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324호}}}]]''' || ||<-2> {{{#fff {{{+1 '''이제 개국공신교서'''}}}[br]{{{-1 李濟 開國功臣敎書}}}}}}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진주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 || '''{{{#fff 수량/면적}}}''' || 1축 || || '''{{{#fff 지정연도}}}''' || 2018년 6월 27일 || || '''{{{#fff 제작시기}}}''' || 1392년([[태조(조선)|태조]] 1) || [[파일:이제 개국공신교서.png|width=527]] [목차] [clearfix] == 개요 == 李濟 開國功臣敎書. [[조선]] [[태조(조선)|태조]] 원년인 1392년에 건국왕 [[이성계]]가 조선의 [[개국공신|개국일등공신]]인 [[이제(조선)|이제]](李濟)에게 직접 내린 공신교서. 이제 개국공신교서는 본래 개인 소장 문화재이지만 원 소유주가 이를 국립진주박물관에 기탁하면서, 현재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18년 6월 27일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324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1392년 10월에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을 세운 이제에게 내린 공신교서로, 교서란 국왕이 발표하는 문서로 조서(詔書)라고도 한다.[* 정확히 말하면 조서와 교서는 다르다. 조서는 황제국의 격식이고 교서는 제후국의 격식이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개국원종공신녹권]]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공신(正功臣)에게는 교서와 녹권(錄券)을 주고, 원종공신(原從功臣)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따라서 교서는 녹권에 비해 그 위상이 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을 개국한 공신의 교서로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우리나라 포훈양식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1999년 6월 19일에 대한민국 보물 제1294호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 6월 27일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국보로 승격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8&aid=0004135552|이데일리 : ‘이제 개국공신교서’ 국보 지정… 간송 컬렉션 등 보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6&aid=0010591473|KBS : 조선 최초 공신교서 ‘이제 개국공신교서’ 국보 승격]]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이제_개국공신교서|한국어 위키백과 : 이제 개국공신교서]]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5920&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이제 개국공신교서]]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755&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이제 개국공신 교서]] == 국보 제324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3240000,38&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이제 개국공신교서 (李濟 開國功臣敎書)]] >‘이제 개국공신교서’는 1392년(태조 1) 태조 이성계가 조선 개국 일등공신 이제(李濟, ?~1398)에게 내린 공신교서이다. 이제는 태조 계비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따님 경순궁주(慶順宮主)와 혼인한 뒤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을 개국하는 데 큰 역할을 해서 개국공신 1등에 기록된 인물이다. > >교서는 국왕이 직접 신하에게 내리는 문서로서, 공신도감(功臣都監)이 국왕의 명에 의해 발급한 녹권(錄券)에 비해 위상이 높다. 조선 초기 개국공신녹권으로는 국보 제232호 ‘이화 개국공신녹권(李和 開國功臣錄券)’ 등 8점이 전하고 있으나 개국공신교서로 알려진 사례는 ‘이제 개국공신교서’가 유일하다. > >교서에는 이제가 다른 신하들과 대의(大意)를 세워 조선 창업이라는 큰 공을 세우게 된 과정과 가문과 친인척에 내린 포상 내역 등이 기록되어 있다. 끝 부분에는 발급 일자와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어보(御寶)가 찍혀 있다. 이 어보는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에서 내려준 고려왕의 어보로서 조선 개국 초까지 고려 인장을 계속 사용한 사실을 알 수 있다. > >이처럼 ‘이제 개국공신교서’는 조선 최초로 발급된 공신교서이자 현재 실물이 공개되어 전하는 유일한 공신교서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제도사․법제사 연구의 중요 자료이다. 또한 서예사적 측면에서도 고려 말~조선 초 서예사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A%B0%9C%EA%B5%AD%EA%B3%B5%EC%8B%A0&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11&ccbaAsno=03240000&ccbaCtcd=38&ccbaCpno=111380324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A%B0%9C%EA%B5%AD%EA%B3%B5%EC%8B%A0|문화재청 홈페이지 : 이제개국공신교서 (李濟開國功臣敎書)]] (보물 제1294호일 때의 과거 설명) >조선 태조 원년(1392) 10월에 이성계가 배극렴, 조준 등과 더불어 나라를 세우는데 공을 세운 이제(?∼1398)에게 내린 공신교서이다. > >이제는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고려시대 고위관료의 자제들에게 시험없이 벼슬을 내리던 음직으로 관직을 시작했다. 이성계의 셋째딸인 경순공주와 결혼하였으며, 태조 2년(1393) 우군절제사에 올랐지만 태조 7년(1398)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일파로 몰려 이방원에게 살해당했다. > >개국공신교서로서 현재까지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며, 최초의 공신교서의 형식을 알려주는 귀중한 문서로 평가된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조선의 고문서]][[분류:국립진주박물관 소장품]][[분류:진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