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과학기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047a0 10%, #cd313a 10%, #cd313a 19%, #0047a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2 이어도 해양과학기지}}}[br]離於島 海洋科學基地[br]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전경.jpg |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 ||[[2003년]] [[6월]] ([age(2003-06-01)]주년) || || '''운영기관'''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 || '''규모''' ||높이 총 76m[* 수상 36m, 수중 40m], 면적 1,320㎡, 중량 총 3,400톤 || ||<|3>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 서남쪽 149㎞[*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 ||32° 7′ 22″ N, 125° 10′ 56″ 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2.122778%2C125.182222&zoom=7, 높이=224px, 너비=100%, 타입=satellite)]}}} || || '''링크''' ||[[https://www.khoa.go.kr/ors/station_intro1.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국립해양과학원 기지소개)^^ | [[http://www.khoa.go.kr/ors/live_stream_popup.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실시간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AzA55J43D4)]}}} ||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x7RdvDLcfs)]}}} || || '''[[대한민국 해군|{{{#fff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기동경계작전 영상'''[* 0:40~0:45 좌측에서 중앙으로 DDG-992 율곡이이함 위에 보이는 하얀 물결이 치는 곳이 이어초 정상과 해수면이 제일 가까운 부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에서 서남쪽으로 149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어도]]에 설치된 과학기지. 대한민국의 3대 해양과학기지이며, 그 가운데 가장 처음 지어진 기지이다. 수심 약 40m의 파식 지대에 세워져있으며, 가장 얕은 곳은 해수면 아래 약 4.6m이다. 우리나라에서 세운 최초의 해양과학기지이며 해양, 기상, 환경 등 종합 해양 관측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태풍]]의 60%가 통과하는 길목에 위치한 해양과학기지이며,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기 8~12시간 전에 태풍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태풍예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재해를 예방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전에는 무인체제로 운영되어 연구원들이 방문시 며칠 정도 거주할 수 있는 임시 시설로 운영되었으나, 2014년 3월부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82&aid=0000429020|체류형 기지로 전환]]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다만, [[이어도#배타적 경제수역(EEZ) 논란|영유권 분쟁 문제]]로 완공 직후를 제외하곤 민간 신분의 연구원들이 상주하지는 못하고 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ews20.busan.com/20160711000068_0.jpg|width=100%]]}}} || ||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지 현황''' || * '''1987년''' * [[해운항만청]]에서 이어도에 등부표[* 선박항해에 위험한 곳임을 알리는 무인등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항로표지 부표] 설치하고 국제적으로 공표 * '''1995년'''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착공 * '''2003년 6월'''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준공 및 시범운영 실시 * '''2007년 1월 1일'''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운영기관 이관(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국립해양조사원) == 시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개요 그래픽.jpg|width=100%]]}}} ||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요약 그래픽 | {{{-2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대한민국 해양경찰|{{{#fff 대한민국 해양경찰}}}]] [[제민급|{{{#fff 제민급}}}]] 경비함}}}''' || 국내에서 처음으로 설계, 건설한 해양과학기지라서 멀미가 심하게 나올 정도로 파도에 의한 진동이 꽤 심하다고 한다. 전체적인 시공은 [[현대중공업]]이 맡았으며, 울산의 현대중공업에서 데크 구조물을, 목포 [[현대삼호중공업]]에서 하부(재킷) 구조물을 제작했다. 1999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바다의 날을 기념하여 수중 표지석도 세워 놓았다. 2020년 현재, 이어도 기지에는 휴대전화 [[기지국]] 시설도 있는데 [[SK텔레콤]]이 [[NR|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뜬금없는 곳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의외로 하루 당 3만 통 정도를 처리할 정도로 북적이는 기지국인데,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조업을 하는 [[어선]]들이 통화가 필요할 때 이어도 근처로 와서 통화를 하는 식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해양경찰]]도 마찬가지로 근처에 오면 사용하며 중국 어선을 비롯한 해외 선박들도 지나가면서 [[로밍]]을 걸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그 수익도 꽤 된다고 한다. [[https://www.sktinsight.com/91260|#]] * 준공: 2003년 * 예산: 총 212억원 * 구조물 * 높이: 총 76m (수상 36m, 수중 40m) * 중량: 총 3,400톤 * 면적: 1,320㎡ (12인 최장 15일 수용) * 수명: 기본 50년 * 시설: 접안시설, 해수펌프, 수중관측장비, 디젤발전기, 유류탱크, 담수화설비, 전동사다리, 관측실, 식당, 세미나실, 거주지, 태양전지, 등대, 헬기착륙장 등 * 설계조건 * 구조물 수명: 50년 * 기준파고: 24.6m * 기준풍속: 50m/s (시간평균) * 기준조위: 3.7m * 해·조류: 2.34m/s == 주요 기능 == * 실시간 해양 및 기상정보 제공 및 태풍예보 * 북서 태평양 지역의 기후변화와 해양환경 특성 파악 * 선박 안전 및 해난사고 수색전진 기지 역할 == 기타 == * 오래된 해양과학기지인 만큼, 다큐에도 나오고 보도에도 간혹 나온다. * [[KBS]] 신화창조의 비밀 - "태풍의 길목을 지켜라!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프로젝트" (2004.07.09.) [[https://youtu.be/AVEwkiUhD2U|#링크]] * [[SBS 8 뉴스]] - '신비의 섬' 위에 세운 해양과학 전초기지…현장 가보니 (2018.10.28.) [[https://youtu.be/Du14bCU_BsQ|#링크]] *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0/upfile/201802/20180224091538.jpg|여기에 링크된 포토를 보면]] 이어도 기지 위에서 포말과 잔물결이 일고 있는 자리가 바로 이어초 정상과 해수면이 제일 가까운 부분이다.[* 해당 이미지로는 암초의 최정상 일대가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지 구조물에서 북쪽으로 700m 떨어진 거리이다. [[https://www.jejunews.com/news/photo/202004/2162705_185927_734.jpg|#1]],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028839764758.pdf|#2]]] == 관련 문서 == * [[가거초]] * [[신안가거초 해양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 [[국립해양조사원]]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어도, version=476, paragraph=4.3)] [[분류:해양학]][[분류:암초]][[분류:제주특별자치도 소재 관공서]][[분류:제주특별자치도]][[분류:서귀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