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이영수}}}[br]李英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영수 지사.jpg|width=100%]]}}} || ||<|2> '''출생''' ||[[1924년]] [[12월 29일]]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 278번지 || ||<|2> '''사망''' ||[[2022년]] [[4월 11일]] ('''향년 97세''')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수원)|정자동]] 연세엘림[[요양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6묘역-4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훈받았다. == 생애 == 192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 278번지에서 태어났다. [[일본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군속으로 배치되었다가 탈영했고, 일본 경찰의 지명수배를 피해 1944년 9월 말 [[안휘성]] [[푸양시(안후이성)|부양현]](阜陽縣)[* 現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푸양시(안후이성)|푸양시]].]에 도착해 곧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했다. 그해 12월에는 일본군 내 조선인 병사들을 한국광복군으로 인도하는 초모공작 임무를 받아 줄곧 활동했다. 1945년 5월 일본군 헌병대에 발각되어 체포되었으나, 조선으로 압송되던 도중 [[만주국]] [[랴오닝성|금주성]](錦州省) [[진저우시|금주시]](錦州市) 구방자역(溝幇子驛)[* 現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진저우시]] 베이전시(北鎭市) 거우방쯔경제개발구(溝幇子經濟開發區) 거우방쯔역(溝幇子站).]에서 극적으로 탈출에 성공했다. 이후 [[봉천성]] [[잉커우시|영구시]](營口市) 제7구(第七區) 전장대(田莊臺)[* 現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판진시]] 다와구(大洼區) 톈좡타이진(田莊臺鎭).]에 몸을 숨겨 숨어 살다가 [[8.15 광복]]을 맞았다. 귀국 후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9사단]] [[29연대]] 소속 사병으로 참전하기도 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고, 이어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사망 == [[2022년]] [[4월 11일]] 오후 8시 30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수원)|정자동]] 연세예림[[요양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7세. 빈소는 수원시 [[영통구]] [[하동(수원)|하동]] 연화장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4월 13일 오전 7시 30분에 발인했다. 그의 유해는 2022년 4월 13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6묘역에 안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고령군 출신 인물]][[분류:1924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