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이정범}}}}}}'''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정범감독.jpg|width=100%]]}}}|| || '''출생''' ||[[1971년]] [[9월 21일]] ([age(1971-09-2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 || '''데뷔''' ||2006년 [[영화]] <[[열혈남아(2006)|열혈남아]]> || || '''학력''' ||[[인하대학교]] {{{-2 (영어영문학 / 학사)}}}[br][[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2 (영화과 / 예술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활동 == 2006년 <열혈남아>로 데뷔해, 신인답지 않은 진중한 이야기와 무게감 있는 연출로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이후 <[[아저씨(영화)|아저씨]]>를 연출하며 청불 등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한국영화 중 최다 관객수를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한다. 하지만 후에 연출한 작품들인 [[우는 남자]]와 [[악질경찰(한국 영화)|악질경찰]]은 흥행과 비평에 실패해 아저씨의 아성을 못 넘는 중이다. 그냥 부진한 정도가 아니라 정말 처참하게 망했고 악질경찰은 정말 역대급으로 실패했다. 워낙 초기작들이 평이 좋다보니 전만큼의 기량을 펼치기는 힘들다는 추세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연출 특징 == 느와르 및 액션 등 강한 남성성을 풍기는 영화를 많이 연출하며, 어둡거나 차가운 미장셴과 타격감 있으면서 샤프한 액션 연출, 상당히 [[고어물|고어]]한 연출, 염세적인 소재, 풍자가 섞인 차진 대사가 특징인 감독이다. [[박훈정]]처럼 연출과 각본 모두 고유의 스타일이 존재하면서 잔인한 액션 및 느와르 영화를 내놓지만, 박훈정처럼 기복이 매우 심한 감독이다. 두 감독 모두 2번째로 내놓은 [[아저씨(영화)|작품]][[신세계(영화)|들이]] 최고의 흥행작이자 커리어 최고의 명작이라 불리는 것도 같다. 둘 다 [[청소년 관람불가|청불]] 등급의 흥행작이기도 하고. 샤프하고 차가운 영상미, 뛰어난 액션 시퀀스는 극찬을 받지만, 자극적인 소재 및 장면, 지나치게 올드한 느낌의 홍콩 느와르 감성의 분위기는 혹평이 많은 편이다. 홍콩 느와르의 주인공처럼 진지한 표정을 지으면서 쓸데없이 폼을 잡는 장면이 매 작품마다 나오는데, 아저씨에서는 적었지만 우는 남자에서는 이런 점 때문에 크게 혹평을 받았다. 그리고 액션에서만큼은 극찬받던 [[아저씨(영화)|아저씨]]와 [[우는 남자]]와는 달리 [[악질경찰(한국 영화)|악질경찰]]은 액션에서도 감이 떨어졌다는 평이 우세다. 비슷한 이유로 혹평을 받는 박훈정 감독은 호불호는 갈려도 흥행 실적이 괜찮은 편이어서 커리어 유지가 되는데, 이 감독은 최근 두 작품이 흥행에 실패해서 커리어가 걱정되는 편이다. == 필모그래피 == ||<:><#000000> '''{{{#white 작품명}}}''' ||<:><#000000> '''{{{#white 연도}}}''' ||<:><#000000> '''{{{#white 역할}}}''' || || [[악질경찰(한국 영화)|악질경찰]] || 2019 || 감독,각본 || || [[우는 남자]] || 2014 || 감독,각본 || || '''[[아저씨(영화)|아저씨]]''' || 2010 || 감독,각본 || || [[열혈남아(2006)|열혈남아]]|| 2006 || 감독,각본 ||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1971년 출생]][[분류:인하대학교 출신]][[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