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지방시대위원회|[[파일:지방시대위원회 심볼.svg|width=40]]]] [[지방시대위원회|{{{#043762 '''지방시대위원회'''}}}]] [[지방시대위원회|{{{#043762 '''부위원장'''}}}]]}}} || ||<-5> [[윤석열 정부|{{{#ffffff '''윤석열 정부'''}}}]] || || ''통합''[*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 || → || '''초대[br]이정현''' || → || ''현직'' || || {{{#ffffff '''이정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후보)]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의힘 후보)] ---- [include(틀:새누리당 대표)] ---- [include(틀:새누리당 제4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 [include(틀:역대 홍보수석비서관)] ---- [include(틀:역대 정무수석비서관)]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cfa547 전남}}}]] [[순천시·곡성군|{{{#cfa547 순천시·곡성군}}}]])'''}}} || || 제19대[br][[김선동(1967)|김선동]][* 의원직 상실.] || → || '''제19대[br]이정현''' || → || 선거구 개편[br]'''이정현'''[*A [[순천시]]·[[곡성군]] 선거구 [[제19대 국회의원]] → [[순천시]] 선거구 [[제20대 국회의원]].][br][[정인화]][* [[광양시]]·[[곡성군]]·[[구례군]]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이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cfa547 전남}}}]] [[순천시(선거구)|{{{#cfa547 순천시}}}]])'''}}} || || 선거구 개편[br]'''이정현'''[*A] || → || '''제20대[br]이정현''' || → || 선거구 분구[br][[소병철]][*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이다.][br][[서동용]][*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이다.] || }}} || ||<-2> '''[[홍보수석비서관|{{{#fff 박근혜 정부 제2대 홍보수석비서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2 0%, #003762 20%, #003762 80%, #003762)" '''{{{#ffffff 초대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br]{{{+1 이정현}}}[br]李貞鉉 | Lee Jung-h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137403.jpg|width=100%]]}}} || ||<|2> '''출생''' ||[[1958년]] [[9월 1일]][* 음력 생일일 가능성도 있으며 이 경우 양력으로는 [[10월 13일]]생이다.]([age(1958-09-01)]세)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군/행정|목사동면]] 동암리[* 인근의 신전리에 [[성주 이씨]] 집성촌이 있다.] || || '''본관''' ||[[성주 이씨]][* 문열공파 27세 '''○현(鉉)''' 또는 ○석(錫) 항렬.] || || '''현직'''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 || ||<|6> '''재임기간''' ||[[박근혜 정부]] 초대 [[정무수석비서관]] || ||[[2013년]] [[2월 25일]] ~ [[2013년]] [[6월 3일]] || ||[[박근혜 정부]] 제2대 [[홍보수석비서관]] || ||[[2013년]] [[6월 3일]] ~ [[2014년]] [[6월 7일]] || ||초대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 {{{-2 (차관급[*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이 장관급에 상응하여 부위원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 ||[[2023년]] [[7월 10일]] ~ 현직 || || '''링크''' ||[[https://www.facebook.com/haeguk203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Vh49USJVWNBuvY7AUTnA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haeguk2037|[[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재주[* 李在注. 1931년 12월 26일생. 2017년 3월 6일 사망.], 어머니 장귀옥[* 張貴玉. 1940년 7월 4일생. [[장(성씨)|목천 장씨]](木川 張氏) 장갑수(張甲洙)의 딸이다. 18세에 이정현을 낳았고, 48세에 [[할머니]]가 되었다.] || || '''형제자매''' ||슬하 3남 1녀 중 [[장남]][br]남동생 이양현[* 李洋鉉. 1961년 9월 20일생. [[YTN]] 콘텐츠제작팀 부국장을 역임했다.], 이귀현[* 李貴鉉. 1966년 5월 17일생.], 여동생 이현숙[* 李賢淑. 1964년 4월 16일생.] || || '''배우자''' ||김민경[* 金敏京. 1963년 2월 6일생. [[김해 김씨]]이다.] || || '''자녀''' ||[[딸]] 이소정[* 李昭定. 1988년 4월 18일생.], [[아들]] 이태호[* 李泰昊. 1994년 1월 14일생.] || || '''학력''' ||목사동국민학교 {{{-2 ([[졸업]])}}}[br][[순천주암중학교]] {{{-2 (졸업)}}}[br][[살레시오고등학교]] {{{-2 (졸업)}}}[br][[동국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포병]] [[병장]] 만기전역 || || '''종교''' ||[[개신교]] {{{-2 ([[예장통합]])}}}[* [[예장통합]] 소속인 상도중앙교회 안수집사이다.] || || '''신체''' ||165cm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약력''' ||[[구용상]] 국회의원 비서관[br][[전라남도지사]] 비서실장[br][[민주정의당]] 정책위원회 홍보담당특별위원[br][[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책연구위원[br][[한나라당]] 정책기획팀장[br]한나라당 수석부대변인[br][[제18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 [[한나라당]])}}}[br][[제18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br]제18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br]제18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br]제18대 국회 [[2012 여수 엑스포|2012 여수 세계박람회]] 지원특별위원회 위원[br][[새누리당]] 새만금특별위원회 위원[br][[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유치위원회 위원[br]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회 위원[br]새누리당 정치선진화특별위원회 위원[br]새누리당 쇄신특별위원회 위원[br][[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br]새누리당 [[제18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br]새누리당 최고위원[br][[대통령직인수위원회]] 비서실 정무팀장[br][[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홍보수석비서관]][br][[제19대 국회의원]] {{{-2 (전남 [[순천시(선거구)|순천시·곡성군]] / [[새누리당]])}}}[br]새누리당 최고위원[br][[제19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br]제19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의원]] {{{-2 (전남 [[순천시(선거구)|순천시]] / 새누리당)}}}[br][[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위원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br][[새누리당]] 대표[br]제20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br][[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의힘]] [[전라남도지사]] 후보[br][[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략기획위원장[br]초대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새누리당]] 대표이자 3선 국회의원으로, [[친박]] 중에서도 [[진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이었으며 이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곡성군·순천시 재보궐선거)[* 전임자 [[통합진보당]] [[김선동(1967)|김선동]] 당선 무효.] 및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순천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친박계로 일명 [[박근혜]]의 복심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당대표를 사퇴하고 2017년 1월 16일 새누리당을 탈당하였다. 2022년 2월 9일 약 5년 만에 복당하여 현재는 [[국민의힘]] 소속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에 탈당하고 [[윤석열 정부]] 출범 직전에 복당하여 문재인 전 대통령 임기 5년을 거의 온전히 야인으로 지낸 셈이다.] 한때는 [[새누리당]]의 대표이자 [[김부겸]], [[홍의락]], [[정운천]]과 함께[* 김부겸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홍의락은 더불어민주당 출신 무소속으로 둘 다 대구광역시에서 당선, 정운천은 당시 [[새누리당]] 소속으로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당선되었다.] [[지역주의]] 타파의 아이콘 중 하나였으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함께 산화해 버린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보수 정당의 불모지인 호남에서 무려 재선을 한 후 새누리당 대표까지 맡은 이력'''으로 인해 진영을 막론하고 한국 정치사에 큰 획을 그은 인물로 입방아에 오르내리곤 하는 인물이다. 2022년 2월 9일에 [[국민의힘]]에 복당하였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출마를 선언하여 국민의힘 소속 후보군들과의 단일화를 통해 국민의힘 전라남도지사 후보로 확정되었다. 선거 결과 지역 평판이 매우 좋기로 유명한 [[김영록]] 전남지사를 상대로 기준치 15%를 훌쩍 넘는 '''18.81%'''[* 2000년대 이후 역대 [[전라남도지사]] 선거 '''보수 정당 최고 득표율.''' [[1995년]] [[민주자유당]] [[전석홍]] 후보에 이어 2번째다.]를 득표하여 선거비용 전액 보전을 받기도 했고, 본인의 전 지역구였던 곡성군, 순천시에선 각각 득표율 '''40.97%, 31.98%'''라는 대기록을 세움으로써 호남에서의 이정현 입지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차기 국회의원 선거에서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을 지역 출마가 점쳐지는 중이다. 2023년 7월 10일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 [[/일생|일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정현(정치인)/일생)] == [[/논란 및 비판|논란 및 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정현(정치인)/논란 및 비판)] == 여담 == *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시대에도 [[2G폰]]을 계속 쓰면서 휴대전화를 처음 개통했을 때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5&aid=0003642005|'''018 번호를 그대로 유지해 왔다''']]. 인맥 관리 차원에서 과거 번호를 계속 유지해오고 있다는데, 실제로 2G폰이 도청, 감청이나 해킹당할 위험이 낮아 정치인을 비롯한 국가 고위 공직자 또는 정보기관 직원들은 상당수가 아직도 2G폰을 쓴다. 그러다가 충성문자 사건 때문에 결국 전화번호를 바꿨다. 단, 기존에도 스마트폰을 쓰던 과거 기사 사진이 있었기 때문에 2G폰만 쭉 썼던 건 아니다. 사실 국회의원들은 바쁘고 연락하거나 올 곳이 많은 날이 자주 있는 여건상,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전화번호]]를 여러 개 쓰는 경우가 꽤 있다. * [[박근혜]] 탄핵 소추 표결을 위해 국회로 입장할 때 [[http://www.huffingtonpost.kr/2016/12/09/story_n_13527602.html|장미꽃을 쿨하게 거절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그가 당대표가 되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전만 해도, 정계에선 [[인생의 승리자]]의 예시로 쓰일 만한 정치인으로 남을 뻔했다. 노력이란 개념을 초월한 도전정신도 그렇고, 비주류 중에서도 비주류인 호남 출신 당직자로서 영남 기반 보수정당의 대표까지 올라갔다는 점도 그렇고 고령층 중에선 이런 사태가 일어나자 그에 대해 인간적인 동정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단순히 그가 [[박근혜]]를 잘못 본 것인지, 아니면 그의 인생의 도전이 정말 큰 뜻이 있는 게 아니라 사심 가득한 야망이었던 건지는 진실은 저 너머에. 비주류[* 호남 태생에, 스카이 졸업생도 아니고, 고시(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 출신도 아닌 일반 당직자로 시작하였다. 영남, 고시, 스카이 출신이 주류를 차지하는 보수당에서는 완전히 비주류였다. 물론 이 조건을 갖추었다고 해서 무조건 주류인 것은 아니니 성급한 일반화는 금물인데, 그 대표적 예시인 [[홍준표]]는 창녕군 태생+대구광역시에서의 학창 시절(영남), 고려대 법대 졸업(스카이), 사법시험 패스(고시)의 3박자를 갖췄지만 항상 당내에서 비주류와 독고다이를 자처하고 오로지 '홍준표' 자체의 이름값만으로 현재의 자리에 올랐다.]로 시작하여 제대로 대우도 못 받고 빌빌대고 있는 그에게 유일하게 손을 내밀어 준 사람이 [[박근혜]]였던지라 박근혜에게 충성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결국 오명을 벗을 수는 없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순천시민과 곡성군민 중에는 이정현이 무소속으로 나오면 뽑겠다는 사람이 자주 보인다. 이익을 떠나 지금까지 순천과 곡성에 많은 돈을 이끌고 또 열심히 일을 한지라 이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시선이 많다.] 이후 인터뷰에서, 만일 자신이 박근혜를 배신할 경우 전라도 사람이라 배신했다는 평가를 받을까봐 차마 박근혜를 버리지 못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이후 처음으로 제출한 법안이 '''공직인사 지역차별금지법'''. 이정현 개인으로서도 성과를 보지 않고 단지 개인의 지역 출신에 따른 차별에 한을 크게 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논란이 많은 인물이라서 그렇지 차별을 금지하자는 해당 법의 취지에 대해 공감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 선거 전략이 굉장히 집중적이었다. 유세를 하면 적어도 마을에서 몇시간씩 머물렀으며 잠도 사람들과 같이 자고 식사도 마을 사람들이 스스로 제공해 준 식사를 마을 사람들과 함께 먹으며 소통했다고 한다.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을 요청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인물도 새누리당 비례대표 지지율이 9%, 즉 10%도 되지 않는 순천시 지역에서 스스로 무려 44.5%의 득표를 일궈낸 것은 오랫동안 노력해온 이정현 본인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지역의 지지가 맞다고 답변하였다. 도시와 시골의 선거 전략은 상당히 다른데 이정현은 시골 지역에서 어떻게 선거를 해야 할 지에 대한 전략에 대해 아주 제대로 이해했다고 평가받는다. 실제로 이후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에서도 해당 분석을 했다. * 초기에 선거는 아주 어려웠는데 선거 명함을 받으면 그 자리에서 갈기갈기 찢어서 면전 앞에다가 뿌려버렸다고 한다.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당]] 소속이고 [[친박]]이지만,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긍정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서청원|물론 보수당과 친박 정치인들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5.18을 비하하는 건 아니었다.]]]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새누리당 대표 경선에서 "공수부대 앞에, 탱크 앞에 1만 명도 아니고 10만 명도 아니고 수십만명이 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불의에 대한 항거도 있었지만 인사에, 지역 발전에, 많은 것에 소외받고 있는 (광주광역시) 사람들의 가슴속에 많은 것들이 차곡차곡 쌓이다 보니 어느 순간 탱크도 무섭지 않게 (돼) 그 앞에 서는 비극이 있었던 것"이라고 말해 비판을 조금 받기는 했지만. 같은 당 소속이었던 김무성도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 이는 김무성이 민추협, 상도동계 출신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배경이다.] 그리고 이정현의 고향이 전라남도인 데다가 고등학교를 [[광주광역시]]에서 다녔기 때문에 5.18을 인정하는 것이 이상한 이야기도 아니다. * 지금도 적지 않은 수의 정치 관계자들 및 공무원들은 이정현 전 의원이 논란을 많이 야기한 것은 맞지만 지역을 위해 했던 노력만큼은 컸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본인 소속구뿐 아니라 주변 지역 예산 감축에 굉장히 민감했다고 한다. 때문에 당시 친이계와 고성이 자주 오갔는데, 이정현의 태도가 워낙 강경해서 친이계에서 본인 [[선거구]]와 [[인지도]]를 챙기려고 한다고 비아냥거리면서도 마지못해 물러났다고 한다. 아예 주변 지역 [[시장(공무원)|시장]]과 [[군수]]들도 예산에서 충돌이나 감축이 생길 경우 이정현을 찾아갔을 정도였다. * [[제1포병여단|자신이 옛날에 복무했던 군부대]]를 방문했는데, 저녁에 정신교육 일환으로 강당에서 해당 장병들에게 연설을 했다. 이때 해당 장병들에게 "제가 와서 싫으셨던 분들은 솔직하게 손 들어봐요"라고 말했지만, 당연히 장병들은 손을 들었다간 엄청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을 우려해 그 누구도 손을 들 리가 없었다. 그러자 짜증난 듯한 표정을 지으며 "왜 이렇게 용기가 없어!"라고 장병들에게 일갈한 게 논란이 되었다. * 자신이 소속된 정당에서는 험지로 배치되는 비주류 정치인임에도 [[순천시]]에서 초선도 아니고 무려 재선 의원을 지냈다. 소속 정당의 한계로 인해 [[전라남도지사]] 도전에는 실패[* [[전라남도]]는 [[광주광역시]]와 함께 전국에서 가장 강한 반(反)[[국민의힘]] 지역이다.]했지만 높은 득표율을 얻어 여전히 죽지 않은 이름값을 보였다. * 2020년, [[서울특별시]]로의 [[무소속]] 출마를 내비쳤다. 주변 반응은 당선 안 될 거 같아 도망간다는 분위기. 실제로 [[전라남도지사]] 토론에서도 이 점이 지적되었다. 3% 남짓으로 낙선했는데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지역 여론조사에선 다른 후보에 한참 밀리긴 해도 '''15%'''를 훨씬 넘겼다.]] * [[거위의 꿈]] [[인순이]] 버전을 컬러링으로 사용했다. 호남 출신인 데다가 오랜 세월을 비주류로 살아왔던 그의 정치 인생을 살펴보면 짠한 부분이다. * [[목소리]]가 상당히 굵고 좋은 편이다. * 어느 순간부터인지 탈모가 상당히 심해졌다. * 자가용을 굉장히 늦게 장만했다. 2008년에 2000년식 중고 그랜저 XG를 친구에게서 매입했다고 한다. 이 차는 이정현 전 의원이 개인 승용차 겸 의전차로 사용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141972|#]][* 국회의원에게 운전 기사와 차량 유지비는 1대에 한해서 지원되지만 자가용 자체는 지급되지 않는다. 그래서 의정 활동의 편의를 위해 차가 필요했지만 그에게 돈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중고차를 구입했다고 한다.] * [[천하람]]과 매우 친분이 두터운 사이이다. 비록 대구에서 태어나고 자랐긴 하지만 험지까지 와서 열심히 부딪히는 모습을 보고 젊었을 때의 자신을 느낀 듯 하다. 실제로 자신이 오랫동안 쓰고 다니던 [[밀짚모자]][* 해당 밀짚모자는 과거 이정현이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순천과 곡성 지역에서 선거 유세를 할 때 사용하는 등, 이정현의 상징과도 같은 모자이기도 하다. 이정현은 이 모자를 쓰고 다니며 호남에서 2연속으로 당선된 보수정당 국회의원이 되었다.]를 [[샹크스|천하람에게 물려주었으며,]] 천하람에 대한 공천권을 마음대로 휘두르려 한다면 자신이 가만히 두지 않을 것이라고 새 지도부에 경고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749989?sid=102|#]] * 딸이 흑인 남성과 결혼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과거 과테말라 출신 며느리를 맞이한 [[김종필]]이 연상되기도 하는데 보디빌더 챔피언 출신의 건장한 체격의 회계학 전공 원어민 교사라고 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113500014|#]] * 고향은 곡성군이지만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모두 다른 지역에서 학교를 나왔다. 순서대로 곡성, 순천, 광주, 서울.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4 - 1990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3당 합당|신설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 || 1997 - 2012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3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3 ||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3 - 2017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22 || 탈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 - 현재 || 복당[* [[2022년]] [[2월 9일]] 복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광주 광산 2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686 (10.05%) || 낙선 (2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광주 [[서구 을(광주)|서 을]] ||<|2> [include(틀:한나라당)] || 720 (1.03%) || 낙선 (5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6,421,727 (37.48%)''' || '''당선 (22번)''' || '''초선'''[* 비례대표 당선인 마지막 번호.]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광주 [[서구 을(광주)|서 을]] ||<|3>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8,314 (39.70%) || 낙선 (2위) || [* 소선거구제 도입 후 [[광주광역시]]에 출마한 보수 정당 소속 후보들 중 모든 선거를 통틀어 현재까지 가장 높은 득표율.] || || 2014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9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전남 [[순천시·곡성군|순천·곡성]] || '''60,815 (49.43%)''' ||<|2> '''당선 (1위)''' || '''재선'''[* 전임자 [[김선동(1967)|김선동]] 의원직 상실(총포법 위반).]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순천시(선거구)|순천]] || '''66,981 (44.54%)''' || '''3선'''[* 2017.1.16. 탈당.]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영등포구 을|영등포 을]] || [include(틀:무소속)] || 3,311 (3.53%) || 낙선 (3위) ||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라남도지사]] || [include(틀:국민의힘)] || 167,020 (18.81%) || 낙선 (2위) ||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광주광역시의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17대.jpg|width=1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1회 지선}}}]] [[광산구|{{{#000000,#e5e5e5 (광주 광산구 제2선거구)}}}]]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서구 을(광주)|{{{#000000,#e5e5e5 (광주 서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19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순천곡성.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서구 을(광주)|{{{#000000,#e5e5e5 (광주 서구 을)}}}]]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000000,#e5e5e5 2014년 상반기 재보궐}}}]] [[순천시·곡성군|{{{#000000,#e5e5e5 (전남 순천시·곡성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20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21대.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순천시(선거구)|{{{#000000,#e5e5e5 (전남 순천시)}}}]]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1대 총선}}}]] [[영등포구 을|{{{#000000,#e5e5e5 (서울 영등포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현 전남도지사.jpg|width=100%]]}}}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8회 지선}}}]] [[전라남도지사|{{{#000000,#fff (전라남도지사)}}}]]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include(틀:한나라당 제18대 국회 비례대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무소속)]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정현, version=343)]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8년 출생]][[분류:곡성군 출신 인물]][[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분류:정무수석비서관]][[분류:홍보수석비서관]][[분류:새누리당 대표]][[분류: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성주 이씨]][[분류:살레시오고등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인터넷 밈/정치인/대한민국]][[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