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이앙캉곱테루스}}}[br]Jianchangopterus}}}''' || ||<-2> [[파일:Jianchangopterus_zhaoianus-_a1c7.jpg|width=300]] || ||<#F93> '''학명''' || ''' ''Jianchangopterus zhaoianus'' '''[br]Lü & Bo, 2011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동물계]]|| ||<#FC6>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미분류'''}}}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익룡목(Pterosauria)|| ||<#FC6> {{{#000 '''미분류'''}}} ||†브레비콰르토사(Breviquartossa)|| ||<#FC6>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람포링쿠스과(Rhamphorhynchidae)|| ||<#FC6> {{{#000 '''아과'''}}} ||†스카포그나투스아과(Scaphognathinae)|| ||<#FC6>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이앙캉곱테루스속(''Jianchangopterus'')|| ||<-2><#F96>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 ||<-2>†이앙캉곱테루스 자오이아누스(''J. zhaoianus'')^^{{{-1 모식종}}}^^|| || [[파일:jianchangopterus_franz-anthony.jpg|width=5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중기의 [[중국]]에서 살았던 [[람포링쿠스]]류 [[익룡]]. 속명의 뜻은 '젠창의 날개'로, 화석이 발견된 중국 [[랴오닝성]] 젠창(建昌) 현의 지명을 따온 것이다. == 상세 == 이앙캉곱테루스는 중국 랴오닝성 젠창 현의 티아오지샨(髫髻山) 층(Tiaojishan Formation)에서 오른쪽 날개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완벽에 가까운 보존률을 자랑하는 화석이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2011년 이 녀석에게 지금과 같은 학명을 붙여주고 정식으로 학계에 소개한 연구자들은 곧게 뻗은 길쭉한 꼬리와 안쪽을 향해 휘어진 다섯번째 발가락 등 주로 원시적인 익룡류에게서 나타나는 몇몇 특징을 근거로 이 녀석을 [[스카포그나투스]]아과에 배속시켰다.[* 해당 연구자들은 이 녀석이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스카포그나투스아과의 구성원 중 하나로 분류되던 [[소르데스]]와 가까운 관계에 있던 익룡이었으리라고 추측하였으나, 현재는 소르데스가 스카포그나투스아과뿐만 아니라 아예 람포링쿠스과에서 떨어져나온 관계로 다 옛말이 되었다.] 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모식표본에 해당하는 개체는 거의 성체 단계에 접어들었던 녀석으로 추정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좁다란 두개골의 길이가 고작 4cm에 날개폭도 32cm 정도로 매우 작은 덩치였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이는 현생 [[울새]]나 [[참새]]와 엇비슷한 수준이다.] 곧게 뻗은 주둥이에는 완만하게 곡선을 그리는 형태의 가는 이빨이 위아래턱 모두 합쳐 26개 가량 돋아나있었는데, 소형 익룡이라는 점까지 고려한다면 대부분 어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타 람포링쿠스류 익룡들과는 다르게 아마 [[곤충]]을 주식으로 삼았을 것으로 보인다. [[분류:고생물]][[분류:스카포그나투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