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 [include(틀:이웃집 찰스)]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이웃집 찰스]]의 [[2022년]] 상반기 외국인 신입생 목록이다. == 상세 == === 318회 === * 버튼: 본명은 레트 제임스 버튼. [[캐나다]] 출신. [[서스캐처원주|코데트]][* [[밴쿠버 국제공항|밴쿠버]]에서 두 시간 동안 비행기를 타고 간 다음 자동차를 타고 3시간을 가야 하는 곳이다.] 출신인 그는 [[역도]] 선수로 대회에 참가해 3위로 입상하는 등 체육 활동을 해오다 대학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취업을 하려다 여의치 않자 친구의 추천을 받아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한일 월드컵]] 기간이었던 [[2002년]] [[6월 17일]][* 바로 다음날이 [[히딩크호/이탈리아전|한국 선수단과 이탈리아 선수단의 16강전 경기]]가 열린 날이었다.]에 한국으로 건너왔다. 어느 날, 한국어를 배우려던 사례자와 영어를 배우려던 한 한국 여성의 이해 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사귀기 시작했고 [[2011년]]에 혼인해 두 자녀를 두었다. 출연 당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원어민 교사로 재직하고 있었다. 아침에 사례자가 배우자의 어머니와 함께 [[전라북도]] [[군산시]] [[군산시/행정#s-2.5|산북동]]에 위치한 한 축사로 가서 사료를 배급했다. 일가족이 특대 왕갈비로 식사를 했으며, 사례자가 자택으로 돌아와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지도했다. 지도가 끝나자 [[말레이시아]] 소재 교육 전문가의 비대면 지도를 받았다. 둘째 아들이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한 스튜디오에서 [[프랑스 혁명]]을 주제로 사진을 찍었다. 저녁에 일가족이 비밀리에 집을 나서더니 [[현대 투싼|차]]를 타고 군산에 위치한 친척집으로 갔다[* 이 장면에서 배우자가 '[[난개발/경기도#기흥구|차가 밀린다]]'는 말을 했는데, 막히지 않으면 2시간 15분 안팎이 걸린다.]. 도착하자 마자 광어회와 [[차돌박이]] 구이, [[육회]] 등으로 식사를 했으며, 다음날 아침에 사례자가 배우자의 아버지와 함께 [[기아 봉고|차]]를 타고 [[http://kko.to/MNH8b4gY3|논]]으로 가서 풀을 심었다. 배우자의 어머니가 축사에서 키우고 있는 새를 보여주었는데, 배우자의 아버지 말에 따르면 사례자가 [[오리]]인 줄 알고 사온 새가 알고 보니 [[기러기]]였다는 것. 사례자와 두 자녀가 축사에서 일하는 동안 배우자가 어머니와 함께 밭에서 무와 채소 등을 재배했다. 사례자 부부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서울)|서교동]] 소재 [[http://naver.me/xTlyRp27|한 출판사]]를 방문해 직원들과 영어 교재 출판을 논의했는데, 출판사 관계자는 초안을 살펴보더니 원어민이 써서 문장들이 살아있다며 한국 아이들이 공부하기에 매우 좋다는 평가를 했다. 업체 대표도 단원별 진행률까지 확인할 수 있게 개발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20여 년간 원어민 교사로 재직한 노하우로 영어 교재를 자체 개발해왔는데, 기존 교과서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없어 자신의 철학대로 교재를 개발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이를 개발하는 데 7년이 걸렸다고. 일가족이 차를 타고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에 있는 [[http://naver.me/5Gzceszu|한 주유소 근처]]로 가더니 [[현대 에어로타운|버스]][* 영상에서 자막으로 대형 버스라고 표기했지만, 표준형은 엄연히 중형 버스로 간주하고 있으니 주의한다. 다만, 장축형은 길이가 9미터나 되기 때문에 법적으로 대형 승합차로 간주된다.]옆에 텐트를 치고 캠핑을 하기 시작했다. 알고 보니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교정본부]]에서 운용하던 호송용 차량을 불하받은 다음 [[현대 에어로타운#기타|캠핑카]]로 개조해서 배우자의 친척이 사적으로 가지고 있는 땅에 세워둔 것. 사례자가 배우자의 친척이 가지고 온 장작에 불을 붙인 다음 일가족이 텐트를 하나 더 세우고 그물침대까지 달아서 손님을 기다렸다. 어느 손님이 사례자 가족을 찾아왔는데, 이들의 실체는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9년#s-2.13|쥬세빼 부부]]. 쥬세빼가 사례자에게 [[김치냉장고]]를 샀다고 자랑했으며, 사례자 가족과 친척, 쥬세빼 부부가 [[삼겹살]] 등으로 식사를 했다[* 이 장면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당시에 제작된 내용임을 고지했다.]. === 319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8년, 앵커=투물 2차 근황)] === 320회 === * 이반: [[이탈리아]] 출신. [[시칠리아|시칠리아주]] 출신으로 아버지가 제과점에서 일하다 보니 자신도 14살 때 [[몰타]]로 건너가서 식당 주방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어학 연수를 목적으로 방문한 한 한국 여성을 만나 사귄지 8개월만인 2019년에 한국으로 건너왔으며, 자녀로 딸 1명을 두었다[* 2022년 [[3월]]에 아들도 태어날 거라고 밝혔다.]. 출연 당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에서 [[http://naver.me/xue491kP|이탈리아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아침부터 [[남한산성입구역]]에서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열차]]를 타고 [[잠실역]]으로 간 다음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2호선 열차]]로 갈아타 [[홍대입구]]역에서 내렸으며, 한 카페로 가서 [[스모어|초코 스모어]]를 산 다음 자신의 사업장으로 가서 [[라자냐]]를 만들었다.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9년#s-2.13|한 손님]]이 찾아와서 피자를 주문했는데, 사례자는 자국에서 일했을 때 아침 8시에 출근하고 다음날 새벽 2시에 퇴근했다며 한국으로 건너온 뒤로 일을 덜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자세히 말하면 1년에 '''[[명절|5일]]만 빼고''' 12시간 동안 일한다고.]. 12시에 배우자가 사업장으로 찾아왔지만, 점심 시간이 지났음에도 손님이 보이지 않았다. 저녁이 돼서야 손님들이 찾아오기 시작했고, 사례자가 음식을 만들어서 손님들에게 제공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갔을 때 딸이 베란다에서 부모를 부르고 있었다. 집으로 돌아오자 마자 부모와 영상통화를 했으며, 배우자의 어머니와 함께 국수로 식사를 하고 새벽 2시에 잠자리에 들었다. 사업장에서 배우자가 자신이 만삭이라 2월 중순이 되면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될 거라고 밝혀 직원을 새로 뽑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하지만, 아무도 자신의 사업장으로 찾아와서 일을 하려고 하지 않아서 문제였다. 어떤 남성이 사례자 앞으로 찾아오더니 와인 얘기를 나누다 취업 문화를 논의했다. 그 시간에 사례자의 딸은 배우자의 부모가 운영하던 슈퍼마켓에서 놀고 있었다. 일가족이 [[기아 스포티지#s-2.4|차]]를 타고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에 위치한 [[http://naver.me/xdIkBRJi|한 캠핑장]]으로 가서 캠핑을 즐겼는데, 사례자가 포르게타를 만들려고 한 시간 동안 불을 피워놓았다. 두시간 만에 완성되긴 했으나, 칼로 잘라보니 속이 익지 않았다. 사례자가 사업장에서 오렌지 젤리 파이를 만든 다음 한 카페로 가지고 가서 시식을 의뢰했더니 카페 사업주가 호평을 했다. [[http://naver.me/5THTJNrK|한 음식점]]으로 가서 사업주에게 시식을 의뢰했더니 이번에도 호평을 했다. 배우자의 부모가 딸을 데리고 사례자 부부의 사업장으로 찾아오자 사례자가 만든 음식으로 식사를 했다. 사례자는 오전에 쓴 편지를 읽었는데, 부부는 자녀들을 생각해서 휴일을 늘리겠다며 사업장과 가까운 곳으로 거주지를 옮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321회 === * 에밀리: 본명은 신전 리스. [[미국]] 출신. 원래 [[뉴욕주]]에서 살았으나, 아버지가 [[1993년|21살 때]] 한국으로 여행간 것을 계기로 [[2003년]]에 한국으로 건너와서 살게 되었고, 나머지 가족들도 자연스럽게 한국으로 건너오게 되었다. 출연 당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창의리에서 살고 있었으며[*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0년 하반기#s-2.10|254회]]에서 출연한 체리 휴잇이 살던 곳과 동일한 장소이다. --어쩐지 낯익은 장소였다 싶었다.--], 무용수와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었다. 일가족이 일어나서 식사를 한 다음 [[BMW 5시리즈|차]]를 타고 학교와 직장으로 갔다. 사례자가 설거지를 한 다음 자전거를 타고 [[http://naver.me/xeUhkB8w|신천리 소재 노인회관]] 앞으로 가서 주민들을 만났으며, 관공서에 다녀온 다음 선촌리에 있는 어느 집 앞으로 갔다. 그녀는 [[2010년]]에 [[인천국제공항]]에서 차를 타고 시골로 가다 보니 가평에서 살게 되었다고 밝혔다. 사례자의 아버지가 집에서 [[고양이]]에게 [[멸치]]를 주려고 했으나 아직 먹을 때가 아니라고 판단했는지 주지 않았다. 옆집 할아버지가 부르길래 찾아가보니 [[꽃송이버섯]]으로 만든 술을 보여줬다. 부녀가 김치찌개를 만들어서 식사를 했으며, 사례자가 물건들을 가지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에 있는 한 옥탑방으로 갔다. 아침에 급히 준비한 다음 [[서울 버스 721|시내버스]]를 타고 [[DDP]]로 향했다. 그녀는 [[베냉]] 출신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8년#s-3.23|다니엘]]과 함께 홍보 동영상에 출연했는데, 초등학생 때 학예회에 참여하려고 춤을 추기 시작한 것이 무용수 활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밝혔다. 평일을 맞아 원격으로 경영통계학 수업을 이수했는데, 알고 보니 2021년에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학부/경영대학|경영대학]]에 입학했다는 것. 그녀는 사람들이 무용수를 직업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춤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보여주겠다며 경영학을 전공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구로구]] [[구로동]]에 위치한 [[http://naver.me/xke2wfl0|한 무용 연습실]]로 가서 수강생 2명을 대상으로 무용을 지도했으며, 집으로 돌아와서 그 중 한 수강생과 함께 [[찜닭|치즈찜닭]]으로 식사를 했다. 본가로 돌아온 사례자가 동생과 함께 미역국과 토스트를 만들었으며, 케이크와 과일까지 준비해서 아버지의 생신을 축하했다. 아버지가 자녀들이 쓴 편지를 읽은 다음 일가족의 과거 모습들을 돌아보았다. 사례자가 [[마포구]] [[합정동(서울)|합정동]]에 위치한 [[http://naver.me/5rTcohOg|한 무용 연습실]][* [[YG엔터테인먼트]] 본사 근처에 있다.]을 찾아 무용 지도를 통역했는데, 그룹 [[라치카]]가 소속된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앞두고 있어 주목을 받는 대목이었다. 사례자가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광한루원]]과 사매면 서도리 [[서도역]] 등에서 제작한 영상에 출연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anchor(에밀리 근황)]367회에서 근황이 소개되었다. 방송 출연 이후 [[이채연]]의 댄서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소속사의 무용 지도에서 통역을 담당하다 직접적으로 지도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 322회 === * 알료나: [[카자흐스탄]] 출신. 2010년에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 그녀는 [[2019년]]에 [[제주도]]로 건너와 농민으로 살다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한 여성을 만났는데, 그녀를 따라 [[전라북도]] [[남원시]]로 거처를 옮기면서 내국인 남성을 만나 사귀게 되었다. 출연 당시 [[도통동|갈치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폐가를 5년간 임대받은 다음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공사를 해서 살고 있었다.], 반려묘를 키우고 있었다. 사례자가 손수레를 끌고[* 자세히 보면 반려견이 사례자 앞에서 손수레를 끌고 가는 걸 볼 수 있다.] [[http://naver.me/5DbgGZLm|경지정리사업 현장]]으로 가서 [[1994년]]산 [[백원화|100원짜리 동전]]과 [[LG전자|금성사]] [[무선호출기]]를 발견했으며, 옷장을 싣고 자택으로 가져갔다. 그녀는 이를 분해한 다음 통나무까지 구해서 [[캣타워]]를 만들었으며, 배우자가 집으로 돌아오자 이를 보여주었다. 보일러실에서 미술 활동도 하다 보니 작품들을 보여줬는데, 제주도의 바다 쓰레기를 수거하는 활동도 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부부가 장화를 신고 논으로 가다 고드름을 따먹었으며, 땅을 파서 미꾸라지를 잡았다. 집으로 돌아와서 소금을 뿌린 다음 고구마와 함께 숯불에 구웠으며, 이장이 집에 찾아오자 함께 식사를 했다. 사례자가 [[http://naver.me/5IFWHlbn|도자기 공방]]으로 가서 이장과 함께 도자기를 만들었으며, 반려묘들에게 사료를 주었다. 이장이 청소 시간을 알리자 주민들이 [[http://naver.me/5wmi2tWR|마을회관]] 앞으로 모였으며, 경지정리사업 현장으로 가서 청소를 했다. 부부가 한 할머니댁을 방문해 집안을 살펴봤는데, 창문이 깨져 있는 걸 발견하고 합판과 스펀지로 직접 고쳐주었다. 사례자가 미술도구를 가지고 도로로 나가더니 주택 담장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미술 공방에서 장작불을 지핀 다음 도자기를 만들었으며, 완성된 작품을 회관으로 가져가서 주민들과 함께 외벽에 붙였다[*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85642|제7회 생생마을 만들기 콘테스트에 참가해서 경관 및 환경 분야 최우수상]]을,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77938|제7회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경관 및 환경 분야 동상을]] 받은 적도 있었다.]. 나무에 [[풍경#s-2|종]]을 매단 다음 소원을 비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anchor(알료나 근황)]367회에서 근황이 소개되었다. 방송에 나온지 [[6월|4달이 지난 뒤]]에 [[남원의료원]]에서 통역사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에서 홍보 영상을 만드는 일도 하고 있음을 전했다. 한편, 배우자는 [[5월]]부터 외지로 일하러 떠났고 2주마다 집에 돌아온다는 사실도 전했다. [[2023년|이듬해]] [[2월]]에 방송된 [[동물극장 단짝]]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21-0575&program_id=PS-2023020107-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5|제49회]]에도 출연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323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8년, 앵커=스테판 2차 근황)] === 324회 === * 이로다: 본명은 출리에바 이로다혼. 우즈베키스탄 출신. [[2014년]]에 한국으로 건너온 그녀는 먼저 한국으로 건너온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한 내국인 남성을 만난 다음 혼인했다. 출연 당시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자녀 3명[* 각각 [[2015년]], [[2018년]], [[2021년]]생.]을 두고 있었다. 사례자가 자택에서 자녀들의 머리카락을 자른 다음 솜사와 오쉬를 만들었으며, 배우자가 집으로 돌아오자 함께 식사를 했다. 첫째가 초등학교에 들어가야 해서 [[http://sce.icees.kr|석천초등학교]]를 찾아가 신원 확인을 했으며, 시누이와 함께 [[미추홀구]] [[관교동]] 소재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을 방문해 책가방을 샀다. 밤이 되자 자택에서 한국어를 공부했는데, 첫째가 초등학생이 될 거니 자신의 발음이 좋지 않으면 자녀에게 폐를 끼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침에 두 자녀를 유치원으로 보낸 다음 열차를 타고[* [[동인천역]]에서 촬영한 장면(좌우반전된 상태로 나왔다.)과 [[주안역]]에서 촬영한 장면이 섞여 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위치한 [[http://naver.me/I5FaOi2L|한 녹음실]]을 방문했는데, 그녀가 2021년 [[11월]]에 [[우즈베크어]] 3급 통·번역가 자격을 받아 통역 및 번역사 활동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종필 녹음 감독의 지도를 받아 우즈베크어 안내방송 녹음에 참여했을 때 자택에서 배우자가 일을 하다 사례자의 어머니와 함께 [[맘스터치|햄버거 세트]]를 사먹었다. [[고잔동(남동구)|고잔동]] [[대한민국의 운전면허 시험장#s-4.1.2.4|인천운전면허시험장]]에 가서 자국의 운전면허를 한국 면허로 바꾼 다음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송도동]]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부지에서 직접 [[현대 싼타페#s-2.3|차]]를 운전했다. 사례자가 어머니와 함께 외출하자 배우자가 자녀들과 함께 놀다 [[짜파게티]]로 식사를 했다. 모녀가 [[부평구]] [[부평동(부평구)|부평동]] 소재 부평종합시장을 방문해 [[http://naver.me/FmOsrDL6|한 생선가게]]에서 낙지를 살펴봤는데, [[내륙국|바다가 없는 나라]] 출신이라 보니 바닷고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듯. 한 가게 앞에서 호떡을 사먹은 다음 한 사진관으로 가서 [[즉석사진관|스티커 사진]]을 찍었다[* 이 장면에서 촬영일이 2022년 [[1월 9일]]이었음이 밝혀졌다.]. 이후 [[부평역지하상가#s-5|부평시장지하도상가]]에도 다녀온 다음 집으로 돌아왔다. 밤이 되자 사례자가 자녀들에게 우즈베크어로 노래를 가르쳐줬으며, 배우자의 어머니와 영상통화를 했다. 셋째가 첫 돌을 맞이하자 유니폼을 준비한 다음 [[계양구]] [[작전동]] 소재 [[http://naver.me/5y4WtVkT|한 사진관]]으로 가서 기념 사진을 찍었으며,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에서 [[http://naver.me/G8UFJZ0Q|케이블카]]를 타고 [[제부도]]에 갔다.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 [[옹진군(인천광역시)/행정#영흥면|영흥면]] 외리 소재 [[http://naver.me/GZ09svTe|한 풀빌라]]에서 실, [[마이크|무선 마이크]],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 [[청진기]], [[연필]] 등을 준비한 다음 [[돌잔치]]를 했으며, 사례자가 포부를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325회 === * 뇌인인[* 이름이 중국식인데다 [[뇌(성씨)#s-2|희귀 성씨]]인 점으로 봐 조상이 [[화교|중국에서 건너왔을 가능성이 분명하다.]] 만일 사실이라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중국계 외국인]]이 사례자로 출연한 첫 번째 기록을 세우게 된다.]: [[말레이시아]] 출신. [[외동딸]]로 태어난 그녀는 [[고등학생]] 시절에 [[치어리딩]]을 하기 시작했으며, 대학생 시절에 응원단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지도자 자격까지 갖게 되었다. [[2016년]]에 친구들과 관계가 나빠지자 스트레스 해소를 목적으로 한국으로 건너왔다 [[충남대학교]]에 다니게 되었으며[* 사진에 나온 교명이 흐림처리되어 있으나, 졸업장에 보이는 교표가 그대로 나왔기 때문에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1년에 한국 대표로 뽑혀 각종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처음 참가한 대회에서 [[https://www.ytn.co.kr/_ln/0107_202110131658320996|동메달을 받았다고.]]][* 사례자가 한국 국적으로 귀화하지 않았음에도 한국 대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해외에서 6개월 이상 체류 중인 선수는 체류 중인 국가의 대표 선수로 참가할 수 있는 세계 치어리딩 연맹의 규정 때문이다.]. 출연 당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유성구)|장대동]]에서 살았으며, 치어리딩 선수단 [[https://www.facebook.com/SundayCheerKR/|선데이]]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 소재 [[http://naver.me/xGbvRGEI|한 체육관]]에서 [[치어리딩#s-4.2|스턴트 치어리딩]] 훈련을 한 사례자는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서구(대전광역시)|서구]] [[도안동]] 소재 [[http://naver.me/5vIc84nt|한 체육학원]]으로 가서 아동들을 대상으로 치어리딩을 지도했는데, 이유는 응원단으로 활동했을 때 주장이 학원을 운영하다 보니 지도자로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오후에 장대동 소재 [[http://naver.me/5K8ftir6|한 카페]]에서 [[MacBook Pro|노트북 컴퓨터]]로 취업 공고를 살펴봤는데, 이유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비자/대한민국|비자(E7)]]로는 [[외국인 노동자 문제#s-5.1.3|자국민 5명 미만이 근무 중인 장소에서 취업을 제한받기 때문이다.]] 2021년 8월에 졸업한 이후 80여 곳에 이력서를 보냈음에도 면접하러 오라는 답변을 받은 적이 없었다는 것. 하지만, 놀랍게도 제작진이 사례자가 한 업체에서 본 면접에 합격했다는 사실을 전해들어 사례자를 찾아갔더니 진짜로 화요일에 면접을 보고 다음날에 합격 통보를 받았다는 사실을 들을 수 있었다. 오후에 학원에서 원생들을 대상으로 마지막 지도를 한 다음 [[유성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갔으며, [[고속터미널역]]에서 [[수도권 전철|도시철도편]]으로 [[상수역]]까지 간 다음 [[당인동]] 소재 게스트 하우스까지 걸어갔다. 다음날 아침에 도시철도편으로 [[남부터미널역]]까지 간 사례자는 [[서초구]] [[서초동]] 소재 한 기업에 들어가서 일을 하기 시작했다. 밤이 되자 게스트 하우스로 돌아온 사례자가 러시아 출신 유학생과 대화를 했는데, [[1월]] 넷째주에 자국으로 돌아갈 거라는 얘기를 들었다. 할머니와 영상통화를 한 사례자가 파주시 [[문산읍(파주)|문산읍]] 마정리 [[임진각국민관광지]]를 찾아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9년#s-3.14|닐 슈미트]]를 만나서 북녘을 바라본 다음[* 영상에서 [[자유의 다리]]([[임진강철교]])와 [[기정동]]이 나왔다.] 군대 얘기를 했는데, [[프랑스]]에서 [[2001년]]에 [[모병제]]로 [[징병제/프랑스|전환한 사실]]과 말레이시아에서 2018년까지 [[말레이시아군|병역 제도를 추첨제로 운영한 사실]]이 밝혀졌다. [[임진각국민관광지#s-3.3|평화의 종]]을 직접 친 다음[* 오전 10시와 오후 5시 사이에 만 원짜리 표를 사면 7번까지 칠 수 있다.] 평화휴게소로 가서 [[어묵|음식]]을 사먹었다. 이후 닐 슈미트가 사례자에게 한국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비결을 설명했다. 응원단 연고지를 찾아 동료들에게 취업 사실을 전했는데, [[2월]]이나 [[3월]] 중으로 서울에 거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훈련을 한 단원들이 인터넷에서 개최된 비대면 대회에 참가해 심사 결과를 확인했는데, 팀 치어에서 일반부 1위로 입상한 사실이 알려졌다. 직장과 가까운 [[관악구]] [[봉천동]]에 거처를 마련하기로 결심하고 한 공인중개사의 안내를 받아 첫 번째 주택을 살펴보았다. [[반지하]]임에도 넓은 실내 공간이 만족스러웠다는데, [[반지하#s-4|지상층에 비해 채광이 부족하고 습도가 높음에도]]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특징이었다. 임대료는 월 20만 원에 보증금 100만 원이라고 한다. 두 번째로 찾아간 곳은 한 주상복합 건물이었는데, 방이 좁음에도 수납 공간을 많이 확보한 점이 특징이었다. 하지만, 창밖으로 고층 아파트가 보이는 것에 공인중개사는 [[희망고문|이를 바라보며 내집 마련의 꿈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임대료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29만 원, 관리비 11만 원이라고 한다. 세 번째로 찾아간 곳은 옥탑방인데, 임대료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와 관리비를 합쳐서 42만 원이라고 한다. 하지만, 분리형 치고 넓은 편이데다 옥상을 혼자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사례자는 지금의 사정으로 옥탑방에서 살 수 없다며 나중에 돈을 많이 벌면 직접 살 수 있으리라 밝혔다. === 326회 === * 리나: 본명은 스피리나 폴리나 세르게예브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나라]]-- [[러시아]] 출신[* 이 점 때문에 방송 전부터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지 않았다.]. [[2019년]] [[여름]]에 [[홍콩]]에서 언어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한 한국 남성[* 출연 당시 '''[[삼성전자#s-8.1.6|삼성전자 구미공장]]'''에서 근무하고 있었다.]을 만난 다음 5달만에 혼인하고 한국으로 건너왔다. 출연 당시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읍]] 인덕리에서 살고 있었으며,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과]]에 다니고 있었다[* 원래 전자공학도 출신이었음에도 미디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학과가 있는 경북대학교로 편입했음을 밝혔다.]. [[장천면]] [[http://naver.me/5EWVMAyy|여남리에서]] 배우자의 어머니를 만나 [[http://naver.me/FWvNyRme|한 황토 찜질방]]으로 간 사례자가 삼겹살로 식사를 한 다음 자신의 어머니와 영상통화를 했다. 집에 돌아오자 마자 부부가 케이크를 [[롤케이크]]를 만들어서 배우자의 어머니와 함께 식사를 했으며, 사례자가 배우자의 어머니에게 피부 관리를 해주었다. 사례자가 본국에 있는 [[보컬 트레이닝|보컬 트레이너의 원격 지도를 받았는데]][* 이 때 부른 노래가 그 유명한 [[소찬휘]]의 [[Tears(소찬휘)|Tears]]이다.], 이미 16살 때부터 자국의 음악제에 참가해 상을 받은 적이 있었다는 것. 배우자가 컴퓨터를 만들어서 사례자에게 제공했으며[* [[그래픽 카드]]는 [[GeForce 30|지포스 3000 계열]]로 추정된다.], 사례자가 동영상을 렌더링한 다음 만족감을 표시했다. 배우자가 전자 피아노를 연주했다. 사례자가 [[고니(조류)|백조]]를 조사하기 위해 [[지산동(구미)|지산동]]에 위치한 [[http://naver.me/GZAspWLA|지산샛강생태공원]]을 찾아 동영상을 찍었다. 밤에 집에서 동영상을 편집하고 있을 때 배우자가 사례자에게 무언가를 줬다. 다음날 낮에 전공해야 할 과목을 공부했는데[* 이 장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케이블방송|MPP와 일반 PP]] 매출액 현황에서 [[LG유플러스]]의 [[LG헬로비전#s-2.6|CJ헬로 인수]]와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SK브로드밴드#s-2.5|인수합병]], [[딜라이브|씨앤엠이 딜라이브로 상호를 고친 사실]]이 반영되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아래에 있는 [[IPTV]] 사업자의 채널수가 방영 당시와 다른 점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봐 2010년대 중순 당시의 자료로 추정된다.], [[중역|한국어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다음 다시 한국어로 번역해서 알아두어야 하는 점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다. 이 때 갑자기 피부질환을 호소하자 배우자가 사례자에게 [[탱자]]물과 [[샐러드]]를 주었다. 부부가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에 위치한 배우자 부모의 집을 방문해 함께 식사를 한 다음 배우자의 어머니가 사례자의 머리카락을 잘라줬다. 아침부터 급히 집을 나선 사례자가 [[http://naver.me/5EWVMge3|버스 정류소]]로 갔으나, 통학 버스를 놓친 뒤였다. [[르노삼성 SM5|배우자의 차]]를 타고 [[구미종합터미널#s-5.1|구미공단정류소]]로 가서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 운수업체는 [[코리아와이드 진안]].]를 이용했으며, 인근의 [[http://naver.me/F0cgfNZ0|시내버스 정류소]]에서 [[대구 버스 706|간선버스]]를 타고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로 갔다[* 중간에 [[대구 버스 503|503번]]으로 갈아탔을 가능성이 확실하다.]. 강의가 끝난 뒤에 학교 앞으로 찾아온 배우자를 만나 [[구평동(구미)|구평동]]에 위치한 [[http://naver.me/Goz2TGOl|한 사설 학원]]을 찾아 [[운전면허/취득 절차|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하려고 했는데, 1종 면허 시험과 2종 면허 시험의 등록비(보험료 등)가 500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자 [[운전면허/1종|1종 면허 시험]]에 응시하기로 했다. 감독관의 지도를 받아 [[현대 포터|차량]]에 탄 다음 응시를 시작했는데, 경사로에서 삽질한 것을 빼면 쉽게 통과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비싼 응시료 때문에 등록을 포기했다. 이후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구암동(대구)|구암동]]에 있는 [[http://naver.me/FHYAK4C9|실내 연습장]]에서 시험을 보기로 했는데, 사설 학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저렴한 응시료에 만족했다. === 327회 === * 제이슨: 본명은 제이슨 크레스웰. 캐나다 출신. --[[제이쓴|이 사람]]과 관련 없다.-- [[온타리오주]] [[배리#s-4|서드버리]]에서 태어난 그는 [[1998년]]에 [[보험]] 회사에 들어갔으나 6개월만에 그만 두고 [[1999년|이듬해]]에 한국으로 건너와 [[대구광역시]]에서 영어 강사로 생활했다. 이후 원어민 소개 사업과 [[호프#s-2.2|호프집]]도 운영하다 6년만에 그만뒀다. [[한양대학교병원|어느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던 내국인 여성과 사귀다 [[2014년]]에 혼인했고, [[유기견]]을 [[애완견|반려견]]으로 키우기 시작했다(이 부분은 후술한다.)[* 여담으로 [[태종 이방원(드라마)/말 학대 및 죽음 사고 논란|드라마 태종 이방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 때문인지 부부의 유기견이 스튜디오에 출연했을 때 [[동물 복지]] 가이드라인을 지켰다는 고지가 나왔다.]. 출연 당시 경기도 [[광주시]] [[오포1동|문형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곤지암읍]] 열미리에서 [[http://naver.me/xSctbz0y|베일리펫케어]]를 운영하고 있었다. 사례자 부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서울)|금호동]]에 위치한 [[이마트24]] [[http://naver.me/FNuDV26t|매장]]에 가서 일을 했는데, 알고 보니 배우자의 부모가 매장을 운영하고 있어서 일을 도와준 것이었다. 오전 5시 45분이 되자 사례자가 일어나서 배우자를 깨운 다음 전화로 영어 수업을 진행했다. 그는 호프집을 운영하다 [[레드 오션]]을 직면하고 영어 교육에 주력하게 되었다고 한다. 배우자가 [[현대 투싼#s-2.3|차]][* 놀랍게도 [[블루링크|순정 내비게이션]]이 달려 있지 않은 모델이다.]를 타고 [[이천시]] [[증포동|송정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 앞으로 가서 고객의 반려견을 넘겨받은 다음 [[증포동|갈산동]] 소재 한 아파트 앞으로 가서 또 다른 고객의 반려견까지 넘겨받아 곤지암에 위치한 사업장으로 갔다. [[http://naver.me/GB0gCFjV|석회골삼거리]]를 지나는 도중 유기견 한 마리가 지나가는 것을 보고 가슴이 아프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유기견을 입양한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영어 수업을 마친 사례자가 [[현대 아반떼|차]]를 타고 사업장으로 가서 배우자가 넘겨받은 반려견들을 원내로 옮겼다. 배우자는 자신이 15살때 까지 [[외동딸]]로 자라서 강아지와 함께 사는 게 좋았다며 2021년에 병원일을 그만두고 반려견 유치원을 창업했다고 밝혔다. 부부가 유기견을 키우게 된 이유도 배우자가 [[2006년]]부터 간호조무사로 일하다 [[공황장애]]와 분리불안장애에 시달렸으며, 사례자도 사업에 실패해서 [[트라우마]]에 시달려왔기 때문이었다. 베일리는 부부에게 심리불안을 해소해준 존재였다[* 원래 케이시를 키웠는데, 동물병원에서 [[녹내장]]과 [[쿠싱 증후군]]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하다 폐사했다.]. 사례자가 [[똥|분변]]을 치운 다음 방역 활동을 했으며, 반려견들의 몸을 닦은 다음 직원들이 반려견들의 상태를 보고했다. 자택에 여성 두 명이 찾아오자 사례자가 이들에게 영어 교육을 지도했으며, 자신의 사업장에 반려견 소유자들이 찾아오자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부부가 [[시흥시]] 소재 한 농장을 방문해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삼겹살]]로 식사를 했으며, 집으로 돌아온 뒤에 사례자가 반려견에게 인사를 나누자 부부가 [[네네치킨|치킨]]으로 식사를 했다. 이 때 부부가 [[딩크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배우자는 30대 중반이 지나면서 [[갱년기]]가 도래하기 전에 자녀를 낳아보자는 생각을 했음에도 부담감 때문에 출연 당시까지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 사례자가 반려견과 함께 [[http://naver.me/x6Z6FfqY|곤지암천변]]으로 산책을 다녀왔는데, 다음 장면에서 그는 배우자가 [[기형아]] 혹은 [[장애인]]을 낳을지로 모를 것이라는 우려와 육아에 집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부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동]]에 위치한 [[국립항공박물관]]을 찾아 [[T-50 골든이글]]과 [[https://blog.naver.com/aviationmuseum/222660106925|윌로스 데일리 저널에 실린 기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https://blog.naver.com/aviationmuseum/222417727106|한인비행학교]], [[안창남]]의 생애 등을 봤다. 관내에 자녀들을 데리고 온 부모들이 보였지만, 사례자 부부에게는 그저 남의 이야기일 뿐이었다. 둘이 사업장에서 일을 한 다음 육아 계획을 하겠다는 생각이 있는지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328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1년 상반기, 앵커=마이클 근황)]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1년 하반기, 앵커=로야 근황)] === 329회 === * 이스마일: [[이란]] 출신[* 공교롭게도 방송된 지 이틀이 지난 뒤에 [[벤투호/2022년#s-4.2|한국 선수단과 이란 선수단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최종예선/A조#s-5.3.3|카타르 월드컵 예선 경기]]가 개최되었다. --그렇다면 일가족은 어느 팀을 응원했을까?--]. [[1990년대]] 초반에 무역 사업을 하러 한국에 온 그는 거주지에서 만난 한 내국인 여성을 좋아하게 되었고, 혼인 이후 25년간 자국으로 돌아가서 살다[* 이 때 15년간 아동복을 팔았다고 한다.] 2019년에 한국으로 다시 건너왔다. 출연 당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장안동(서울)|장안동]]에 위치한 [[http://naver.me/FFngQiH3|카페 살롱 드 베리]]를 운영하고 있었다[* 자국에서 [[바리스타]]를 배울 수 없었기 때문에 한국으로 건너와서 [[https://www.hrd.go.kr/hrdp/gi/pgibo/PGIBO0100T.do|국민내일배움카드]]로 과정을 이수받은 다음 카페를 창업했다고 한다.]. [[설날]]을 맞아 [[떡국]]과 생선전을 만들어서 식사를 한 다음 두 딸의 세배를 받았다. 평일이 되자 차를 타고 사업장으로 간 다음 손님에게 커피를 팔았으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인해 [[현실은 시궁창|매출 부진에 시달려왔다.]] 그럼에도 단골 손님들의 방문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어서 다행이라고. [[튀르크 커피|튀르키예식 커피]]와 페르시안 마준을 팔고 있었는데, 손님들이 PD를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했다. 저녁이 되자 자국의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이란은 [[이슬람력|이슬람력(헤지라 태양력)]]에 따라 3월에 새해를 맞이한다. 문서 참조.] 커틀릿과 타딕을 만들어 식사를 한 다음 자국에 있는 가족들과 영상통화를 했는데, 시어머니가 밀저 거서미를 만들었다고 자랑했다. 사업장에서 쿠키를 만든 다음 두 딸이 찾아와서 [[티라미수]]를 전달했는데, 이 때 한 남성이 뒷문으로 들어오자 그에게 티라미수를 제공했다. 손님은 물론 사례자까지 만족감을 표시했으며, 두 딸이 귀가하자 글루체를 만들어서 손님에게 제공했다. 손님은 20년만에 먹었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몇 일이 지난 뒤에 두 딸과 함께 케밥 샌드위치를 만들어서 손님들에게 제공했는데, 얼마 전에 둘째의 남자친구에게 먼저 제공했더니 [[고수(채소)|고수]]를 싫어하는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해달라는 둘째의 주장에 사례자가 자국의 전통을 거스르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물론 김치를 넣어도 제맛이 안 난다나. 그래서 고수를 넣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손님들에게 고수가 들어간 케밥과 그렇지 않은 케밥을 따로 준 다음 반응을 살펴보기로 했다. 손님들은 고수를 싫어했음에도 향이 심하지 않아 오히려 양고기 냄새를 잡아준다며 호평했다. 결국, 손님들의 투표에 따라 고수를 넣는 것으로 결정했다. 새벽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명동(속초)|동명동]]에 위치한 [[http://naver.me/FWJPmYs0|영금정]]으로 가서 해가 뜨는 걸 보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엘러헤: 본명은 엘러헤 사제디. 이란 출신. 태어났을 때부터 줄곧 자국에서 살다 대학에 다니기 위해 2016년에 한국으로 건너왔다. 이유는 한국의 [[떡]] 문화를 좋아하는데다 어머니의 조국이라는 점 때문에 꼭 찾아가고 싶었다는 것. 출연 당시 [[보디빌더|아마추어 피트니스 모델]]로 활동해왔으며, 방송에서 소개되지 않았지만 [[티캐스트]] [[E채널]]의 [[탑골 랩소디]]에 [[https://www.youtube.com/watch?v=Nr2ZyuMY0sk|출연한 적도 있었다.]] 설날을 맞아 식사를 한 다음 부모 앞에서 노래를 불렀다. [[회기동]]에 위치한 [[본죽|죽]] [[http://naver.me/xYUZkdYX|전문점]]으로 가서 일을 한 다음 [[피트니스 센터]]에서 신체를 단련했는데, [[이란 혁명]] 이후 이슬람 율법 때문에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없다 보니[* 남자들만 들어갈 수 있었던 [[아자디 스타디움]]에 여자들도 들어갈 수 있게 허용한 게 [[2019년]]의 일이었다. 문서 참조.][* 그럼에도 체육 시설에서 [[히잡]]을 안 쓰고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다행이다.] 한국에서 산다는 것은 그녀에게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이라는 것. 대회 개막을 앞두고 있어서 지속적으로 신체를 단련해야 했는데, 트레이너는 그녀가 유전적 특성과 지속적인 노력으로 프로 선수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그럼에도 취업에 시도하려다 동생처럼 거절당한 적이 있었는데, 그녀는 이미 2020년에 귀화를 결심하고 시험에 합격해서 한국 국적 취득을 앞두고 있었다. 어머니가 한국으로 돌아와서 병원일을 다시 시작했음에도 자신이 취업에 실패한 것이 누가 되었다는 듯. * 니유셔: 본명은 사제디 카나피 니유셔. 이란 출신. 태어났을 때부터 줄곧 자국에서 살다 대학에 다니기 위해 2018년에 한국으로 건너왔다. 이유는 자국에서 한글 학교를 다닌 적이 있다 보니 어머니의 조국에서 살고 싶었다는 것. 재외동포들과 함께 종로구 [[부암동(종로구)|부암동]]에 있는 한 공방으로 가서 [[젓가락]]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한국계 일본인]] 혹은 [[한국계 중국인]]이거나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이라 나라마다 젓가락 문화가 다른 점을 알고 있었다. 한편, 둘째는 자신이 한이 혼혈이라는 점 때문에 두 나라에서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며 선생님에게 '자신은 어느 나라 국적을 가지고 있어야 하냐'며 묻자 선생님이 '너는 100% 한국인이자 이란인'이라는 답변을 했다. 그럼에도 한국으로 건너와서 취업을 하려다 고용주의 거절을 당하기도 했는데, 그녀는 이미 2020년에 귀화를 결심하고 시험에 합격해서 한국 국적 취득을 앞두고 있었다. 어머니가 한국으로 돌아와서 병원일을 다시 시작했음에도 자신이 취업에 실패한 것이 누가 되었다는 듯. [[객실 승무원|항공기 승무원]]이 되고 싶어서 서대문구 [[대현동(서울)|대현동]]에 위치한 [[http://naver.me/GI6bz9LG|한 학원]]을 찾아 직원에게 교육 과정 등을 물어보았다. === 330회 === * 크리스티나: '''[[우크라이나]] 출신.''' [[공포증#s-5.7|물을 무서워해서]] 7살 때부터 [[수영]]을 배우게 된 그녀는 한 때 [[아티스틱 스위밍]][* 2017년에 국제수영연맹이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을 아티스틱스위밍으로 개칭했음에도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0년 상반기#s-2.6|제작진이 개정전 명칭을 사용하는 실수]]를 [[경로의존성|반복했다.]]]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다 [[2018년]]에 한국으로 건너왔다. 이후 [[전라남도]] 여수시 소재 수족관에서 연기 활동을 하다[* 후술할 내용을 본다면 [[아쿠아플라넷 여수]]에서 근무했을 가능성이 높다.] 공연을 기획한 내국인 남성과 사귀고 2020년에 혼인했다. 출연 당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아쿠아플라넷 63]]에서 공연 활동을 하고 있었다. 공연을 앞두고 분장을 한 다음 수조로 들어가서 공연 활동을 한 사례자가 저녁에 집으로 돌아와서 반려견의 생일을 축하한 다음 --[[#s-2.10|???]]: 우리가 귀하의 반려견을 책임져드릴까요?-- 배우자가 만든 볶음밥으로 식사를 했다. 사례자가 [[삼평동]]에 위치한 [[http://naver.me/xyUjCGtY|한 이비인후과]]를 찾아 귀 상태를 확인한 결과 [[직업병|청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배우자의 어머니와 함께 [[판교동]]에 위치한 [[http://naver.me/xsUOiBtF|한 공방]]으로 가서 [[양초#향초|향초]]를 만든 다음 [[백현동]]에 위치한 배우자 부모의 자택으로 가서 [[폭립|등갈비]][[갈비찜|찜]]과 솥밥을 만들어 일가족이 함께 식사를 했다. 밤 9시가 되자 사례자가 자국에 있는 일가족과 영상통화를 했는데, 사례자의 어머니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쟁 이전/2022년#s-3.23|러시아가 자국 영토로 침공하려는 정황이 들리고 있다며 자국에서 출발하는 비행기 운항이 중지될 것]]'''임을 전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결국 우려는 현실이 되었고]]''' [[미콜라이우주]]에서 살던 어머니와 여동생은 해외로, 아버지와 조부모는 자국내에 있는 지하 [[대피소#s-2.1]]로 피난갔다. 다행히 연락이 끊기지 않았다고. 사례자가 아침 7시에 일어난 다음 [[http://naver.me/x5WywLiT|정류소]]로 가서 [[용인 버스 7007-1|광역버스]][* [[2010년]] 초에 [[서울 버스 9409(폐선)|구 9409번 노선]]의 종점이 [[여의도]]에서 [[한남동]]으로 바뀜에 따라 분당에서 여의도로 가려면 7007-1번 노선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신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이용한다 해도 [[강남역|강남]] ~ [[신사역|신사]] 구간이 개통될 때까지 [[교대역(서울)|교대역]]을 거쳐서 가야 했을 정도로 [[환승저항]]이 클 수밖에 없었기 때문. 이 문제는 그해 [[5월 28일]]에 해소되었다.]를 타고 직장으로 향했으며, 공연 활동이 끝난 뒤에 한국어를 독학했다. 저녁에 강남구 [[역삼동(강남구)|역삼동]] 소재 [[http://naver.me/xdVguf3D|한 카페]]를 방문해 자국 출신 여성의 지도를 받아 한국어를 배웠는데, 뎀젠코 올하는 한국어를 배우려면 '우리에 익숙해야 한다', '조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사실을 전했다. 배우자가 반려견이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길래 사례자가 반려견을 데리고 백현동에 위치한 [[http://naver.me/GGh8fror|한 동물병원]]을 찾았다. 접수 도중 원서의 내용에 어려움을 느끼자 번역기로 내용을 알아낸 다음 원서를 제출했다. 의사가 '토한 적이 없냐?', '[[설사]]한 적이 없냐?' '체온을 재겠다.'는 말을 하자[* '''외국인과 그 반려견을 상대했으므로 의사가 'Vomit', 'Diarrhea', 'Temperature' 라고 말했으면 사례자가 쉽게 알아들었을 것이다.'''] 사례자가 난감했지만 간신히 검진을 마칠 수 있었다고. 사례자 부부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동]]에 위치한 [[http://naver.me/GQyrsudv|한 화장품 매장]]으로 가서 화장품들을 살펴봤는데, 알고 보니 이들이 2022년 들어 화장품 수출 사업에도 진출했다는 것. 자국에 있는 사례자의 친구에게 사업 얘기를 해보니 자국에서 화장품을 팔면 좋을 것이라 했다나. [[3월 1일]]이 되자[* 자막은 [[주말]]로 나왔지만, 후술할 내용을 살펴보면 [[3·1절|삼일절]]([[화요일]])이 맞다.] 부부가 자국 국기를 들고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s-2.1]]에 있는 [[http://naver.me/Gd6vfULo|정동제일교회]] 앞으로 가서 [[https://blog.naver.com/kimjiho9023/222660415769|우크라이나 전쟁 반대 및 평화를 위한 집회]]에 참여한 다음[*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0년 상반기#s-2.7|2년 전에 출연한 적이 있는 레오]]도 이 집회에 참여했다.] 거리 행진을 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여담으로, 본 회차는 [[#s-2.9|4주 전의 과오로 인한 시청자들의 비판]]을 만회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방송을 하루 앞두고 [[KBS 우크라이나 의용군 참전 한국인 위치 노출 사건|보도국 소속 기자가 우크라이나 의용군에 동참한 한국인의 위치를 공개한 사건]]이 일어나면서 희석된 점이 있었다. === 331회 === * 게렛: 미국 출신. [[알래스카|알래스카주]] 출신인 그는 대학에서 [[농업]]을 전공하다 한국으로 건너와 3년 동안 [[유치원]]에서 [[원어민 강사#영어|원어민 교사]]로 재직하고[* 이 때 [[라면]] 선생님(...)이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자국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한국에서 사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으로 [[2021년]]에 다시 건너와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웠다. 출연 당시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서울대학교/대학원|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배우고 있었다. 사례자가 [[보문역]]에서 가방을 들고 힘겹게 계단을 내려간 다음 --[[엘리베이터]]가 있잖아.-- [[고려대역]]까지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열차]]를 타고 갔는데, 알고 보니 그가 [[고려대학교]] 근처에 거처를 마련해 주소를 옮겼다는 것. --만일 사례자가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가좌동(인천광역시 서구)|가좌동]]이나 [[석남동(인천 서구)|석남동]]으로 주소를 옮겼으면 [[인천가좌역]], [[서부여성회관역]], [[석남역]] 가운데 한 곳에서 엄청 긴 계단을 경험했겠지.--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만덕동(부산)|만덕동]]에 [[만덕역|끝판왕이 있다.]]-- 자신이 마련한 옥탑방을 살펴보다 욕실문이 부서져 있는 걸 발견했는데, 이전 세입자가 몸으로 문을 치가 부서져서 장식으로 가렸으리라 추측했다. 매트는 누가 길에 버리고 간 걸 주워서 쓰고 있으며, 침구는 7살 때부터 쓰고 있음을 밝혔다. 누군가가 [[당근(플랫폼)|당근]]에 김치를 증정한다는 내용을 올린 걸 보고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http://naver.me/GfoLGGxX|한 공원]]을 찾아 한 여성을 만났는데, 그녀가 데리고 온 반려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물론 거처를 옮겨야 한다는 사실까지 듣게 되어 [[http://naver.me/FOmTz78A|한 주택]] 앞에 있는 물건들을 [[http://naver.me/GuGP1JRX|유치원]]으로 옮겨주었다. 아침을 맞아 머리를 감은 다음 옷을 입었는데, PD의 양말에 구멍이 난 걸 발견하고 [[유튜브|인터넷]]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P5EmBa3eoG8|찾은 내용]]을 보고 양말을 꿰메주었다. 라면에 [[파송송 계란탁|파와 계란]], 상추, 치즈를 넣은 다음 베란다로 나가서 식사를 했다. --[[강호동]]의 [[https://www.youtube.com/watch?v=Mb0XgbRLpLI|포포몬쓰]]를 알고 있었군.-- 방배동에서 김치를 증정받은 것으로 인연이 닿게 되어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웅진리에 위치한 [[http://naver.me/xQoLGTwH|선착장]]에서 한 여성을 만난 다음 그녀가 가지고 온 [[카누]]를 타고 [[소양강]]을 가로질러[* 중간에 [[삼팔선]]을 지났는데, 홍석천이 이를 보고 [[월북]]하냐는 [[코렁탕|드립]]을 쳤다. 하지만, [[군사분계선]]까지 직선거리로 30여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데다 [[인제군]] [[인제읍]] 유역에서 인북천 상류 방향으로 가지 않는 이상 최소 [[민간인 출입통제선]]을 넘어가지 않으니 안심해도 된다.] [[국토정중앙면]] 명곶리에 위치한 [[부시크래프트]] [[https://blog.naver.com/doosoo201|캠핑장]][* 위치는 [[http://naver.me/xUEU9sKi|이쯤]]으로 추정된다.]으로 갔다. 사례자가 나뭇가지를 깎은 다음 [[소시지]]를 끼워서 구웠으며, 여성이 [[닭갈비]]를 만들어서 함께 식사를 했다. 이후 사례자가 악기 연주에 맞춰서 [[아리랑|노래]]를 불렀다. 종로구 [[숭인동(종로구)|숭인동]] [[http://naver.me/GFn3vkb1|동묘 벼룩시장]]에서 자국 출신 남성을 만나 모자, 장갑, 접시 등을 샀다. --[[스팸]]은 덤.-- [[아시아]] 출신 친구들이 자신의 집으로 찾아오자 가방 위에 신문지를 펼쳐놓더니 함께 과자를 먹었는데, 갑자기 사례자가 김치볶음밥을 만들겠다며 전에 한 여성이 준 김치를 가지고 식사를 만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친구들이 [[내가 해도 이것보단 잘하겠다|이를 못마땅하게 여겼는지 직접 나서서 완성했다.]] 식사를 마친 다음 설거지를 했는데, 식기 건조대를 마련하지 않아 수건을 깔아놓고 그 위에 그릇을 놓았다. 친구들과 [[공기놀이|민속놀이]]를 즐긴 사례자가 [[노원구]] [[상계동#s-3.3|상계3·4동]] [[http://naver.me/GyL0dUqj|공공복합청사]] 앞을 찾아 [[http://www.babsang.or.kr|한 봉사 단체]] 회원들과 함께 1350 ~ 60번지대 주거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연탄을 기증한 다음 한 집 앞에서 활동을 마치는 것으로 이야기를 마무리지었다. === 332회 === * 세르게이: 러시아 출신. 대학에서 해양 운항을 전공한 그는 졸업 이후 2년 동안 [[항해사]]로 근무하다 [[시베리아 횡단열차|열차]]를 타고 여행을 가던 도중 만난 한 한국 여성과 사귀고 [[2018년]]에 한국으로 건너왔으며, [[2019년|이듬해]]에 혼인했다. 출연 당시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양주시]] [[만송동]]에 위치한 [[http://naver.me/xueSdkpW|카페 밀라야]]를 운영하고 있었다. 부부가 [[기아 모닝|차]]를 타고 사업장으로 가서 일을 했는데, 원래 배우자가 종업원으로 근무하던 곳을 직접 매입해서 운영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사례자가 [[2020년대]] 들어 [[보조출연자|엑스트라]]와 설비 공사 등을 하면서 살다 배우자의 도움으로 카페 종업원이 될 수 있었던 것. 배우자가 택배사를 방문하러 가자 사례자가 사업장에 찾아온 손님들의 주문을 받아 초코 라떼와 [[민트 초코]]를 만들었다. 하지만, 민트 초코를 만드는 방법을 알 수 없어 배우자에게 전화로 물어보고 나서야 만들 수 있었다. [[파스타]]와 [[스튜]]까지 만들어서 팔고 9시에 영업을 마쳤으며, 이날 매출은 37만 5300원을 기록했다[* 월세가 450만 원에 이르기 때문에 하루에 100만 원 이상을 팔아야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다고 한다.]. 사례자가 [[삼숭동]]에 위치한 [[http://naver.me/xJN7W0rQ|한 미용실]]을 방문해서 머리카락을 잘랐는데, 이유는 자신의 어머니가 미용사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배우자는 그의 모습을 못마땅하게 보는 듯하다. 부부가 [[백석읍]] 기산리에 위치한 [[http://naver.me/GQyTv1rU|한 인테리어 소품점]]을 찾아 찻잔을 살펴봤는데, 사례자가 갑자가 [[아코디언]]과 망원경까지 살펴보았다. 휴일을 맞아 배우자의 어머니와 함께 [[전복|전복회]], 버터 구이, [[삼계탕]], [[잡채]]로 식사를 했다. 일을 마친 뒤에 자국에 있는 부모와 영상통화를 했는데, 사례자가 블리니와 샤우르마를 팔겠다는 의향을 보이자 어머니가 긍정적으로 대답을 했다. 다음날에 블리니, 샤우르마, 샤슬릭을 만들었는데,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돌아가라는 고기는 안 돌아가고]] 연기만 내뿜자 당황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손님들과 사례자의 어머니가 사업장으로 찾아오자 사례자가 이들에게 샤우르마를 제공했으나 한 번에 자르지 못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 가지 요리를 겨우 제공한 다음 먹는 방법까지 설명했으며, 이를 먹은 사례자의 어머니와 여러 손님이 호평을 했다. 밤이 되자 백석천변을 찾았는데, 배우자가 다리 밑에 보이는 글씨를 보더니 갑자기 슬퍼했다. 부부가 상호를 올드릿지에서 밀라야로 바꾸게 되었는데, 의미 있는 사업을 하기 위해 영국식 이름을 자국식 이름으로 바꿨다고 한다. 다만, 간판까지 큰 것으로 바꾸려다 비용 문제로 인해 동일 규격으로 바꾸는 선에서 그쳤다고 한다. 그리고 사례자가 샤우르마와 블리니를 만들기 위해 휴대용 가스레인지까지 구비할 정도로 철저한 준비를 했다. [[의도는 좋았다|여기까지만 보면]] [[그러나 이 사진이 표지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장밋빛 내일이 기대되는 줄 알았지만]] 1주일 뒤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일부 손님들의 [[반러|반러 감정]]을 자극하는 일이 일어나가 사례자가 입장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
일상이 끝았다. 어느 날 갑자기 {{{+1 학교 생활}}} PD들이 고려대학교를 찾았을 때 광장에서 재학생들이 우크라이나 출신 학생들을 돕는 서명 운동을 진행하고 있었다. 2022학년도 현재 이 학교에 우크라이나 출신 학생 11명이 다니고 있었는데, 리자도 그 중 하나였다. [[헤르손]]에서 태어난 그녀는 고려인 출신 부모의 본업이었던 [[수박]] 농사를 포기하고 더 넓은 세상으로 나가고 싶어 대학에 다니기로 결심했는데, 학비를 마련하지 못 하고 거주지의 교육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자 인터넷으로 각종 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16살 때부터 [[유럽]] 12개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무상 교육을 받다 고등학생 때 장학금을 받고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것을 계기로 2021년에 한국으로 건너와 고려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고 교환 학생으로 입학하게 되었다. {{{+1 가족 이야기}}} 어느덧 교정에 봄이 찾아왔으나 리자에게 이 봄은 반가워할 수 없는 계절이다. 고향에 전운이 감돌면서 리자의 일상도 멈췄기 때문이다. > 전쟁이 시작되기 전 지나 2주간 정말 불안했습니다. 러시아가 무언가를 파괴한다면 그들은 [[헤르손|내가 살던 지역]]으로 갈 것이 분명했습니다. 왜냐면 그 지역은 북크림운하 바로 옆에 위치해 있거든요. 러시아 바로 옆에 있는 [[크림반도]]는 [[2014년]] [[3월]]에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러시아군이 무력으로 침공해 자국 영토로 편입시켜]] 8년간 긴장이 고조되었다. 리자의 고향은 크림반도 위에 접한 헤르손이다. 만일, 이곳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크림반도에 주둔 중인 러시아군이 곧바로 진격할 수 있다. >저는 너무 무서워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고 어떤 것에도 집중할 수 없었어요. 특히 지난 4개월 동안 많은 러시아 군대가 국경에 왔기 때문에 '''더 큰 일'''이 일어날 거라고 예상했어요.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불안은 현실이 되었다.]] 우크라이나의 3면에 걸친 대규모 공세가 이어졌다. 러시아군은 빠른 속도로 헤르손으로 진격했다. > * 목격자(주민): 우리집 바로 앞까지 왔어. 군용 차량이 적어도 10대는 되는 것 같아. 탈출하지 않으면 내일이 없을 수도 있다. 살아남기 위해 가족들은 고향을 떠나야만 했다. >부모님과 동생들은 트루스카베츠로 떠나기로 결정했어요. 그곳에 잠시 머무르려고 했지만…… 전쟁이 시작된 지 일주일만에 100만여 명이 자국을 떠나 기차와 버스 등을 타고 [[폴란드]]와 경계를 접한 지역으로 갔다. 하지만, 살 곳을 찾아 다시 떠나야만 한다. >부모님은 트루스카페츠에 한 달간 계셨지만, 곧 돈이 떨어지셨어요. 숙박료와 식비를 더 감당할 수 없었죠. 가족은 결단을 내려야 했다. 아버지가 징집 대상에 편입되어 참전해야 했기에 어머니와 두 동생만 피란길에 올랐다. >우리는 스페인행 버스를 찾았어. >몇 시간 뒤에 아이들과 버스를 탈 예정이다. > - 어머니에게 온 문자 메시지 어린 동생들이 느꼈을 불안과 공포. 마음이 복잡해진다. >동생들이 어릴 때 제가 많이 돌봐줬어요. 동생들이 정말 보고 싶어요. 만나서 안아주고 장난감도 선물로 주고 싶어요. 동생들과 같이 놀면서 애들이 전쟁 전 그냥 어린이일 때처럼 느끼게 해주고 싶어요. 한국에서 걱정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리자는 가족을 만날 방법을 찾기로 했다. >스페인에 갈 수 있도록 장학재단의 허락을 받아야 해요. 장학금을 받기 때문에 해외로 나가려면 허락을 받아야 해요. 하지만, 장학금 관련 규정에 따라 학기중에 해외로 나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제작진은 리자와 함께 학교의 허락을 기다렸다. 집에서 리자가 사진을 살펴보았는데, 자신의 어머니가 스페인으로 가는 [[만 라이온스 코치|버스]]의 내부를 찍어서 보낸 것이었다. 이 차에는 여성과 어린이 40여 명이 타고 있었다. > * 아우렐리아 김: 정말 작다. > * 올가 김: [[미키 마우스]]야. > * 아우렐리아 김: 나도 예전에 이런 작은 인형을 좋아했었는데. 그 건 인어였어, 아주 작은 인어 인형. 이들은 스페인까지 54시간 동안 가야 했는데, 가던 도중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모처에서 자국 출신 교민들의 도움으로 식사를 했다. 하지만, 이들에게 닥친 일이 무엇인지 여동생은 아직 모른다. 미하일로는 차마 웃을 수 없었다. >남동생은 굉장히 똑똑해요. 자기만의 세계가 있는 친구에요. 그 나이에 모든 것을 두고 도망을 다니고 고향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게 정말 힘들 거라고 생각해요. 이틀 동안 두 번이나 밤을 지새며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엄마는 어린 막내를 품에 안고 긴 밤을 버텨냈다. 국경을 넘을 때마다 창 밖 풍경이 변해갔다. > * 아우렐리아 김: 빨리, 버스야 빨리 가자. 아이들에게는 지루했을 시간. 미하일로가 갑자기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국가]] 제창을 제안했다. > * 미하일로 김: 다시 말할게, 우리 국가 2절 가사를 찾아야 해. 이렇게 하자. 한 명은 여기 앉고 다들 이제……. 자 이제 연습하자. 하나 둘 셋.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무너지지 않으리라]] 어른들도 아이들의 소리에 힘을 보탠다.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우리의 자유를 위해 몸과 영혼을 희생하자]] 폴란드에서 시작해 [[독일]]과 프랑스를 거쳐 유럽의 끝으로 가는 긴 여정. 그러나 이 길의 끝에도 내일이 있을 것이다. {{{+1 가족을 만나다}}} 몇 일이 더 지난 뒤에 리자가 학교 근처에 있는 인형 가게를 찾았다. 이곳에 무슨 이유로 찾아온 것일까? >귀엽다. 예쁘다. 알고 보니 리자가 이날 학교의 허가를 받아 스페인에 다녀올 수 있게 되었다. > * PD: 학교의 출국 허가를 받고 어떤 기분이 들었어요? > * 리자: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허가를 받고 나서도 믿을 수가 없었어요.]] 절대 갈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정말 기쁘고 실감이 나지 않았어요. 지금도 가족을 만나러 간다는 게 믿기지 않아요. 피란 생활에 지쳐 있을 동생을 웃게 해주고 싶어 인형을 사기로 한 것이다. >동생들에게 똑같은 장난감을 사줄까 해요. 각자 다른 걸 사주면 [[나 먼저 원리|서로의 장난감이 더 크다며]] 싸울 거에요. >조금만 기다려. '''곧 만나러 갈게.''' 리자는 지금 행복한 고민에 빠져 있다. 꿈에 그리던 그 날이 다가왔다. 이제 26시간이 지나면 가족을 만날 수 있다. >본 지 '''2년'''이 지나서 많이 자랐을 거에요. '''안아주고 싶네요.''' 그녀의 목적지는 [[스페인]]의 북서단에 위치한 도시 라 코루냐[* [[갈리시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과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을 거쳐 라 코루냐까지 26시간 동안 가야 했으나, 리자에게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만여 킬로미터를 가야 하는 기나긴 여행길. 목적지는 유럽의 끝이다. >가족을 보러 가는 게 믿기지 않아서 기분이 이상해요. 그래서 잠을 잘 수 없어서 졸려요.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영공을 거칠 수 없어서 더 멀리 돌아가야 했으나, 단잠을 자고 나면 가족에게 성큼 다가가 있을 것이다. 리자가 아침부터 휴대전화를 확인했다. > * 리자: 마지막 뉴스를 보면 어제 2080명이 피신했대요. > * PD: 어느 지역에서요? > * 리자: [[도네츠크]]과 [[루간스크|루한스크]]요. 비행 중에도 리자는 뉴스에서 시선을 떼지 못 했다. > 생각이 많아요. 전쟁 중이니 행복할 수만은 없죠. 어떻게 떠올리지 않을 수 없을까? 이 여행길에 오른 이유를. 가족에게 가는 길은 걸음마다 고향을 떠오르게 한다. >초원에는 붉은 칼리나가 낮게 굽어 있는데 >어찌하여 우리 영광스러운 우크라이나는 슬픔에 잠겨있나 >우리는 붉은 칼리나를 들어 올릴 것이고 >우리의 영광스러운 우크라이나를 응원할 것이다 >---- >[[핑크 플로이드]]의 '체르보나 칼리나[* 우크라이나의 [[민중가요]]. 칼리나 나무는 우크라이나를 상징한다.]' 중에서 26시간이 지난 끝에 드디어 라 코루냐에 도착했다. 유럽의 끝자락에 있는 라 코루냐. 푸른 하늘이 먼저 리자를 반겨준다. >예뻐요. 진짜 예뻐요. 제가 지난번에 크림반도 캠프에 갔을 때와 비슷해요. 고향의 정취를 떠오르게 하는 항구도시 라코루냐. 고대 로마인들이 세상의 끝이라 믿었던 곳이기도 하다. 이 도시가 리자의 가족을 품어줬다. 골목을 지나면 가족이 살고 있는 집이 나온다. >엄마를 안아드리면서 보고 싶었다고 말하고 싶어요. 바로 여기다. 그토록 기다려온 순간. 어머니와 자녀들이 문을 열고 나오자 리자가 가방을 놓고 극적인 상봉을 했다. 2년만에 보는 얼굴들. 이렇게 만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 * 리자: 어머, 키가 아주 크네요. > * 미하일로: 아이고, 고맙습니다. > * 아우렐리아: 나도. > * 아우렐리아: 내가 들어볼래. 서봐. > * 리자: 미샤도 들어올려봐. 가족이 함께한다는 것만으로도 엄마는 감사했다. 오래도록 이어진 인사. 잊을 수 없는 이 봄. 우리는 세상 끝에서 '''다시 만났다.''' 일가족은 스페인의 한 가정집에서 지내고 있었다. > * 리자: 언니에게 방 보여줘. > * 아우렐리아: 이거 봐, 내가 집에서 가져온 토끼 인형이야. > * 리자: 어디서 났는데? > * 아우렐리아: 집에서 가져왔어. > * 리자: 예쁘네. 이름이 뭐야? > * 아우렐리아: 반반. 언니에게 보여주고 싶은 게 많은 막내. 아기 같던 아이가 참 많이 컸다. > * 리자: 언니 보고 싶었어? > * 아우렐리아: 응. > * 리자: 포옹으로 보여줘. 미하일로도 여동생만큼 자랑할 게 산더미다. > * 미하일로: 헤르손에서 전체 1등했어. > * 리자: 네가 헤르손에서 1등을 했어? > * 미하일로: 아니, [[개인전|내가 아니라]] [[팀플레이|팀이.]] > * 리자: 춤추는 거 좋아해? 못 본 새 한 뼘씩 성장한 동생들이다. 2년 만에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 누가 시키지 않아도 동생들은 일손을 거둔다. 리자가 온다는 소식에 엄마는 고향 음식 [[보르시]]를 준비했다. 한국에서 지내며 늘 그리웠던 집밥. 한 입 먹자마자 절로 미소가 지어진다. > * 올가: 집을 떠난 이후로 두 달만에 먹는 보르시야. 미샤는 심지어 [[오레오 오즈#s-4|보르시 끓이는 걸 보고 울었다니까. ]] 무뚝뚝한 미하일로를 울린 고향의 음식. > * 올가: 2년 동안 한국에서 어떻게 지냈어? 대학 생활은 힘들어? > * 리자: 아니, 괜찮았어. [[온라인 개학|비대면 수업]]을 해서 어렵지 않았어. > * 올가: 다 이해할 수 있어? > * 리자: 응. > * 올가: 수업은 한국어로 해? 아니면 영어로 해? > * 리자: 한국어도 있고 영어도 있어. 하지만 대부분은 영어로 수업해. > * 올가: 한국말은 다 알아듣고? > * 리자: 응, 알아들어. > * 올가: 멋지네. 리자가 한국에서 고심해서 골랐던 선물을 줄 시간이다. 여전히 인형을 좋아하는 걸 보니 아직 어리다. > * 리자: 와 담요다. 미니 담요. > * 아우렐리아: 아기처럼 감싸야겠다. 아기처럼 감싸야지. 새 인형에게 마음을 뺏겨버린 아우렐리아. 언니의 마음을 감싸안아본다. > * 리자: 미샤, [[iPhone|가장 중요한 선물.]] 누님이 주는 거다. 이 큰누님이 주는 거야. 아껴둔 비상금으로 마련했다. > * 미하일로: 고마워. > * 올가: 보고 있기 힘들다. [[오레오 오즈#s-4|눈물 나려고 하네.]] > * 미하일로: 고마워. 이 순간을 리자는 영원히 기억하고 싶다. > * 올가 김: 전 사실 리자가 한국에서 학업을 마쳐야 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이렇게 빨리 만날 줄은 몰랐어요. 리자가 여기 있다는 사실이 너무 행복해서 말로 표현하기 힘들어요. 그 날 밤에 리자가 침을 챙겨 집을 나섰다. 호텔에 머물기 위해서였다. > * 아우렐리아: 언니 안 보내, 안 보낼거야. > * 리자: 언니 하룻밤 자고 다시 올 거야. > * 아우렐리아: 언제? > * 리자: 내일. > * 아우렐리아: 내일 아침 몇 시에? > * 리자: 9시에. 약속을 받고나서야 안심을 하는 여동생. 가족을 돌봐주는 집주인 가족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아서였다. 다음 날 오후에 집주인 가족과 함께 준비할 저녁 거리를 사러 집 근처에 있는 생 어거스틴 시장을 찾았다. 보기만해도 먹음직스러운 과일을 보자 생각난 사람이 있다. > * 아우렐리아: 할머니가 매일 수박을 주셨잖아. 나 수박 먹고 싶어. > * 올가: [[토르티야]] 만들어서 먹자. > * 리자: 토르티야 만들려면 뭐가 필요한데? > * 올가: [[감자]]랑 [[달걀]]이랑 [[양파]]가 필요하지. 젤렌이랑 [[사워크림]]도 사자. 올가는 오늘 [[스페인 요리]]를 해볼 참이다. > * 올가: 감자 하나……. > * 상인 1: 2킬로그램 달라는 말이죠? 아직 말이 서툴지만 감자 구매는 성공했다. 점점 용기가 붙는다. > * 올가: 안녕하세요? 달걀이요. > * 상인 2: [[대인배|오늘은 돈 안 받을게요.]] [[6.10 민주 항쟁#s-2.7|무료에요.]] > * 올가: 고맙습니다. 뜻밖의 선물을 받았다. > * 미하일로: 선물을 받았다고? > * 올가: 달걀이랑 사워크림.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이웃이라 말하던데. 말하지 않아도 마음을 아는 사람들. 살아갈 힘이 난다. 외출했던 집주인 가족이 돌아왔다. > * 리자: 안녕하세요? 우리 가족을 보살펴 주셔서 감사해요. > * 호세 마리아 로페스 파르도: 천만에요. > * 호세의 배우자: 우리는 영광이에요. > * 호세: 스페인에 오기까지 여행은 괜찮았어요? > * 리자: 22시간 걸렸어요. 그렇지만 오래 잤어요. 네 자녀를 둔 집주인 호세는 두 자녀가 독립한 뒤에 올가 가족을 받아들였다. 비어 있는 두 방에 이들의 보금자리를 마련해 준 것이다. 오늘 저녁 식사 당번은 올가와 집주인 가족의 두 딸이다. > * 올가: 이것(Patatas)은 [[스페인어]]로 감자. '요리하다'는 스페인어로 'Cocinar'. 이 단어를 알아요. 틈틈이 스페인어를 공부하는 올가. 집주인 가족은 집안 곳곳에 단어 쪽지를 붙여줬다. 선물받은 달결로 만드는 토르티야. > * 누리아 로페즈 파르도: 스페인 전통 음식이에요. 달걀과 감자가 들어가는데 양파는 기호에 맞게 넣기도 하고 안 넣기도 해요. > * 아우렐리아: 이게 뭐에요? > * 누리아: 토르티야야. > * 리자: 다 맛있어보여요. 다 괜찮을 것 같아요. > * 누리아: 더할 거 없이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돼. 그러면 끝이야. > * 리자: 가족을 위한 요리를 자주 하나요? > * 누리아: 테레사는 자주 하는데, 저는 그냥 식당에 전화해서 배달시켜요. > * 리자: 저도 그래요. 그 게 더 좋더라고요. 저는 장도 잘 안 봐요. > * 누리아: 저는 장을 보러 가면 엄마가 '[[알못|넌 장볼 줄도 모르잖아]]'라고 하세요. 고맙네요. 엄마. 이렇게 또 서로를 알아간다. 기다림 끝에 식사가 완성됐다. 토르티야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가정식으로 일종의 감자 오믈렛이다. 집주인 가족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은 리자. > * 리자: 스페인어로 '맛있게 드세요'는 어떻게 말해요? > * 호세의 배우자: Buen Provecho. > * 리자: 감사합니다. > * 테레사 로페즈 파르도: 입맛에 맞아요? > * 리자: 네. 올가 가족을 품어준 집주인 가족. 사실 이들은 정부 지원금 없이 난민을 돕고 있었다. > * 호세: 우연히 신문에서 우크라이나 난민에게 도움을 주는 재단이 갈리시아에 생긴 것을 알게 되었어요. 신기하게도 그 재단을 구성한 사람들이 제 친구였어요. 그들에게 연락해서 필요한 게 있다면 협조하겠다고 이야기했어요. > * 누리아: 우리 형제는 4명이지만 2명은 집에 같이 살지 않으니까 형제 2명을 더 갖는다고 생각했어요. 올가 가족이 낯선 곳에서 정을 붙일 수 있도록 이들은 매일 함께 식사하며 식구가 되어줬다. > * 올가: 우리를 마치 가족처럼 받아들여줬어요. 낯선 나라에 혼자 떨어져 있는 것처럼 느끼지 않도록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고 계세요. 같이 시간을 보내고 식사를 하고 서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세요. 그리고 아이들을 학교에 입학시키는 절차를 알아볼 때도 도움을 주셨어요. 물론 언어를 배우고 의사소통을 하는 것도 도와주시고요. 호스트 봉사를 하려면 최소 6개월 이상 함께 거주하며 난민이 정착할 수 있도록 생활 전반을 도와야 한다. 라 코르냐에는 250여 가구가 난민을 돕고 있고 신청자만 해도 1000여 가구에 달한다. 넉넉한 마음으로 난민을 품어준 라 코루냐의 사람들. 이들에게 난민은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다. {{{+1 스페인에 도착한 난민들}}} 리자가 혼자 소방서를 찾았다. > * 리자: 우리 가족이 스페인까지 타고 온 난민 버스가 오늘 또 오거든요. 그래서 보러 나왔어요. 폴란드 국경에서 난민들을 태운 버스가 이곳에 도착한다. 리자의 가족도 이곳에서 호스트 가족을 만났다. 난민 버스 운영부터 가족 연결까지 모든 일을 주관하는 봉사자들이다. > * 리자: 혹시 마르틴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리자에요. 우리 가족은 2주 전에 여기로 왔어요. 우리 가족을 도와주셔서 감사해요. > * 마르틴: 천만에요. 우리 일이에요. > * 리자: 난민들이 도착한 뒤에 어디로 가나요? > * 아나 프라가(AGA-우크라이나 매니저): 우크라이나에서 버스에 타기 전에 이미 같이 살 가족들을 선정했어요. 모든 난민이 이곳에 도착하면 같이 지낼 가족들이 생깁니다. 첫날부터 머물 집들이 다 준비되는 거죠. 우린 그렇게 일을 하죠. > * 마르틴: 효율적으로요. 지난 2월에 세운 이 단체는 5월 현재 200명이 넘는 자원봉사자가 활동하고 있다. 소방관들도 이 일에 참여하고 있었다. > * 리자: 안녕하세요? 난민들을 위한 건가요? > * 다비드 에르마다(소방관): 버스 타고 오는 난민들에게 줄 음식과 음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긴 여행이었기에 많이 배고플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약간의 먹을거리를 준비해서 도착한 즉시 먹으면서 편하게 지내게 해드리려 합니다. 모두가 한 마음으로 우크라이나 난민을 맞이하고 있었다. 리자도 작은 보탬이 되고 싶다. 간식 준비를 마칠 무렵에 호스트 봉사자들이 소방서로 모였다. 집을 내어주고 긴 시간을 돌본다는 것이 쉬운 결정이 아니었을 것이다. > * 디아나(호스트): 우리는 난민을 도울 여건이 되어서 그들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제가 난민이 된 상황이라면 어땠을까라는 상상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 도와야 합니다. 제가 돕는 난민들 가운데 한 명은 17살인데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이곳에서 특별한 사람을 만났다. 우크라이나에서 온 난민 빅토리아였다. > * 빅토리아 흐라녜프스카(우크라이나 난민): 우리는 3월 20일에 이곳으로 왔어요. 오늘은 제 친구가 딸과 함꼐 올 예정이에요. 우리가 살던 도시에서 전투가 계속 일어나서 친구네 가족은 오랫동안 지하실에서 살았거든요. 누군가는 기다림에 설레겠지만 리자에게 난민을 마주하는 일은 마음이 편한 게 아니었다. >그래도 우크라이나 국민으로서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해요. 수많은 사람이 저보다 훨씬 힘든 일들을 겪었어요. 제가 경험하는 건 아무것도 아니에요. 보고 싶지 않은 현실. 하지만 리자는 이것이 피할 수 없는 일임을 알고 있었다. 멀리서 사이렌 소리가 들려온다. 50여 시간 동안 국경을 네 번 넘어온 [[메르세데스-벤츠 투리스모|버스]]가 도착했다. 환영의 소리가 도심에 울려퍼진다. 망설임 없이 전선으로 달려와준 사람들과 함께 살아 남은 이들이 라 코루냐 이 땅에 서 있다. 빅토리아의 호스트 가족이 이토록 기뻐하는 이유는 바로 빅토리아가 기다리던 친구를 만났기 때문이다. > * 빅토리아: 기쁘죠. 행복해요. > * 디아나: 헤어진 친구와 이제 함께할 수 있어서에요. 제가 그 순간을 함께 해서 기뻐요. 리자는 지금 어떤 마음일까? > * 리자: 우리 국민을 받아준 스페인에 감사해요. 자원봉사를 하고 자신의 시간과 힘을 쓰며 진심으로 도와주는 게 보여요. 그리고 정말 환영해주고요. 따뜻한 마음 덕에 기운을 차려가는 사람들. 이제 난민과 호스트 가족을 연결해주는 절차만 남았다. > * 자원봉사자: 올레나 씨. 파르보바 씨. 자원봉사자가 이름을 부르면 호스트가 신원을 확인한 다음 난민 가족을 만나게 된다. 디아나는 빅토리아의 친구를 돕게 됐다. > * 나탈리야 보흐다녠코: 고마워요, 이름이 뭐에요? > * 디아나: 디아나, 카를로스, 안드레아나에요. > * 나탈리야: 몇 살이니? > * 아이 1: 5살이에요. > * 아이 2: 10살이요. > * 나탈리야: 나도 아들이 있어요. 24살이고 [[키이우]]에 있어요. > * 디아나: 거기에 남아있군요. > * 스바틀라냐 시뉴크(우크라이나 피란민): 자신들의 땅에 우리 우크라이나인들을 받아준 위대한 영혼을 가진 스페인 사람들에게 정말 감사합니다. 단순히 우리를 받아준 것 뿐 아니라 저희가 이곳을 집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것을 다 제공해주고 계세요. 올가도 도착한 날을 떠올리면 가슴이 벅차다 > * 올가 김: 호스트 가족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사실이 정말 기뻤습니다. 이렇게 타국에 와서 말도 모르고 뭘 해야 할지, 어디로 가야 할지도 모르는데 누군가 이름을 부르며 기다리고 있으니 정말 멋있고 신나기까지 했아요. 환대 속에서 시작된 타향살이. 리자는 이곳에서 희망을 봤다. > * 리자: 저는 '''정말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고 '''정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요. 가끔 SNS로 이런 메시지를 받아요. "나는 미국 사람이고 이름은 누구라고 해. 정말 도와주고 싶은데 어떻게 우크라이나를 도와줄 수 있을까?" 그럴 때마다 정말 '''큰 감동'''을 받아요. 이 사람들은 지구 반대편에서도 우리를 도와주려고 하는 거잖아요. >{{{+1 ESTAMOS UNIDOS CON UCRANIA}}} >(우리는 '''우크라이나'''와 '''하나'''다.) {{{+1 나들이}}} 수많은 마음이 우크라이나를 향해 있다. 가족이 집 앞으로 나들이를 나왔다. 리자가 온 뒤부터 웃는 날이 많아졌다. > * 미하일로: 누나, 나 잡아봐. 아이들에게서 전쟁의 그림자가 걷히기를 엄마는 얼마나 바랐는지 모른다. > * 올가: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 다 같이 모여 있는 것을 보니 가족이라는 느낌 뭔가 한 곳에 모였다는 기쁨 때문에 정말 좋았어요. 제 영혼이 따뜻해졌고 가족이 함께 있는 것만으로 저도 아이들도 행복해요. 거센 파도에 휩쓸려 가족은 세상의 끝까지 밀려왔다. 여전히 불을 밝히는 이 등대[* [[세계유산|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등대 가운데 가장 오래된 헤라클레스의 탑을 가리킨다.]는 너희들은 이제 안전하다고 말해준다. > * 리자: 비행기처럼 해볼래? > * 아우렐리아: 우리는 바다위를 날아간다. > * 올가: 시간이 말해주겠지만 우리는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앞으로 나아갈 거에요. 새 삶을 살고 과거를 다시 생각해보고 그리고 다음에는 어디로 갈지 생각하고 여기서 새로운 지평선을 여는 거겠죠. 올가의 바람처럼 가족은 세상의 끝에서 새로운 내일을 맞이할 것이다. {{{+1 집회에 참여하다}}} 라코루냐의 중심 마리아피타광장에서 일요일마다 우크라이나 난민들의 집회가 열리고 있다. 올가는 매주 이곳에서 동포들을 만난다. > * 여성: 저희가 방금 와서 아주머니를 못 봤어요. > * 올가: 그래요? 우리는 한 시간 전에 왔어요. 한 달 전만 해도 몰랐던 사이지만 사지에서 살아남은 난민들은 누구보다 끈끈하다. 이들은 [[하르키우]]에서 피란을 왔다. > * 알리사 트카첸코(하르키우 출신 피란민): 지금 하르키우를 엄청나게 폭격해요. 주민들은 대부분 지하실에서 살고 있어요. 그러다 조용해지면 밖으로 나와 인도적 도움을 받기 위해 6 ~ 8시간 동안 줄을 서요. 러시아군은 [[5.18 민주화운동/전개|줄을 선 사람들을 포격하고……]] > * 나디야 안드로나키(우크라이나 피란민): 제 아들은 2004년생으로 올해 17세에요. 아들의 주소로 러시아 사람들이 들어와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군대에 입대시키려고 했어요. 그곳에는 저의 어머니가 살고 있는데 러시아군이 와서 아들을 찾았대요. 강제로 끌고가려고요. 이해가 되세요? 17살이에요. 잠시만요, 말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집회 현장에서는 생존의 증언과 이들만이 나눌 수 있는 위로가 오간다. > * 라리사 호리코바(키이우 출신 피란민): 여기 언제 왔어요? > * 올가: [[3월 27일]]이요. > * 라리사: 3월 27일이라고요? 나는 그제 겨우 왔어요. > * 라리사: 키이우에는 밤낮 상관없이 온종일 공습경보와 사이렌이 울려요. 게다가 [[생화학무기|화학무기의 위협]]도 있었지요. 그래서 라디오에서는 우리 군대가 도시들을 해방시킬테니 여성들은 짐을 싸서 유럽으로 가라고 했어요. > * 올가: 제가 지지할게요. 같이 견녀내요 우리. 서로 같이 돕고 매주 집회에서 만나요. 더는 혼자가 아니다. 여기서는 우크라이나를 위해 하나가 된다. > 우크라이나에게 영광을! 영웅들에게 영광을! > * 오스카로 마다로: 침공 53일째입니다. 이제 우크라이나는 [[헤르손 공세|헤르손을 역습해]] 되찾으려 합니다. 2월 24일에 우크라이나가 침공당했을 때 여러분은 흑해 연안에 있었습니다. 난민들의 집회현장에는 늘 호스트 가족들이 함께 한다. 그리고 고통을 말하는 생존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 * 여성: 우리는 지금 이곳이 그러하듯 평화로운 하늘이 있는 우리의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될 겁니다. 조용히 길을 걸어다닐 수 있고 무언가 날아올까, 폭격이 있을까, 두려움에 떨지 않고 [[평화|아이들이 그런 소리를 듣지 않게 될]] 조국으로요. 평화로웠던 조국을 향한 그리움. 그 마음을 국가에 담아 실어보낸다.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사라지지 않으리라''' >'''우리의 형제들'''은 '''이 나라의 주인'''이 되리라 > * 호세 마리아 로페스 파르도(올가 가족의 호스트): 연대감을 느낀다고 할까요? 그들이 필요할 때마다 도울 수 있는 만큼 도우려는 거에요. 결코 많이 돕는 건 아니에요. '''많지 않아요.''' > * 바네사 돌할레(우크라이나 난민의 호스트 가족): 얼마 전에 우리집으로 우크라이나인 엄마와 아기가 왔어요. 난민 가족이 이곳에서 게속 살고 싶다고 한다면 필요한 기간 만큼 우리가 집, 직업, 아이들 학교까지 구할 수 있도록 도울 거에요. 언제까지 도울거냐고요? 그들이 원할 때까지요. 삶의 터전을 잃고 황폐해진 마음을 일으켜준 이들이 있다. 세상 끝까지 밀려온 이들을 안아주는 손길들. 도처에 '''이 슬픔'''을 '''아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러니 이곳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 될 것이다. > * 올가: 저는 우크라이나를 정말 사랑하며 우크라이나인들의 용기와 용맹함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언젠가 돌아가고 영토를 회복하며 모든 것이 회복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건 우크라이나를 마음에 품고 있는 것이죠. > * PD: 전쟁이 끝나면 가족들이 어떻게 살기를 바라나요? > * 리자: 우리는 "전쟁이 끝나면"이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승리하면"이라고 말해요. 왜냐면 다른 선택지가 없거든요. 우리는 모두 우크라이나가 승리할 것을 알고 있고 마지막에는 반드시 빛이 이길 것을 알고 있습니다 . > * 올가: 견뎌냅시다. > 우크라이나에게 영광을! 영웅들에게 영광을! 이 봄, 우리가 살아있다. {{{+1 2부 프롤로그}}} > * 남자 어린이[* 미하일로 김으로 추정.]: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카발레프스키]]의 '느린 왈츠'입니다. > * 올가 김: 어디를 가든 마음은 항상 고향을 향하게 돼요. 내가 살던 그곳이 정말 마음에 들었거든요. 5월이면 [[아카시아]]꽃이 정말 예쁘게 펴요. 봄에 꽃이 흐드러지게 필 때, 풀이 초록빛을 띌 때 드 때는 정말 아름답죠. '''정말 행복한 삶이었죠.''' 조용하고 평화로운 곳이었어요. 가족들과 [[https://goo.gl/maps/CpQpLvmo9xjUmgnw5|가장 큰 백화점]][* 한국에 있는 [[아울렛]]과 비슷하다.]에 있는 아이스 스케이트장에 놀러갔었어요. 그곳에서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시간을 보냈죠. >'''우리는 빼앗겼다.''' >'''찬란한 계절을.''' {{{+1 아버지}}} > * 리자: 아우리카. 아우리카. 아우리카, 일어나. > * 아우리카: 오, 리자. 좋은 아침. 동생에게 약속한 대로 리자가 왔다. > * 리자: 미샤. 미샤. 미샤, 좋은 아침. 리자는 동생들의 일상을 모두 담아가고 싶었다. > * 아우리카: 리자는 고양이야. 귀가 어디 갔어? 손으로 귀를 만들어줘. > * 리자: 기다려봐. 어디 봐봐. 됐어. 엄마가 피란길에 챙긴 사진들이다. > * 아우리카: 예전에 우리 반에 비옷 있던 것 기억나? > * 리자: 그래? > * 아우리카: 응, 비옷. > * 리자: 이 사진도 아우리카네. > * 아우리카: 아니야, 이건 언니야. 수많은 사진 속에 그리운 얼굴들이 있다. > * 리자: 나는 아빠가 어디 있는지 보인다. 리자의 아버지는 빅토르 김이다. > * 리자: 아버지는 [[르비우|트루스카베츠]]에 계세요. 왜냐면 우크라이나 남성들은 [[징병제|18세부터 60세까지 나라를 떠날 수 없거든요.]] > * PD: 아버지는 참전하셨나요? > * 리자: 아니요. 그건 불가능해요. 아버지는 [[병역판정검사|건강에 문제가 있어서 군에서 아버지가 참전하는 것은 부적합하다고 판단했어요.]] 아버지는 참전하지 않았지만 국경 인근에서 [[MAN TGX|화물차]]를 운전하며 살았다. 홀로 지내는 아버지와 고향에 남아 있는 할머니까지 별안간 이들은 [[이산가족]]이 됐다. > * 아우렐리아 김: 아빠를 곧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고 아빠와 할머니가 우크라이나에서 빠져나왔으면 좋겠지만 러시아에는 가지 않았으면 좋겠어. > * 미하일로 김: 아빠 안녕? 곧 같이 [[체스]]를 둘 수 있기를 바랄게. {{{+1 학교에 가다}}}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등교길에 올랐다. 그런데, 동생들의 표정이 어둡다. > * 올가 김: 우리가 스페인에 온 지 3주나 됐어. 벌써 방학기 끝나서 학교에 처음 가보네. 아우리카, 너는 어때? 긴장되니? > * 아우리카: 학용품이 없어서 걱정돼. > * 올가 김: 학교에 가면 너에게 공책, 필통, 펜도 [[다 줄 거야]]. > * 아우리카: 그래도 나 아직 [[자(도구)|자]]가 없어. > * 올가: 넌 등에 책가방도 메고 있잖아. 오빠는 작은 가방을 메고 가는데, 뭐가 어때서? 이국의 학교 생활에 두려움이 앞서지만, 이곳의 아이들은 남매를 환영하고 있다. > * 이사벨 루소(학교장): 안녕? 미하엘. 학교에 온 걸 환영해. > * 미샤: 네. > * 학교장: 라 코루냐에서 지내는 건 어때? 괜찮니? > * 미샤: 좋아요. > * 학교장: 그렇다면 이 학교[* 폰테베르다에 위치한 [[http://www.edu.xunta.gal/centros/ieseusebioguarda|에우세비오 다 과르다 학교]]를 가리킨다.]에서도 행복하길 바란다. > * 미하일로 김: 안녕? 아직은 교실 공기가 낯설게 느껴졌다. > * 루시아 세스토 포르토(여교사): 안녕하세요? > * 학생들: 안녕하세요? > * 여교사: 오늘은 지난 시간에 했던 만화 그리기를 마무리할 거야. 첫 수업은 [[미술(교과)|미술 시간]]이다. > * 여교사: 칸마다 간격은 5밀리미터면 돼. 종이와 테두리의 간격은 1센티미터면 되고. 알았지? > * 미하일로 김: 오늘까지 끝내야 하나요? > * 여교사: 오늘까지 끝내야 해. 깔끔히 그려. 모두 칸을 그리기 시작했으나 미샤는 아무 것도 하지 못 하고 있었다. > * 여교사: 우선 이 [[만화]]의 주제는 뭐니? > * 미하일로 김: 주제는…… 일단 이건 [[오리]]고요. > * 여교사: 오리? > * 미하일로 김: 네. 이 오리가 [[레모네이드]] 판매대에서 [[포도]]를 찾아요. > * 여교사: 그렇다면 스케치를 한 번 해봐. > * 미하일로 김: 자를 좀 빌릴 수 있을까요? > * 여교사: 자가 없니? 그래. 하나 가져다줄게. 준비물을 미쳐 챙기지 못 하자 누가 먼저라 할 것 없이 학우들이 손을 내밀었다. > * 토마스 카를로스(남학생): 너는 무엇을 그릴거야? > * 미하일로 김: 레몬. > * 남학생: 나는 [[왕따]]에 관한 이야기를 그릴 거야. > * 미하일로 김: 왕따? > * 남학생: [[학교폭력|사람들이 남자아이를 괴롭히는 이야기]]를 담을 거야. > * 여교사: 다들 미샤가 처한 현재 상황에 대해 알고 있어요. 미샤가 학교에 오기 전부터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많이 했어요. 학생들 중에 영어를 잘하는 친구가 있어서 다른 친구들과 소통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이 학교는 [[1890년]]에 세워진 역사깊은 곳이다. 예술작품같은 이곳에 [[파블로 피카소]]가 다녔다. [[교무실]] 천장화에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쉬는 시간이 되자 미샤가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갔다. > * 여학생: 안녕? > * 미샤: 안녕? 나는 스페인어를 조금 할 줄 알아. > * 여학생: 배우고 있는 중인 거지? > * 미샤: 그런데 알아듣지는 못 해. 놀이를 하려는 듯 아이들이 모이자 미샤도 용기를 내본다. > * 미샤: 나한테 설명을 다시 해줄 수 있어? 이해가 잘 안 돼. > * 남학생: 그래. [[술래잡기|한 명이 여기에 서서 다른 사람을 건드리게 되면 그 둘은 손을 잡아야 해.]] > * 미샤: 알았어. [[술래잡기]]같은 놀이였다. 언어는 달라도 함께 뛰놀자 금세 가까워졌다. 낮설게 느껴졌던 이곳이 어느새 익숙해지고 있었다. > * 칸델라 살가도 코초(여학생): 같은 반에 새로운 학생이 있는 건 좋은 일이에요.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있잖아요. > * 니콜라스 파리냐 프리에토(남학생): 미샤가 와서 매우 기뻤어요. 그 친구 나라의 문화도 배우는 거라 매우 좋은 거죠. > * 학생들: [[어서 와|'''환영해 미샤.''']] {{{+1 아버지와 연락이 닿다}}} 가족이 집 앞에 있는 놀이터를 찾아 아빠와 영상통화를 했다. > * 빅토르 김: 안녕? > * 아우렐리아 김: 안녕? > * 빅토르 김: 너희들, 다 같이 스페인에 있지? 그래. > * 올가 김: 응, 여기에 다 있어. 당신 몸은 어때? 잘 지내? > * 빅토르 김: 응, 잘 있고 몸 건강히 지내면서 일하고 있어. 학교는 마음에 들어? > * 미하일로 김: 네. > * 빅토르 김: 무슨 말로 얘기하는데? [[영어]]? > * 올가 김: 무슨 말로 이야기해? > * 미하일로 김: 다들 스페인어로 이야기하는데 한 명이 영어도 할 줄 알아서 이야기는 할 수 있어. > * 올가 김: 거기는 어때? > * 미하일로 김: 헤르손은 [[헤르손 전투|완전히 점령당했어.]] > * 올가 김: [[5.18 민주화운동/전개|통신을 차단하고]] 국민 투표를 해서 [[헤르손 인민공화국]]을 세우겠다고 해. 집에 여권 복사본이 있는데 [[개인정보 유출사태|우리 여권 정보를 가져가서]] [[부정선거|투표한 것처럼 쓸까 봐]] 걱정돼. 어머님은 어떻게 지내고 있어? > * 빅토르 김: 어머니도 괜찮아. > * 미하일로 김: 아빠, 아우렐리아를 아빠한테 보여드리자. > * 올가: 미샤가 [[헤라클레스]]처럼 되고 싶나봐. 봐라. 스페인의 공기가 미샤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보여? [[진짜 사나이|강해지고 싶어하는 것을 보니까 '''진짜 우크라이나 사람'''이네. ]] > * PD: 올가에게 남편은 어떤 존재인가요? > * 올가 김: 글쎄요, 제 반쪽이죠. 솔직히 말해서 그가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어요. 올가는 러시아 출신으로 남편과 혼인한 뒤에 우크라이나로 이민왔다. 26년간 동고동락한 남편은 홀로 우크라이나에 있다. > * 올가 김: 정말 걱정되죠. [[아빠는 웬만해서 눈물이 안 나는 사람인데 눈물이 나오네|울고 싶은데 이젠 눈물도 나오지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말라버린 눈물 대신 비가 내렸다. 리자도 이곳에 오고 생각이 많아졌다. > * 엘리자베타 김: 많은 우크라이나 사람이 느끼는 것처럼 지난 몇 주간 제가 우크라이나에 없다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어요. {{{+1 할머니}}} 잊을 수 없는 그곳. > 속보입니다. 우크라이나와의 잔혹한 전쟁에서 [[헤르손 공세|러시아가 전략 남부 도시인 헤르손을 장악하려 합니다.]] >---- >- [[CNN]] 뉴스 러시아는 국경에서 가까운 헤르손을 장악했다. > * 목격자: 빨리 도망가. 무차별적인 폭격이 이어지며 고향은 파괴되어갔다. 그리고 그곳에 나의 가족이 있다. 할머니가 남아계신다. > * 엘리자베타 김: 할머니는 지금 점령지에 있습니다. 전쟁이 시작됐을 때 할머니는 그곳이 자신의 땅이고 자신의 집이기 때문에 대피하지 않겠다고 말했어요. 만약 [[우크라이나군|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할머니가 요리나 청소를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 * 시민들: [[양키 고 홈|집으로 돌아가.]] 헤르손 시민들은 저항했다. 사람들은 순순히 고향을 내주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5.18 민주화운동|그들의 저항은 무참히 짓밟혔고]] 러시아군은 민가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 영상에서 러시아군의 차량에 [[Z(군사 표식)|Z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 올가 김: 러시아 군인 12명이 장갑차를 끌고 와서 집을 수색하고 휴대전화를 검사하고 그 이후 비로소 어머님은 결심하셨어요. 제 친구들이 시어머니를 태우고 점령지 안의 검문소 몇 개를 통과했어요. 100킬로미터 넘게 달렸고 마지막 러시아군 검문소에 다다랐는데 이게 정확히 30 ~ 40분 전 일이었어요. 검문소를 통과하면 전화하겠다고 했지만 그걸 마지막으로 연락이 닿지 않았어요. 가족의 슬픔을 묻어둔 채 일상은 계속 흐른다. {{{+1 VIRA 협회를 찾다}}} 난민들에게 생필품을 제공하는 이 봉사단체는 스페인에 거주 중인 우크라이나 교민 가족이 운영하고 있다. > * 나탈리아 콘드라시키나(변호사, VIRA 운영자): [[러시아 제국 해군|러시아 군함 티셔츠다.]] 하필 러시아 티셔츠가 물품에 섞여 왔다. > * 여성: [[전범|그 티셔츠는 아주 불에 태워버려야 해.]] > * 나탈리아 콘드라시키나: 태워버려야지. 필요 없어. 옷부터 신발, 식기, 화장품까지 다양한 물품을 구비해두었다. > * 나탈리아 콘드라시키나: 전쟁 발발 초기에 우크라이나에 있던 우리 가족과 친척들은 러시아군 점령 치하에 놓이게 됐어요. 그럼에도 우리는 힘내라는 말 밖에는 그들을 도와줄 방법이 단 하나도 없었죠. 너무 끔찍한 무력감을 느꼈어요. 그래서 결정했어요. '''"우리가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을 돕자."''' 시민들에게 기부받은 물품으로 난민들을 돕고 있는 가족. 올가도 오늘 이곳을 찾았다. > * 나스차: 저는 나스차라고 해요. > * 올가: 저는 올가에요. 어디 출신이에요? > * 나스차: 저는 헤르손주에서 왔어요. > * 올가: 오! 저희도 헤르손주에서 왔어요. > * 나스차: 여기에 헤르손주 출신이 많아요. 이쪽은 제 동생 디아나에요. > * 올가: 만나서 반갑습니다. > * 나스차: 올가 씨는 뭐가 필요하세요? > * 올가: 저는 벨트와 운동화요. 그리고 아이들이 입을 티셔츠도 몇 벌 있으면 좋겠어요. > * 아우렐리아: 엄마, 우리 야구모자 하나 골라도 돼? > * 나스차: 그럼, 찾아줄게. 이리와. 길어지는 피란 생활에 모든 것이 부족하다. > * 올가: 신발 사이즈는 36이랑 38이에요. > * 아우렐리아: 이 신발은 나한테 좀 큰 것 같아. > * 올가: 아니야, 잘 맞아. 손가락 하나가 들어가잖아. 끈을 꽉 묶으면 돼. 미샤도 마음에 드는 신발을 찾았다. > * 엘리자베타: 그 신발 가져갈 거야? > * 미샤: 응. > * 엘리자베타: 오, 멋지네. 이 모자로 할까? > * 미샤: 응. > * 타치아나 두빅: 안녕? 이 거 받아. 2주 전에 이곳으로 온 피란민이 옷을 기부하고 필요한 걸 찾으러 왔다. > * 타치아나 두빅(우크라이나 난민): 스페인 호스트와 사는데 처음에는 여기 오겠다고 말하는 게 어려웠어요. 어제 용기를 내서 내일 집회에 나가고 싶다고 말하고 그리고 여기에 들르겠다고 했어요. 그녀의 딸 소피아는 조용히 우크라이나 국기를 그렸다. > * PD: 왜 국기를 그렸어요? > * 소피아: [[애국|조국을 사랑하니까요.]] > * PD: 가고 싶어요? > * 소피아: 네. >{{{+1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1 영웅들에게 영광을}}} >---- > 그림에 적힌 글 이 어린이의 마음에도 조국이 있다. {{{+1 스페인어를 배우다}}} 이곳은 난민들을 위해 마련된 스페인어 교실이다. 벌써 여덟 번째 받는 수업이었다. > * 올가 김: 우리가 원해서 스페인어 수업을 찾아보고 물어봤어요. 이곳에 적응하기 위해 언어를 배우려고요. 타국에 살면서 그 나라의 언어를 배우지 않는 것은 나를 받아 준 나라에 대한 예의가 아니죠. 올가는 스페인에 도착한 지 일주일 만에 수업을 찾아냈다. > * 강사: 정육점에는 뭐가 있죠? > * 수강생: 닭고기랑 소고기요. > * 강사: 올가, 과일가게에는 뭐가 있죠? > * 미하일로: 엄마, 과일 가게. > * 올가: 과일가게에… 수프인가? 아닌가… 오렌지인가? > * 미하일로: 쌀 50그램. > * 강사: 미샤, 아로스(Aros)라고 발음하면 [[농구]]를 말하는 거야. 너가 말하려는 건 쌀(Arroz)이야. 더디지만 노력하고 있었다. > * 아메르 노우리(봉사 단체 Renacer 회원):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스페인어 교육 공간을 마련해서 사회에 적응하고 스페인어로 말할 수 있도록 난민 여성과 어린이에게 수업을 제공하고 있어요. 교실 한 편에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이 있다. > * 남성: 스페인어로 이건 뭐라고 하는지 알아? > * 아우렐리아: 문이요? > * 남성: 아니, 집(Casa). > * 아우렐리아: 저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영어를 알아요. 스페인어까지 어떻게 머리에 넣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 * 남성: 관심을 조금 가지면 할 수 있을 거야. > * 올가: 203……. 올가가 스페인어 공부에 열정을 쏟는 또 다른 이유가 있었다. > * 올가: 조금 어려웠는데 재미있었어요. 드디어 숫자를 제대로 배웠네요. 수업에서 가족, 숫자, 사물의 이름 같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언어를 배워서 생활에 도움이 돼요. 그리고 더 좋은 직업을 찾기 위해서 몇 가지 강좌를 더 수강할 계획이에요. > * PD: 아우렐리아는 왜 스페인 수업을 안 들었어? > * 아우렐리아: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매일 100단어 이상을 공부할 수 없으니까요. 스페인어 수업에서 낙제점을 받을까봐 두려워요. 성적을 나쁘게 받았다고 뭐라고 하지 않을 거지? > * 올가: 아니. 안 그럴 거야. > * 아우렐리아: 고마워. {{{+1 할머니의 탈출}}} 그 날 오후에 가족이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통화를 하던 리자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 * 리자: 잘 안 들려. 긴 통화를 마치고 모녀의 표정이 밝아졌다. 무슨 일이었을까? > * 리자: 아빠한테 전화가 왔어요. 할머니가 드디어 대피를 하셨대요. 할머니가 러시아군의 마지막 검문소를 빠져나오셨대요. > * 올가: 어머님께서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점령 지역이 아닌 우크라이나 통제 지역에 계세요. 우크라이나에는 현재 안전한 곳이 없어요. 그래도 적진에 계시지 않으니까요. 갑자기 내린 비에 다들 몸을 피하지만 리자는 아무런 상관을 하지 않았다. 할머니가 무사했다. 이보다 더 좋은 날이 있을까? 어둠이 내리고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가자 가족도 집으로 돌아왔다. 오늘은 리자도 함께 했다. 막내에게 특별한 이 밤. 드디어 언니와 함께 자게 됐다. > * 리자: 장난감이랑 같이 잘 거야? > * 아우렐리아: 아니야. 언니가 있잖아. 내 모든 장난감보다 언니가 좋아. > * 리자: 모든 장난감보다 좋다고? 우리 이렇게 같이 잔 지 오래됐지? > * 아우렐리아: 응, 오래됐어. > * 리자: 몇 년 지난 것 같아? > * 아우렐리아: 2년. > * 리자: 오늘은 어떤 꿈을 꿀 거야? > * 아우렐리아: 모르겠어. > * 리자: 모르겠어? 그러면 주로 어떤 꿈을 꿔? > * 아우렐리아: 글쎄. 우리 집. > * 리자: 우리 집? 어제는 무슨 꿈을 꿨어? > * 아우렐리아: 집에서 고양이 치직이랑 같이 만두를 먹는 꿈을 꿨어. 우리가 고양이를 두고 가서 나중에 나를 못 알아보는 거 아니야? > * 리자: 알아볼거야. 넌 주인이잖아. > * 아우렐리아: 삐칠 거야. > * 리자: 아니야. 안 삐칠 거야. 네가 주인이잖아. 이제 자자. 잊지 못 할 하루가 저물어간다. {{{+1 봉사활동}}} 올가와 미샤는 오늘 봉사를 하러 왔다. 이곳에서 우크라이나 국경으로 구호 물품을 보내는 일을 한다. > * 마르틴 알바레즈(AGA 봉사자): 작업하실 것들을 편하게 가지고 가세요. 빈 상자는 저기 있습니다. 구호 물품을 분류해 상자에 넣는 일을 맡았다. > * 올가: 박스 하나를 완성했어. 이제 물건들이 옆에 오도록 정렬해야 해. > * 미샤: 알겠어. 200여 명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매주 두 차례씩 구호 물품을 우크라이나로 보낸다. 아나는 3월 초부터 봉사를 시작했다. > * PD: 많이 바쁘죠? > * 아나(AGA 봉사자): 네, 바쁘네요. 봉사를 하는 것이니까 멈추기 싫어요. 빠르게 일을 진행하면 구호 물품이 더 일찍 도착할 수 있잖아요. > * PD: 왜 자원봉사를 하시나요? > * 아나: 팔짱 끼고 TV만 볼 수는 없잖아요. 개인적으로 가만히 있을 수 없었어요. > * 남성: 저는 전역 군인인데 자유시간이 생겨서 봉사하러 왔어요. 왜냐면 이 전쟁은 모두에게 해당되거든요. 모자가 세 시간 동안 묵묵히 일했다. > * 올가: 정말 일에만 집중했어요. 기분이 좋아졌어요. 일을 안 한 지 오래되었거든요. 오랜만에 내 스스로가 쓸모 있는 존재라고 느꼈어요. {{{+1 부활절 여행}}} 가족이 [[부활절]]을 앞두고 근교로 나들이를 나왔다. > * 올가: 작년에 누가 부활절 빵을 꾸몄지? > * 아우렐리아: 나. 나. > * 올가: 어떤 토핑을 뿌렸지? > * 미하일로: 스틱 모양이랑 별 모양. > * 엘리자베타: 아우리카, 올해는 무슨 재료로 빵을 굽고 싶어? > * 아우렐리아: 난 똥으로. > * 올가: 이게 바로 너의 동생들이다. 1시간을 달려 페롤에 도착했다. 잠시 바닷가에 들렸다. > * 엘리자베타: 아우리카 할머니에게 보낼 영상을 하나 더 찍자. > * 아우렐리아: 할머니 안녕? 할머니가 피란 가시면서 [[태극기 휘날리며|왜 고양이는 안 데려갔어요?]] > * 엘리자베타: 할머니가 고양이 생각하면 우시니까 고양이 이야기는 하지 말자. 어쩐 일인지 올가가 홀로 떨어져 있었다. > * 올가: 우리 가족이 매년 여름 휴가를 보내는 곳이 있어요. 흐롤리라는 곳이에요. [[흑해|그곳의 냄새가 바로 이 냄새에요.]] 지금도 기억나요. 바다를 마주한 순간 지난 순간들이 스쳐 지나갔다. 강인하게 버텨온 올가가 눈물을 보였다. > * 올가: 우리 집, 가족, 친척, 지인들이 생각나서 마음이 아프네요. 제 친정 식구들은 좋은 사람들이었어요. 하지만 전쟁은 그들의 실체를 드러내게 하더라고요. 가족들을 믿었는데, 전쟁이 터진 뒤엔 제게 안부 문자 한 통을 보내지 않았어요. 정말 '''아무것도 없었어요.''' 죽음의 땅에 딸을 두고 [[친러|러시아 편에 선]] [[매국노|아버지. 그 모습]]에 올가는 [[절교|가족과 절연했다.]] > * 올가: 저는 가족들에게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일을 설명하려고 했지만 잘 되지 않았어요. 제 가족과 친척들은 TV에서 말하는 것을 믿고 [[매국노|전쟁을 지지한다는 사실]]이 고통스러워요. '''정말 고통스러워요. 전 가족을 모두 잃은 셈이에요.''' 페롤의 중심부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가족은 이곳에 부활절 퍼레이드를 보러 왔다. 부활절을 앞둔 성주간에 퍼레이드가 진행된다. 대다수가 [[가톨릭]]을 믿는 스페인에서 열리는 성대한 행렬이다. > * 엘리자베타: 저기 다양한 색감을 봐. 수난 행진은 부활절 전 수난일에 열려서 일요일까지 진행된다. 부활을 축하하기 전에 성주간 동안 지역내 성당에서는 그리스도의 순환과 죽음을 기억하기 위해 퍼레이드를 진행한다. 이들이 고깔 두건(나사레노[* 16세기 종교 재판 당시 고발당한 사람들이 쓴 두건에서 유래했으며, 알굴을 가린 것은 참회를 의미한다.])을 쓴 이유는 자신을 낮추고 회개한다는 뜻이다. 고난의 시대를 견디고 [[메시아#s-1.2|그리스도]]가 부활한 것처럼 난민들에게도 이 고통의 시간이 지나가길 바란다. 고향에서 보냈던 평범한 하루처럼 [[아이스크림]]을 사먹었다. > * 엘리자베타: 미샤가 고른 아이스크림이 가장 맛있네. > * 올가: 미샤는 처음 사보는 게 아니거든. > * 아우렐리아: 나는 초콜릿이랑 딸기맛이야. 내 아이스크림이 더 달아 > * 미하일로: 나는 레몬이랑 코코넛맛이야. > * 올가: 건축물도 보고 자연도 보게 하면서 어떻게든 아이들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려고 했죠.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이 계속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하고 있어요. 마치 집에 있는 것처럼 이런 일상을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막내 곁으로 다가온 강아지 덕에 아이들이 모였다. 모두 우크라이나 난민이다. 어디를 가든 만나게 되는 동포들. 알던 사이인 듯 이야기를 쏟아낸다. > * 알리나 니키치시나(우크라이나 난민):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가 스페인 학교죠? > * 올가: 네, 스페인 학교에요. 우리 아이들은 영어를 할 줄 알아요. > * 알리나: 저는 일자리를 찾았어요. 미용실에서 일하고 있어요. > * 올가: 벌써 일하세요? ?당신은 여기서 일할 수 있어요? > * 알리나:아니요. 스페인어도 모르는 우리를 누가 고용하겠어요? > * 올가: 그래도 청소부나 주방 보조원같은 일자리가 있을 수 있잖아요? > * 알리나: 안 돼요. 청소부도 못 해요. > * 올가: 맞아요. 적어도 초급 수준까지는 배워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막막한 현실이지만 그럼에도 삶은 계속된다. 그러나 리자는 이 봄을 이렇게 보내고 싶지 않다. > * 리자: 저의 가장 큰 걱정은 전쟁이 장기화되는 거에요. 저는 가족들이 우크라이나로 돌아가길 원합니다. '''이곳이 아무리 따뜻할지라도.''' 동생들과 이야기했듯이 아직 우리 마음은 우크라이나에 있으니까요. 가족들이 우크라이나가 승리할 것이며 집에 곧 돌아가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지냈으면 좋겠어요. {{{+1 귀국}}} 꿈같은 12일이 지났다. 이 여행을 마무리해야 하는 시간이 됐다. 리자는 유럽의 끝에서 만난 장면들을 기억할 것이다. 따스한 환대와 가슴 뜨거워지는 우리의 연대. 이 따스함을 딛고 우리는 다시 일어설 것이다. > * 아우렐리아: 전쟁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 * PD: 언제 전쟁이 끝날 것 같나? > * 미하일로: 한 달 후쯤이요. > * 아우렐리아: 방송을 보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꼭 살아남았으면 좋겠어요. 끝내 오지 않을 것 같았던 작별의 시간이 다가왔다. > * 아우렐리아: 나도 비행기 타고 한국으로 날아갈래. > * 리자: 너도 한국으로 날아온다고? > * 올가: 너랑 같이 가겠대. 언니 안 놓아줄 거야? > * 아우렐리아: 응, 절대로 안 놓아줄 거야. > * 미하일로: 이제 작별이네. > * 올가: 곧 만날 수 있을 거야. 잘 버텨. 가서 공부 잘해. 알았지? > * 아우렐리아: 언니 못 보내. 아니, 안 보내줄 거야. > * 올가: 언니 안 보내줄 거야? 곧 올 거야. > * 아우렐리아: 세상 끝까지 언니랑 같이 갈 거야. 리자와의 헤어짐은 막내에게 너무 힘든 일이다. 아직은 기약 없는 이별. > * 올가: 아우리카는 벌써 울기 시작했어. 하지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빼앗긴 봄을 되찾는 그날]]에 우리는 다시 만날 것이다. 그 봄을 기다리며 리자는 한국으로 돌아갔다. >리자가 귀국한 후 헤르손에 대한 뉴스가 보도되었다. [[5월 6일]]에 러시아 집권당 고위 인사는 "[[헤르손 전투|우리는 헤르손에 영원히 머물 것]]"이라며 [[헤르손 전투|병합을 암시했다.]] > * 올가 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고향으로 돌아갈 겁니다. 리자야, 너가 처한 환경에서 버텨야 한다. 모두 곧 만나게 될 것이고 앞으로 나아갈 거니까. [[헤르손 공세|헤르손아 버텨라.]] === 339회 === * 프랭키: 본명은 프랭키 갬블. 한국 이름은 김도박[*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유니폼에 [[등번호#축구]] 15번과 함께 이 이름을 새겨놓았다.]. --[[프랭키와 친구들#s-6|모 만화영화의 등장 인물]]과 관련 없다.-- [[영국]] 출신. 2018년에 한국으로 건너온 그는 2022년에 한 내국인 여성을 만나 사귀기 시작했다[* 출연 당시 105일째였다고 한다.]. 출연 당시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생활비는 자국 정부의 지원금으로 충당했는데, 취업만 한다면 언제든지 갚을 수 있는 것은 물론 '''30년이 지나면 잔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규정이 관대한 편이다.], 소하스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다 1년 동안 한국어 학당에서 교환학생으로 생활하고 있었다. 동교동에 있는 [[http://naver.me/GK50ih5o|한 골목]]에서 어떤 사람들과 함께 사진을 찍었는데, 그는 돈을 벌려고 한 것이 아닌 자신의 큰 키로 재능 기부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자신이 어렸을 때 [[상의탈의|옷을 벗고 몸을 보여주는 행위]]를 상상하지 못 했으나 지금은 좋은 도전을 하고 있다는 것. 사진을 찍은 한 대학생은 돈이 없어서 원하는 사진을 찍지 못 했음에도 사례자의 도움을 받아서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사례자는 자신의 생각이 다양해서 쉽게 하는 일이 질리자 항상 새로운 일을 하고 싶어서 모델 활동을 하게 되었다[* 정작 그는 자국내에서 모델 활동을 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http://naver.me/FqleAAAJ|의상실]] 관계자도 이 점을 호평했다.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군/행정#마산면|마산면]] 소재 한 농장을 방문해 [[마늘|마늘종]] 수확을 도왔는데,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하기에 손이 많이 간다고 해서 도와준 것이라 밝혔다. 그러면서 인터넷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찾으면 자신이 직접 찾아간다고 밝혔다. 원래 그는 내성적인 면이 강했다. 다른 친구들이 수업 끝나고 밖에 나가서 놀고 있었을 때 사례자는 집에서 게임을 하거나 텔레비전을 많이 봤다. 이후 자신이 행복하게 살려면 성격이 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깨닫고 3년 동안 세계 6개국을 돌아다니면서 봉사활동을 하게 되었다[* 여자 친구도 [[네팔]]에서 봉사활동을 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여행을 가는 동안 만난 사람들이 사례자에게 글을 남기고 가자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어려운 상황들을 많이 극복하면 그런 경험이 쌓이면서 성격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여자 친구와 함께 하우스 작업장에서 [[샤인머스캣]] 줄기를 고정한 다음 호박전과 [[막걸리]]로 식사를 했다. 여자 친구와 함께 [[서교동(서울)|서교동]]에 있는 [[http://naver.me/xzisRpwP|한 의류 매장]]으로 가서 옷을 샀다. 서대문구 창천동에 있는 [[http://naver.me/5EWKoeri|한 건물]]에서 왁스 조각술로 [[반지]]를 만들었는데, [[실링 왁스]]를 다루는 용도로 쓰려고 만들었다 한다. 그의 또 다른 작품은 [[템스강]]을 형상화했다고 하는데, [[https://www.instagram.com/endymion_icarus/|지도자]]는 내국인들이 기술과 완성도에 집중하고 있을 때 사례자는 생각을 많이 한다며 극찬했다. 사례자는 [[팬던트]]를 만들기 위해 더 열심히 집중하고 실수를 저지르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여자친구의 집에서 양념 [[두부]]와 동물성 재료가 없는 [[김치]]를 만들었는데, 이들은 2018년에 서핑 여행을 갔다가 발견한 해양 쓰레기를 보고 심각성을 느껴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치는 고기를 먹지 않기 위해 비건을 실천해왔다고 밝혔다. 식사 이후 사례자가 비자 유효 기간이 끝나는 [[8월]]에 자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나를 따라 영국으로 갈 의향이 있는지 물었다. 사례자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http://naver.me/FJFQSGYc|가문동포구]]에 갔는데, 갑자기 [[기아 봉고|차]]가 오더니 래춘과 반려견이 사례자 앞으로 찾아왔다. 그는 2018년에 카페에서 만나 친구 사이가 되었는데, 래춘은 서울에서 차를 타고 한 달 동안 제주도로 가서 여행을 해보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가 가지고 있는 [[캠핑카]]는 업무 수행을 위해 사무실처럼 쓰이고 있었다 한다. 차를 타고 [[이호동(제주시)|이호동]] [[http://naver.me/FCHyIZDU|이호테우해수욕장]]으로 간 둘이 씨름 시합을 했는데, 래춘이 이겼다[* 이 때 그의 반려견까지 끼어들면서 말 그대로 [[개판]]이 되었다.]. [[http://naver.me/xdIhJuz8|원담 근처]]에서 구멍치기를 했으며, 사례자가 수첩을 펼치자 2019년에 찍은 사진이 나왔다. 저녁이 되자 사례자와 래춘이 라면에 꽃게, 김치, 쥐포까지 넣어서 식사를 했다. 사례자와 여자친구가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에 위치한 여자친구의 아버지 자택을 방문해 [[녹차]] 재배를 체험한 다음 밤에 여자친구를 데리고 자국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섬진강]]변에서 사례자가 여자친구에게 고래 팬던트를 주는 장면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340회 === * 레스[* 부부가 [[2019년]]에 방송된 [[인간극장]]에 출연한 적이 있다.]: 본명은 레슬리 존 팀머만스. 캐나다 출신. [[캘거리]]에서 태어난 그는 일찍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신해서 일을 하기 시작했으며,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2008년]]에 한국으로 건너와서 원어민 교사로 재직했다.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외국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함께 출연한 한 영어 교사와 혼인했다. 출연 당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군/행정#방림면|방림면]] 계촌리에서 살고 있었으며, 맥주 전문점 [[http://naver.me/xWNiIsnF|화이트 크로우 브루잉]]([[https://www.instagram.com/whitecrowbrewing/|인스타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배우자가 [[강릉시]] [[회산동]]에 위치한 [[http://naver.me/xaCbYlt5|한 건물]]에서 초대장을 작성하는 동안 사례자가 반려견과 함께 [[현대 포터|차]]를 타고 사업장으로 갔다. 배우자는 원래 [[영어(교과)|영어 교사]]였으나, [[온라인 개학|비대면 수업]]에 회의감을 느끼자 2022년 3월에 퇴직한 다음 2021년 11월에 폐업한 카페 건물을 매입해서 두 번째 사업장을 운영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화장실을 청소한 다음 의자를 정리했는데, 사례자가 차를 타고 찾아와서 내부를 살펴보다 테이블을 [[참나무]]로 만든 걸 알고 문제를 제기했다. 사례자는 [[물푸레나무]]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크기를 25센티미터로 맞춘 것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배우자는 자택을 마련할 때까지 사업장 2층 한 구석에서 생활할 거라고 한다. 사례자가 자택으로 돌아가자 배우자가 설계도를 살펴봤다. 다음날 아침에 사례자가 자택 주변에 있는 땅을 살펴봤는데, 그는 자국민들에게 2300제곱미터는 큰 편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땅에 비닐을 덮은 다음 [[상추]]를 심었는데, [[채식주의자]]인 배우자를 위해 [[자연인#s-2]]이 되는 것을 택했다고 한다. 배우자가 [[http://naver.me/GVAFcvUU|한 떡집]]으로 가서 떡을 샀을 때 사례자가 사업장에서 [[맥주/종류#s-3.1.1.2|IPA]]를 만들었다. 그는 서울에서 새로운 사업자들이 등장했을 때 사먹은 맥주의 맛이 좋아 평창에서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가 만든 맥주에는 [[메밀]] 성분이 들어가 있으며, 각종 대회에서 상을 받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성에 차지 않은 건지 해외로 유학을 가서 양조 기술을 전수받으려는 계획을 세웠다. 사례자가 차를 타고[* 이 장면에서 지하차도 너머로 보이는 건물이 [[원당역]]이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 위치한 [[http://naver.me/5nbm0dZO|한 물류업체]]를 찾아 자신이 만든 맥주를 납품했으며[* 이 때 물류 업체 직원이 이웃집 찰스 촬영이 진행 중인 사실을 알아차렸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인동에 위치한 [[http://naver.me/5U1GERko|한 음식점]]에도 맥주를 납품한 다음 수제 [[햄버거]]로 식사를 했다. 그는 자신이 만든 맥주가 강원권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만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전했는데, 이유는 [[수동변속기|수동변속차량]]을 다룰 수 있는 직원들이 없어서 자신이 직접 유통해야 했기 때문이다. 배우자가 [[기아 봉고|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와서 방안을 살펴봤더니 반려견들의 분변과 구토가 여기저기에서 발견되었다. 사례자가 이를 처리한 다음 배우자가 주방 용품들을 가지고 강릉으로 돌아갔다. 개업을 4일 앞두고 회산동 사업장에 간판을 달았으나, 심볼을 설치하는 것을 놓고 문제를 일으켰다. 출입구 상단에서 왼쪽으로 치우치기는 했지만 설치한 걸 보면 간신히 타협한 듯. 임시로 영업을 개시하는 날에 배우자가 메뉴판을 인쇄하려고 했는데, [[악성코드]]를 치료하려다 중요한 프로그램까지 지우는 참사가 일어났다. 종업원의 도움을 받아 메뉴판을 인쇄하는데 성공했는데, 이번에는 사례자가 [[떡]]을 [[오리]]로 잘못 알아들었다. 배우자가 12시 30분에 지인들이 찾아올 건데 타이머가 없으니 빨리 사러 가야한다고 하자 사례자가 건물 앞에 나무를 심었고 가스 밸브를 잠그어서 튀김기가 작동하지 않고 거품기가 없어서 숟가락으로 거품을 내는 등 말썽을 일으켰으나 첫날 영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부부가 차를 타고 계촌리에 위치한 [[http://naver.me/xcKxZ0L6|애비로드]]에 가서 사업장 종업원 부부와 펜션 사업주와 함께 사례자 부부의 회산동 사업장 개업을 축하했다. 방송 이후 [[https://program.kbs.co.kr/1tv/culture/bestfriend/pc/board.html?smenu=9725de&bbs_loc=T2021-0575-04-49984,read,,34,1189416|동물 극장 단짝에 출연해서 근황을 알렸다.]] [anchor(레스 근황)]377회에서 근황이 다시 한 번 소개되었다. 2호점을 개업한 뒤에 많은 손님이 찾아왔다는데, 20년 전에 학생이었던 분이 졸업 이후 배우자와 함께 찾아왔고 30년 전에 사귀었던 친구들까지 찾아왔다는 사실을 전했다. 한편, 반려견들 가운데 샘은 친구에게 입양되었고 메리브라운은 2023년 1월 1일에 폐사했음을 밝혔다. 이들은 2023년에 각종 행사를 기획할 예정임을 언급했다. === 341회 === * 루비 옹[* 역대 최고령 사례자 및 두 번째 화교 출신 사례자.]: 한자명은 왕서영. 말레이시아 출신. --[[루비|Ruby]] [[翁]]이 아니다--[* 영문명은 이게 맞고 한자는 [[왕(성씨)|임금 왕]]([[王]])자를 쓴다. 다만, 화교 출신이므로 [[개성 왕씨]]가 아니다. ]--.-- [[1982년]]에 한 한국계 기업으로 들어가서 일하다 만난 한 남성을 만나 [[1984년]]에 혼인했으며[* 정작 사례자의 아버지는 사례자가 한국 남성과 혼인하는 걸 반대했는데, 이유는 그가 [[축빠]]였던데다 [[므르데카컵|메르데카 컵]]에서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자국 선수단]]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 선수단]]에게 진 것을 분하게 여겼기 때문이었다.], [[2005년]]까지 자국과 [[싱가포르]]를 오가면서 살다 한국으로 건너왔다. 출연 당시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자녀로 총 8명을 두고 있었다. 부부가 자택에서 [[스키야키]]를 만든 다음 딸과 함께 식사를 했다. 일가족이 시어머니[* 출연 당시 [[60대 이상#s-6|90대]] 중반이었다.]와 함께 동작구 [[사당동#동작동|동작동]]에 위치한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시아버지 묘소를 참배했는데, 사례자는 시아버지가 자신의 혼인에 반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어머니는 자신의 아들이 사례자와 혼인을 한다는 말에 한 사찰을 찾아 승려에게 따졌더니 승려가 '[[위 아 더 월드|세계가 한 손안에 있는데 국적이 뭐가 중요하냐?]]'는 대답을 했다고 밝혔다. 다음날에 시어머니가 사례자 부부의 집으로 찾아오자 [[미고렝|볶음 쌀국수]]를 만든 다음 식탁보까지 준비해서 함께 식사를 했다. 아침에 자녀의 식사를 준비한 다음 배우자에게 자녀를 맡기고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고양)|백석동]]에 위치한 [[https://heendol.or.kr|흰돌종합사회복지관]]을 찾았다. 그녀는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여 년 동안 수강생들에게 영어를 지도하다 육아를 위해 휴직하고 있었다. 가족을 빼면 자국민이나 제3국 출신들과 관계를 맺어왔던 그녀에게 많은 한국인과 관계를 맺게 된 계기가 되었다. [[고봉동|성석동]]에 위치한 [[http://naver.me/xvEk6Eri|한 커피 전문점]]으로 가서 수강생들을 만났는데, 이들이 사례자를 만나자 [[너무 흥분해서 영어가 나왔네요|영어를 구사하는 기적]]을 보여주었다. 사례자가 집으로 돌아온 뒤에 배우자가 갑자기 [[당구장]]으로 갔는데, 사례자가 배우자에게 전화를 걸었더니 배우자가 함께 식사하자는 말을 하길래 [[한강로|한강로 3가]]에 위치한 [[http://naver.me/FDQjHrn9|한 음식점]]으로 가서 [[우동|냄비우동]]으로 식사를 한 다음[* 이 때 우동[[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이라 쓰고]] [[가락국수]]라 읽는다는 식으로 자막을 표기했는데, 이러한 전통은 [[https://youtu.be/tJsbkLnKKi4?si=9394Q65ga6vktbb-&t=1315|최소 30년 전]]부터 이어졌다. 하지만, 우동과 가락국수는 엄연히 별개의 음식임을 유의한다.]. [[용산동(서울)|용산동 6가]]에 위치한 [[http://naver.me/5dO0AFzx|한 공원]]으로 가서 커피를 마셨다. 일가족이 [[현대 싼타페|차]]를 타고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한 [[http://naver.me/xaCjf6g8|한 사진관]]을 찾았는데, 알고 보니 배우자가 일주일 전부터 리마인드 웨딩을 준비하려고 예약한 것. 기념 사진을 찍은 다음 배우자가 사례자에게 쓴 편지를 읽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342회 === * 말리카[* [[우즈베크어]]로 [[공주]]를 뜻한다. --정작 사는 곳은 [[공주시|공주]]가 아니라 천안이다.--]: 우즈베키스탄 출신. 무남 독녀로 태어난 그녀는 고등학생 때 한국어에 관심을 갖게 되어[* 자국에서 영어를 배우는 사람이 많이 있음에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장학금을 받고 2017년에 한국으로 건너와서 한 학기 동안 학교에 다녔다. 귀국을 앞두고 한 한국 남성[* 사례자보다 18살 많다.]을 만나 사귀게 되었으며, 2019년에 혼인신고를 하고 2022년 4월에 혼인을 했다. 출연 당시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천안)|백석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순천향대학교]]에서 [[순천향대학교/학과#글로벌경영대학|관광경영학]]을 전공하고 있었다. 아침이 되자 배우자가 청소를 한 다음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했으며, 사례자가 일어나서 등교를 준비한 다음 [[현대 쏘나타/6세대|차]]를 타고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위치한 학교로 갔다. 교내에서 학우들과 함께 [[에어로빅]] 시험을 준비한 다음[* [[무용]]을 교양 과목으로 배우고 있었다.] 교수가 들어오자 무용 시범을 진행했다. 교수의 호평을 받은 학생들이 환호했으며, 사례자가 배우자를 만나 함께 집으로 돌아갔다. 오후가 되자 사례자 부부가 어머니[* [[1977년]]생으로 출연 당시 40대 중반이었다.]와 함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한 [[http://naver.me/GsatDfk8|한 양복전문점]]을 방문했는데, 사례자는 자신의 어머니가 사위에게 특별한 선물을 하고 싶어서 양복을 사게 되었다고 밝혔다. 왜 그런가 했더니 [[3월 24일]]에 사례자의 어머니가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사례자의 배우자에게 줄 선물을 잔뜩 가지고 왔다는 것. 저녁이 되자 포도잎으로 돌마를 만든 다음 올리비에 샐러드오 딸기 등을 준비해서 함께 식사를 했다. 사례자는 원래 대학을 졸업하면 자국으로 돌아가서 살 용의가 있었으나 배우자와 혼인하면서 취업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혔는데, 이 때 자국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가사·실업계열|고등학교에서 간호학을 배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미 간호사 자격을 가지고 있어 자국에 있는 병·의원에서 취업할 수도 있었지만, 한국에서 혼인하고 살다 보니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밖에 없었던 것. 얼마 뒤에 사례자의 어머니가 빨래를 걷고 있을 때 사례자가 방에서 자고 있었는데, 배우자가 비대면 시험 내용을 확인한 다음 사례자를 깨워서 시험을 지도했다. 하지만, 교수가 시간 초과를 이유로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보고서를 받아주지 않은 것에 분노해]] 촬영 거부를 선언한데다 배우자가 [[변기]] 물을 내리지 않은 것에도 격분하는 바람에 매우 슬퍼했다[* 우는 모습을 보여줄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녀가 옷장으로 들어가서 이유를 말했는데, 자신이 욕실에 들어갔을 때 갑자기 사례자에 대한 나쁜 말들을 PD에게 한 것은 잘못이었다고 주장했다는 것. 결국 PD가 부부를 격리한 다음 촬영을 중단했다. 1시간 뒤에 부부가 갑자기 차를 타고 어딘가로 가더니 사례자가 [[불당동]]에 있는 [[http://naver.me/xwD1ZFYE|한 상가 앞]]에서 내려 [[http://naver.me/GsatDutj|한 아파트 상가에 있었던]] [[미니스톱/한국|편의점]][* 방영 이후 폐업했다.]으로 갔는데, 알고 보니 2021년 11월부터 이곳에서 아르바이트로 일하고 있었던 것. 배우자가 매장 밖에서 사례자가 일하는 모습을 봤는데, 이유는 자신이 혼자 돈을 벌고 있다 보니 사례자도 등록금을 벌고 싶어서 일을 하게 되었다고[* 이전에 식당과 공장에서도 일한 적이 있었음을 밝혔다.]. 사실, 그녀의 어머니가 아버지의 죽음 이후 사례자와 함께 살아왔고 이 때 그녀가 어머니를 직접 도와줬을 정도로 자신의 목표와 소망을 이룰 수 있었다는 사연이 있었다. 사례자가 일을 하다 시아버지의 전화를 받았는데, 배우자가 정말 잘해줘서 행복한 추억을 쌓고 있다는 말을 했다. 이유야 시부모가 안 좋은 이야기를 들으면 기분이 나쁘니까. 얼마 뒤에 학교로 간 사례자가 졸업을 앞두고 상담사에게 일자리를 논의했더니 상담사가 적성검사 결과 사례자가 원하는 분야와 일치하니 모의 면접을 하자고 제의했다. 사례자가 [[가상현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848371&memberNo=29481007|단말기를 쓰고]] 모의 면접을 진행한 결과 상담사가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며 호평했다. [[동남구]] [[문화동(천안)|문화동]]에 위치한 [[http://naver.me/xxpvlwNc|도시창조두드림센터]] 부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찾아 콜센터 상담사 면접을 진행했다. 오후 5시가 되자 합격했으니 [[5월 10일]]에 센터로 찾아오라는 관계자의 통보를 받았다.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에 있었던 한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시부모를 만나 [[삼겹살]]로 식사를 했다. 5월 10일 아침에 출근할 준비를 마친 사례자가 [[http://naver.me/5mrDyoZQ|버스 정류소]]에서 [[천안 버스 800|노선버스]]를 타고 [[대흥동(천안)|대흥동]] [[천안역]] [[http://naver.me/FPuPpHOC|근방]]에서 내린 다음 문화동에 위치한 [[http://naver.me/5thpRpea|다문화이주민플러스센터]]로 갔다. 팀장의 지도를 받아 일티팟 상담사의 자리에 배정된 사례자는 해외 출신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통역을 해달라는 병원의 의뢰를 받아 우즈베크어로 설명을 진행했다. 사례자가 자신의 포부를 밝히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 343회 === * 데보라[* 방송을 5달 가까이 앞두고 [[노래가 좋아]]에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6-0626&program_id=PS-2021225232-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4§ion_sub_code=02|출연한 경력이 있다.]]]: 미국 출신. 다재다능하고 모험심이 많았던 그녀는 한국에서 온 룸메이트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게 되었고 2018년에 한국으로 건너온 다음 언어교환 모임에서 한 내국인 남성을 만나 사귀다 2019년에 혼인했다. 출연 당시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울)|목동]]에서 살고 있었으며, 강남구 [[삼성동(강남구)|삼성동]]에 위치한 [[http://naver.me/5Rc8QcCJ|월스트리트 잉글리쉬 삼성센터]]에서 원어민 교사로 재직하고 있었다.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할 준비를 한 다음 학원으로 가서 수강생들을 지도했다. 점심시간에 [[어도비 포토샵]]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동료들이 사례자의 작품에 관심을 보였다. 원래 그녀는 [[애니메이션]]을 전공했으나 한국으로 건너와서 초등학교 원어민 교사를 채용한다는 공고를 보고 자원하게 되었다. 배우자가 집에서 청소를 한 다음 기타를 연주했는데, 그는 원래 [[록 음악]]을 좋아하다 [[재즈]]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기타]] 연주도 지도했다고 한다[* 놀라운 사실은 그의 최종 학력이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학부/이과대학#화학과|화학과]]라는 점이다.]. 밤 11시에 사례자가 집으로 돌아오자 배우자가 폐 의약품들을 가지고 와서 보여줬는데, [[2019년]]에 조제한 약[* 해당 약을 조제한 약국은 방영 당시 [[http://naver.me/56YbEXRk|다른 상호]]로 운영하고 있었다.]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을 정도였다. 이유는 자국의 [[의료보험/국가별 현황#s-4|의료보험]] 제도가 열악하기 때문에 아플 때마다 약국에서 약을 직접 사는 걸로 해결했다고. 심지어 사례자가 상추와 커피까지 사온 것에 발끈했다. 부부가 밥에 [[된장|강된장]]과 버터를 비벼서 식사를 했다. 자정이 넘은 시간에 사례자가 동화책에 실을 그림을 그린 다음 새벽 4시가 다 된 시간에 배우자의 2집 음반 표지[* 2022년 [[5월 18일]]에 [[https://vibe.naver.com/album/7560152|발표했다.]]]도 만들었다. 사례자가 [[광진구]] [[화양동]]에 위치한 [[http://naver.me/G0IP3QX6|한 공연장]]으로 가서 배우자가 참여한 공연을 봤으며, 그의 소개를 받은 다음 무대에서 직접 노래를 불렀다. 구로구 [[고척동]]에 위치한 [[https://gclib.sen.go.kr|고척도서관]]으로 가서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을 지도했으며, 수강생들이 케이크와 편지를 준비한 다음 기념 행사를 했다. 부부가 집안을 직접 정비했는데, 배우자가 2018년에 한국으로 돌아와서 자체적으로 음악 연습실을 창업한 적이 있어 배우자도 이를 도와주게 된 것. 마포구 상수동 소재 [[http://naver.me/xNoVFPTl|한 무용학원]]으로 가서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18년#s-3.23|다니엘]]의 배우자를 만나 함꼐 무용을 했다. 주말에 배우자의 부모가 찾아오자 이들이 가지고 온 배추와 고기로 김치와 수육을 만들어서 함께 식사를 했다. 배우자의 어머니가 [[명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사례자를 대상으로 [[운세]]를 보았다. 부부가 마포구 [[창전동(서울)|창전동]]에 있는 [[http://naver.me/IxbiFgN0|한 건물]]로 가서 한 여성을 만난 다음 모의 면접을 실시했다. [[금천구]] [[가산동]]에[* 영상에서는 구로구로 나왔으나, 해당 지역은 [[1995년]]에 금천구 관할로 분리되었다.] [[http://naver.me/5HUmlssv|위치한]] [[https://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OHZnUWdTcCtlZ3graFd6VlcxL01sQT09|한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방문해 면접을 진행했다. 부부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춘천)|서면]] 현암리 [[애니메이션박물관]]으로 가서[* 영상에서 근무했던 학교 바로 옆이라고 나왔지만, 가장 가까운 [[강원애니고등학교|학교]] [[강서중학교|세]] 곳과 직선거리로 1.5킬로미터 안팎이나 떨어진 곳에 있다.] 전시된 작품들을 둘러본 다음 배우자가 사례자에게 노래를 부르는 장면과 [[소양강]]에서 [[오리배]]를 타는 장면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다. [[분류:이웃집 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