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이온 플럭스}}}''' (2005)[br]''Aeon Flux''}}} || ||<-2> [[파일:이온 플럭스.jpg|width=100%]] || || '''{{{#ffffff 장르}}}''' || [[SF]], [[액션]] || || '''{{{#ffffff 감독}}}''' || 카린 쿠사마 || || '''{{{#ffffff 제작}}}''' || 게일 앤 허드[* [[터미네이터(영화)|터미네이터]] 각본가][br]데이비드 게일[br]게리 루체시[br]그레고리 굿맨 || || '''{{{#ffffff 각본}}}''' || 필 헤이[br]매트 맨프레디 || || '''{{{#ffffff 원작}}}''' || 피터 정 - 애니메이션 《[[이온 플럭스]]》 || || '''{{{#ffffff 음악}}}''' || 그레임 러벨 || || '''{{{#ffffff 촬영}}}''' || 스튜어트 드라이버그 || || '''{{{#ffffff 편집}}}''' || 피터 호네스[br]Plummy Tucker || || '''{{{#ffffff 제작사}}}''' || MTV 필름스[br]레이크쇼어 엔터테인먼트[br]Valhalla Entertainment || || '''{{{#ffffff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 || '''{{{#ffffff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5년 12월 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6년 6월 22일 || || '''{{{#ffffff 상영 시간}}}''' || 92분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피터 정의 애니메이션 [[이온 플럭스]]의 실사 영화로, 일본계 미국인 감독 카린 키요코 쿠사마가 연출했다.[* 참고로 쿠사마가 연출한 영화는 흥행에 성공한 게 하나도 없음에도 저예산(그 저예산 영화 제작비도 못 건질 정도의 흥행)이긴 해도 2018년까지 감독으로 꾸준히 활동했다.] == 예고편 == [youtube(siS5NMwZbQQ)] == 출연진 == * [[샤를리즈 테론]] - 이온 플럭스 역 * 마튼 초카스 - 체어맨 트레버 굿차일드 역 * [[조니 리 밀러]] - 오렌 굿차일드 역 * 소피 오코네도 - 시산드라 역 * [[피트 포스틀스웨이트]] - 키퍼 역 * [[프란시스 맥도맨드]] - 핸들러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402022, user=5.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on-flux-2005, user=2.3)] 비평적으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 우선 재치있고 철학적인 원작 애니메이션의 요소는 싹 걷어내고 진부한 헐리우드식 스토리로 채워놓았다는 점부터 큰 비난을 샀다. 원작 파괴 수준이라 원작자 피터 정도 대놓고 불만을 표시했을 정도. 샤를리즈 테론도 배우 자체는 좋았지만 원작의 캐릭터와는 안 맞아 미스캐스팅이라는 평이 많다. 흥행 수익은 6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전세계에서 5230만 달러를 벌어 제작비 회수도 못했다. 그나마 건질만할 건 몇몇 액션씬이나 특수효과인데 그중 가장 눈길을 끈 건 식물들이 병기화된 살인정원 씬이다. 카카오 열매에서 독침총탄이 발사되고 잔디가 칼날로 변형되는 독특한 발상이 볼거리다. [[https://www.youtube.com/watch?v=7CG3l_BTl30|정원 씬]] [[https://www.youtube.com/watch?v=yWhgI_AjGSs|한국어 해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온 플럭스, version=51)] [[분류:2005년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