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용체]][[분류:막단백질]][[분류:수송 현상]]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온통로수용체.gif|width=100%]]}}} || |||| 이온 통로 수용체와 [[GPCR]] 구조의 비교 사진 || |||| 다른 이름 || ||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 ||ligand-gated ion channels || || 이온성 수용체 ||ionotrophic receptor || || 이온 통로 수용체 ||ion channel receptor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온 통로 수용체(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 이온성 수용체)는 [[리간드]]가 결합했을 때 입체 구조의 변화를 일으켜 [[이온(화학)|이온]]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온 통로]] 단백질의 일종이다. == 구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온성수용체다량체.jpg|width=100%]]}}} || || 이온 통로 수용체의 종류별 서브유닛 개수 || 하나의 이온 통로 수용체는 대부분 2~5개의 [[서브유닛]](subunit)으로 이루어진 다량체(polymer)이다. 이 서브유닛 하나하나가 [[단백질]] 하나에 해당한다. 대개는 수용체 하나당 하나의 통로(pore)가 존재하지만, 이량체인 [[염화물 통로]](chloride channel) 같은 경우는 하나의 서브유닛에 하나씩 통로가 존재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M도메인.jpg|width=100%]]}}} || || 막통과 도메인 || 서브유닛 하나는 보통 4개의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TM domain)으로 이루어져 있다. == 기능 == 생체 내에서 [[시냅스]]에 많이 분포한다. == 종류 == * [[AMPA 수용체]] * [[상피세포 나트륨 통로]](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 [[P2X 통로]] * [[GABA 수용체]] -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리간드로 하는 수용체. * [[5-HT3 수용체]] - [[세로토닌 수용체]]의 일종. 세로토닌 수용체의 다른 일부는 GPCR이다. * [[NMDA 수용체]]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nAchR) -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AchR)는 [[GPCR]]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