는 역이 없고 무판 화료도 가능한 이십이마작 특성상 멘젠역인 칠대자의 점수가 저 정도로 높은 것이 이해 못할 정도는 아니다.] * 삼색동순(三色同順) * 삼색동각(三色同刻) * 준찬타(純全帯幺九) * 량페코(二盃口) * 산깡쯔(三槓子) * 유국만관(流し満貫) * 인화(人和) * 스깡쯔(四槓子) * 녹일색(録一色) === 점수계산 === 부수 계산법은 [[리치마작/점수]] 참고. 부수를 일의 자리에서 올림한 후, 다음 계산식을 따라서 기본 점수를 계산한다. 이 때, 기본점수의 최대점은 만관(친 3000점, 자 2000점)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한 번의 화료로 이 이상의 점수를 얻을 수 없다. {{| (부수)*{2^(판수)} |}} 자의 쯔모오름시 친에게 기본점수의 두 배, 자에게 기본점수만큼을 받으며 친의 쯔모오름시 자에게 기본점수에 두 배씩 받는다. 자의 론오름시에는 방총자에게 기본점수의 네 배를, 친의 론오름시는 방총자에게 기본점수의 여섯 배를 받는다. 예1) 자가 2판 32부를 쯔모오름한 경우 (1) 32부를 일의 자리에서 올려서 40부 (2) 40부*2^2판 = 기본점수 160점 (3) 쯔모오름이므로 친에게 320점, 자에게 각각 160점을 받음 예2) 친이 핑후 1판을 론오름한 경우 (1) 부저 20부 + 론 10부 = 30부 (2) 30부*2^1판 = 기본점수 60점 (3) 론오름이므로 방총자에게 60*6 = 360점을 받음. === 기타 규칙 === * '''각자 시작점은 2000점.''' * 촌보는 만관의 절반으로 한다. [* 자의 경우 250/500, 친은 500올] * '''역 없이도 화료가 가능하다.''' 즉 판 없이도 부수만으로도 점수를 낼 수 있다. * 동1국부터 북4국까지의 일장전으로 치른다. * 연짱 조건은 친의 오름뿐. 연짱을 하더라도 연짱점수는 없고 친의 기회가 늘어나는 것뿐이다. * 후리텐이더라도 자신의 현물패 이외에는 론 가능. * 1,4만 대기시 하가의 1만을 쏘지 않고 지나가더라도, 다음 쯔모 전 대가가 4만을 버렸을 시에 론 가능. 즉 같은 패가 아니라면 골라쏘기 가능. ~~[[국표마작]]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이 규칙들이 은근히 낯이 익을것이다.~~ === 리치마작과의 차이점 === * 울기에 의한 판내림이 없다. 즉, '''핑후도 울어서 만들기가 가능하다.''' * 대체로 판 수와 나는 점수의 단위가 작다. * 하네만, 배만 등이 없이 만관이 최대점이다. * 리치, 일발, 도라, 량조로(場ゾロ)[* 리치마작에서는 기본점수 계산시 (부수)*{2^(판수+2)}의 계산식을 쓰는데, 판수에 추가로 붙은 2판을 량조로라고 한다.] 등의 요소가 없다. * 후리텐에 대한 규정이 비교적 느슨하다. * 1판묶기가 없다. 즉 역 없이도 화료가 가능하다. * 절상은 맨 처음 한 번만. 즉 점수 계산 후 10점 단위에서 올림하는 리치마작과 다르게 10점 단위까지 계산에 포함한다. == 관련 사이트 == * 일본마작연맹(日本麻雀連盟) (일본어) http://www.nihon-majan.org/sousai.html * 아사미 료의 마작 이야기 (일본어) http://www9.plala.or.jp/majan/index.html [[분류:마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