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육군 준장, rd1=이우헌(군인))] [[파일:external/rokps.or.kr/830.jpg|width=150]] 李于憲[*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80200329201017&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3-08-02&officeId=00032&pageNo=1&printNo=5468&publishType=00020|1963년 8월 2일 경향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때까지만 해도 이름이 李'''{{{+1 又}}}'''憲이었다. 한편, 함평이씨대동보 권2 454쪽에 따르면, 초명은 李'''{{{+1 禹}}}'''憲이다.] [[1902년]] [[9월 27일]] ~ [[1975년]] [[4월 23일]][* [[음력]] [[3월 12일]]] (향년 72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함평 이씨|함평]](咸平)[* [[http://aks.ai/GC01303058|디지털여수문화대전]]. 운봉공파(雲峯公派) 26세 헌(憲) 항렬.], 호는 석정(石亭)·석성(汐聲)이다. == 생애 == 1902년 9월 27일 [[전라남도]] [[여수시|여수군]] 여수면 동문외리(現 [[여수시]] [[관문동(여수)|관문동]] 920번지)에서 아버지 이민홍(李敏洪, 1868 ~ 1937. 7. 20)[* 자는 윤경(允京).]과 어머니 [[현풍 곽씨]](1873 ~ 1954. 8. 11) 사이에서 3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http://aks.ai/GC01303058|태어났다]]. 여수공립보통학교(現 여수서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여수공립간이수산학교]](현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여수공립간이수산학교를 중퇴한 뒤 여수군 여수면 읍내에서 일본인이 경영하던 정미공장에서 수년간 일했으며, 22세 되던 1923년 공성(共成)정미소를 [[http://aks.ai/GC01303058|설립해 경영했다]]. 1926년 가을에는 여수군 여수읍 [[서교동(여수)|서정]](現 [[여수시]] [[서교동(여수)|서교동]]) 매립지에 공장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7041300209204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7-04-13&officeId=00020&pageNo=4&printNo=2374&publishType=00020|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하였다. 이후 조선수산회 중앙회 이사를 겸하였다. 1937년 5월 10일 시행된 전라남도평의회 의원 총선거에서 여수읍 대표로 [[http://db.history.go.kr/id/gb_1937_07_06_a31410_00050|당선되었고]], 1937년부터 1943년까지 여수자동차주식회사 감사를 [[http://db.history.go.kr/id/gb_1943_06_26_a49190_00390|지냈다]].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초대 여수읍장을 역임했다.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여수지부장, 1949년 10월 1일부터 1953년 10월 1일까지 [[https://yeosucci.korcham.net/front/contents/ceopagelistPage.do|제2대]] [[상공회의소|여수상공회의소]] 회장, 전라남도 곡물협회 회장, 여수산업주식회사 사장, 여수금융조합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민주공화당]]에 입당해 전라남도당 부위원장 및 전라남도 [[여수시(통합 이전)|여수시]]·[[여천군]] 지구당 위원장에 취임했고,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남도 여수시·여천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대한민국 국회|국회]] 보건사회위원회(현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어 1969년까지 역임하였다. 국회의원 재직 중 [[여수공항]] 유치, [[거문도]] 방파제 건설, 여수시-순천시 간 [[17번 국도]] 포장 등의 지역 사업에 노력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공화당에 신설 선거구인 전라남도 여천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김중태(1920)|김중태]]에 밀려 탈락하였다. 공천 탈락에 항의하였다가 당으로부터 경고 처분을 받았다. 이에 민주공화당을 탈당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해당 선거 이후인 같은 해 8월 다시 신민당을 탈당하였다. 1975년 4월 23일 오전 4시 40분 전라남도 여수시 [[봉강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4230032920702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4-23&officeId=00032&pageNo=7&printNo=9099&publishType=00020|사망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남 [[여수시]]·[[여천군]][* 제4지역구] ||<|2> [include(틀:민주공화당)] || '''34,641 (44.35%)''' ||<|2> '''당선 (1위)''' || '''초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44,112 (53.82%)''' || '''재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전라남도)] [[분류:여수시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1902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