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9> '''{{{+1 이어덕둥 [br] 李어덕둥 / Lee Eodukdung}}}''' || ||||<:> [[파일:1204-m5.jpg|width=300]] || ||<:><#000000> '''{{{#white 직업}}}''' ||<#FFFFF9><:> [[바둑기사]] || ||<:><#000000> ''' {{{#white 소속}}}''' ||<#FFFFF9><:> [[한국기원]] || ||<:><#000000> ''' {{{#white 생년월일}}}''' ||<#FFFFF9><:> [[1998년]] [[4월 13일]] ([age(1998-04-13)]세) || ||<:><#000000> ''' {{{#white 국적}}}''' ||<#FFFFF9><:>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000000> ''' {{{#white 출신지}}}''' ||<#FFFFF9><:> [[광주광역시]] || ||<:><#000000> ''' {{{#white 학력}}}''' ||<#FFFFF9><:> [[명지대학교]] 바둑학과 || ||<:><#000000> ''' {{{#white 입단}}}''' ||<#FFFFF9><:> [[2016년]] || ||<:><#000000> '''{{{#white 단급}}}''' ||<#FFFFF9><:> 二단 || ||<:><#000000> '''{{{#white 누적우승경력}}}''' ||<#FFFFF9><:> 0회 || ||<:><#000000> '''{{{#white [[홈페이지]] }}}''' ||<#FFFFF9><:> [[https://www.facebook.com/eodeokdung.lee|페이스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한국기원]] 소속 [[프로]] [[바둑기사]]. == 상세 == [[1998년]] 생으로 [[2016년]] 연구생 내신 1위로 입단하였다. 당시 마지막 리그의 마지막 경기에서 패배했었지만 2위 였던 선수와 점수 차이가 많이 났고 그 선수 또한 마지막 게임을 지며 무난하게 입단에 성공했다고 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마지막 경기를 지고 괴로워 하던 중 입단이 확정되어 달달했다고(?) 한다. 원래 이름은 '이어덕'이었으나, 할머니께서 '둥'자를 더 붙이셔서 ‘이어덕둥’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어덕은 전라북도 방언으로 언덕이라는 뜻이라 한다. 바둑 실력보다는 다른 쪽으로 꽤나 유명하다. TV에 나오지 않는 [[바둑]] 대국을 할 때에는 평상복을 입다가 [[바둑TV]]에 나간다는 게 확정되는 순간 [[패션]]이 확 바뀐다든가, 자기한테 인터뷰가 오면 재치있게 받아넘긴다든가.[* 대표적인 것이 [[2020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에서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과의 대국에서 [[https://youtu.be/tdGckUAUMAs|승리 후 인터뷰.]] 여기서 '''"[[설레임(아이스크림)|설레이는 아이스크림]] 한 박스를 먹었던 것 같다."'''라는 드립을 시전해 당시 해설을 했던 [[김영삼(1974)|김영삼]] 九단을 웃겼던 인터뷰가 유명하다.] 그래서 별명은 '''재롱둥이'''. [[한국기원]] 제도 연구 쪽에도 참가하고 있다. 보통 [[바둑기사]]들이 [[미국]], [[유럽]] 쪽으로 갈 일이 없어 [[영어]]를 잘 못하는데 반해 이어덕둥은 [[중국어]]나 [[일본어]] 대신 [[영어]]를 더 잘 한다. [[조혜연]] 九단같이 영문과를 나온 것도 아닌데 영어 실력이 꽤나 수준급. (명지대학교 바둑학과를 재학 중이다.) [[페이스북]]에서 보면 [[유럽]]이나 [[미국]] 여행 시에 가이드나 통역 없이 직접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되는 모양이다. 또한 [[코세기 디아나]] 初단이 운영하는 바둑 학원에서 영어 바둑 용어에 대한 공부도 꽤나 한 것으로 보인다. 광주 [[광산구]] 모 예비군 동대에서 상근 복무, 전역한 후 바둑TV 의 [[https://www.youtube.com/watch?v=-zQ7ypVR2XU|유튜브 채널]]에서 이유민 캐스터와 '타이젬 국가대표 최강리그'를 실시간 방송으로 중계했다. 이 때 특유의 입담과 아재개그로 꽤나 좋은 반응을 받았다. ~~개그덕둥률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옆에서 이유민 캐스터가 잘 받아주는 것이 킬포.~~ [[제6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준결승과 결승에서는 송규상 五단과 공동 해설을 맡았는데 여기서도 특유의 입담으로 재미를 줬다.([[https://youtu.be/QKFn8s-cCuA|어록 하이라이트]]) [[한국바둑리그/2020-21시즌|2020-21시즌 바둑리그]]부터 [[한국바둑리그]] 유튜브 해설 방송인 'Fun Fun 라이브' 해설을 맡아왔다. 아재개그는 물론 각종 시사, 경제 관련해 풍자하는 드립들도 구사하여 재미를 줬다. 2022년 2월 경 [[한국바둑고]] 교사로 부임하게 되면서, "Fun Fun 라이브'의 해설진에서 하차하게 됐다. 이후 [[2022 조아제약 루키바둑리그]]에 '순천 한국바둑중고등학교'팀 감독을 맡았다. == 여담 == 이름이 이름이다보니 유튜브를 포함한 채팅창의 반응도 뜨거운(?) 편이다. 물론 어그로가 없는 것은 아닌데, 이름 때문에 저 사람은 [[재중동포|중국교포]]다(...), 또는 [[중국기원]]에서 파견온 기사 아니냐, [[커제]] 제자 아니냐 라는 식의 아무말 내지는 억지주장을 꾸준히 내비치는 유저들도 꽤 있다. [[분류:바둑 기사/한국]][[분류:명지대학교 출신]][[분류:1998년 출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