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간략(코칭스태프))] ---- ||
'''{{{#FFFFFF 이영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s-6.2|[[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5_r6_250.png|height=30]]]] [br] '''{{{#FFFFFF 2006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격왕 }}}''' || ---- ||<-5>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FFFFFF 등번호 50번}}}''' || || 최건호(2003) || → || '''이영수(2004~2005)''' || → || [[진민호]](2006~2007) || ||<-5>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FFFFFF 등번호 46번}}}''' || || [[이상화(1980)|이상화]](2004~2005) || → || '''이영수(2008~2011)''' || → || [[황정립]](2012~2013.7.4) || ||<-5>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FFFFFF 등번호 37번}}}''' || || [[이규대]](2010~2012) || → || '''이영수(2013)''' || → || [[문선엽]](2014~2017) || ||<-5>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FFFFFF 등번호 76번}}}''' || || [[김현욱(야구)|김현욱]](2011~2017) || → || '''이영수(2018~ )''' || → || 현역 || }}} || ---- ||<-2>
{{{#FFFFFF 삼성 라이온즈 No.76}}} || ||<-2> {{{#000000 이영수(李永守 / Young-Soo Lee)}}} || || '''생년월일''' || [[1981년]] [[5월 9일]] ([age(1981-05-09)]세) || || '''출신지''' || [[대구광역시]] || || '''학력''' || 수창초-경운중-[[대구 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한양대학교|한양대]] || || '''포지션''' || [[내야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4라운드 지명(전체 26번, 해태)]] || || '''소속팀''' || [[KIA 타이거즈]] (2004~2011) [br] [[삼성 라이온즈]] (2013) || || '''지도자''' || [[상무 피닉스 야구단]] 타격코치 (2014~2017) [br]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2018) [br]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18[* 4월 13일부로 승격]~2019) [br]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보조코치 (2020~ ) || [목차] == 소개 == 前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출신 내야수. 현재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 선수 생활 == 2000년 신인드래프트 때 해태 타이거즈에 지명됐지만 한양대학교에 진학하면서 2004년에 프로에 입단했다. 2005년 1군에 데뷔했는데 4경기에 출장해 2타수 무안타를 기록했고, 시즌 후 군복무를 위해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입대했다. 입대 첫 해인 2006년 0.401의 타율로 2군 북부리그 수위타자상을 수상했다. 1999년 정현택(LG), 이동욱(롯데)에 이어 3번째 [[KBO 퓨처스리그|2군 리그]] 4할 타자. 입대 2년차에는 입대 동기이면서 4살 어린 [[박석민]]에게 밀렸다. 원래 포지션은 3루수였지만 수비가 썩 좋은 편은 아니라서 군제대 후에는 1루수나 외야수로 나올 수밖에 없었고, 장점이었던 타격도 1군에서는 잘 통하지 않으면서 2군에서 머무는 기간이 점점 길어졌다. 2011년 1군에는 못 올라온 가운데 2군에서도 15경기에 출장해 타율이 2할 5푼에도 못 미치면서 시즌 후 KIA에서 방출됐다. 1년간의 공백기를 갖고 2013년 삼성에 [[육성선수|신고선수]]로 입단했다. 4월 중순 [[모상기]]가 1군에 올라오면서 그 대신 2군 주전 1루수로 출장했으나 4월 말 모상기가 다시 2군에 내려오면서 이후로는 경기에 나오지 못했다. 시즌 후 방출되면서 은퇴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04 ||<|8> [[KIA 타이거즈|KIA]] ||<-15> 1군 기록 없음 || || 2005 || 4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06 ||<-15><|2>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07 || || 2008 || 15 || 32 || .156 || 5 || 0 || 0 || 0 || 2 || 1 || 0 || 6 || 0 || 4 || .290 || .156 || || 2009 ||<-15> 1군 기록 없음 || || 2010 || 42 || 73 || .247 || 18 || 6 || 0 || 2 || 13 || 9 || 0 || 10 || 4 || 11 || .368 || .411 || || 2011 ||<-15> 1군 기록 없음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3 || [[삼성 라이온즈|삼성]]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61 || 107 || .215 || 23 || 6 || 0 || 2 || 15 || 10 || 0 || 16 || 4 || 15 || .339 || .327 || == 지도자 생활 == 2014년 [[상무 피닉스 야구단]] 타격코치로 부임했다. 선수 개인별 맞춤형 지도로 단순한 기술적 보완만 한 게 아니라 멘탈 향상도 도우면서 이영수가 타격코치를 맡은 후 2년 연속 퓨처스리그 홈런왕이었던 [[한동민]], 2016년 퓨처스 전체 타율 1위를 한 [[김헌곤]], 퓨처스리그 최초 3할 30홈런 100타점을 달성한 [[문상철]], 문상철의 맹활약에게 묻혔지만 26홈런으로 역대 퓨처스 한 시즌 홈런 2위를 달성한 [[황대인]] 등이 퓨처스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고 [[김선빈]], [[노진혁]], [[이상호(1989)|이상호]], [[정현(야구선수)|정현]], [[하주석]] 등도 상무에서 부쩍 성장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99350|군대 가면 끝?… ‘진짜 야구선수’ 된다]] 2018년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로 부임했다. 2018년 4월 13일에 삼성의 타격 부진으로 인하여 타격을 살리는 중책을 맡고 1군 코치로 콜업되었다. 그리고 죽을 쑤던 [[김상수(타자)|김상수]]와 [[박해민]]이 기적같이 되살아났다! == 기타 == [[이범호]]와는 초등학교, 중학교 동창이고 [[박기혁]]과는 초등학교, 고등학교 동창이다. 중학교 시절 이범호는 체격이 왜소했던 탓에 이영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못 받았다고. 농구선수 [[양동근(농구선수)|양동근]]과도 친구 사이며, 이영수의 소개로 이범호와 양동근도 절친이 됐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 은퇴/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 은퇴/이적]][[분류:광산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