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영호}}}'''[br]'''李齡鎬'''}}}}}} || || '''자 / 호''' ||강문(康雯) / 석전(石田) || || '''본관''' ||[[진성 이씨]][* 온혜종파(溫惠宗派)-상계종파(上溪宗派) 20세 호(鎬) 항렬.] || ||<|2> '''출생''' ||[[1893년]] [[7월 14일]] || ||[[경상도]] [[예안군|예안현]] 의서면 온계리[br](현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안동)|도산면]] 온혜리 353번지) || ||<|2> '''사망''' ||[[1964년]] [[7월 5일]][* 음력 5월 26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53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3년 7월 14일 경상도 예안현 의서면 온계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353번지)에서 [[퇴계 이황]]의 12대손인 아버지 이중인(李中寅, 1857. 5. 10 ~ 1944. 11. 8)과 어머니 [[예안 김씨]](1856. 2. 3 ~ 1893. 7. 16)[* 김석규(金碩奎)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온혜리 553번지로 이주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50&evntId=0034989082&evntdowngbn=Y&indpnId=000002027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거주하기도 했다]]. 5대조 이귀응(李龜應, 1729 ~ 1789. 8. 25)은 배천군수(白川郡守, 종4품)를 역임했고, 고조부 이지순(李志淳, 1762 ~ 1807. 2. 14) 또한 한산군수(韓山郡守)·익산군수(益山郡守) 등을 역임했다. 증조부 이휘녕(李彙寧, 1788 ~ 1861. 2. 13)은 1816년([[순조]] 16) 식년 [[생원|생원시]]에 1등 4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16_029163|입격하여]]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종2품)에 올랐고, 조부 이만희(李晩憙, 1825 ~ 1859. 12. 20)는 1846년([[헌종(조선)|헌종]] 12) 식년 [[진사|진사시]]에 3등 30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46_031919|입격했다]]. 그는 유년 시절부터 [[을미의병]] 당시 예안의병진에서 활약했던 19촌 지간의 족숙(族叔)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2123|이중린]](李中麟)과 22촌 지간의 족조(族祖)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173|이만도]](李晩燾) 등의 이야기를 듣고 일찍이 이들의 뜻을 계승하고자 했다. 이에 국권회복을 위해 전국을 순회하며 일본의 조선인에 대한 처우 개선, 자유 공동묘지, 도로 보수 등 일제 정책의 부당성을 역설하며 항일사상을 고취하고자 했다. 그 뒤 1919년 [[경기도]] [[경성부]]에서 [[3.1 운동]]이 일어났다는 것을 듣고 비밀리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로 갔고, 기회를 엿보다가 그해 3월 10일 오후 5시에 대구부 남문 밖 장터에서 학생 및 기독교인 등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다수의 일본군과 일본 경찰들의 진압으로 시위행진은 중지되었고, 장터 안에서 독립만세를 외쳤으나 결국 당일 현장에서 그를 비롯한 65명의 주동급 인물이 체포되었다. 1919년 5월 30일[*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0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324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1919년 형사사건부]]에는 5월 31일로 기재되어 있다.]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50&evntId=0034989082&evntdowngbn=Y&indpnId=000002027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고]], 이에 공소하여 6월 4일 대구지방법원으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93&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4427&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이감되었다]]. 그해 6월 2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78&evntId=0034983820&evntdowngbn=Y&indpnId=0000015373&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원심 판결이 취소되고]] 징역 1년형으로 감형받아 결국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귀향해서도 고향 예안면에서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다가 재차 체포되어 구류되기도 했다. 이후 13대조인 [[퇴계 이황]]의 문집 《퇴계선생문집부록(退溪先生文集附錄)》을 경기도 경성부 [[사직동(종로구)|사직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종로구)|사직동]]) 1번지에서 편집해 1935년 7월 19일 안동군 자택에서 발행했다. 1964년 7월 5일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별세했다. 198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낙모봉(落帽峰)에 안장되었다가 2012년 5월 20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 여담 == * 부인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羅州 丁氏) 정섭(1893. 2. 3 ~ 1968. 12. 8)[* 정대식(丁大植)의 딸이다.]과 결혼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 장남 연민(淵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71&docId=883658&categoryId=43671|이가원]](李家源, 1917. 2. 15 ~ 2000. 11. 9)은 1941년 [[명륜전문학교|명륜전문학원]] 연구과 [[한문학]] 전공, 1943년 명륜전문학원 경학연구과 한문학 전공, 1952년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56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s://lib.skku.edu/#/search/detail/107452|李朝傳奇小說硏究]](이조전기소설연구, 1956).]를 취득하고 1965년 8월 동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806706|燕巖小說硏究]](연암소설연구, 1965. 8).]를 취득했다. 1969년 2월에는 [[중화민국]] 중화학술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5년 [[성균관대학교/학부|성균관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교수]]로 부임했고, 1958년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에 대우교수로 부임해 1982년 퇴임했다. 이후 1983년 [[단국대학교 대학원]]에 대우교수로 부임했고, 1997년 7월 11일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2분과 회원에 선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진성 이씨]][[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1893년 출생]][[분류:1964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