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이제동)]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제동]]의 연도별 개인리그 기록. == 요약 == * 개인리그 상부 중심으로 서술하였음 * 연도 기준이 아닌 시즌 기준. 2006년 * [[곰TV MSL 시즌1]] : 16강에서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과 --[[마레기]]--에게 연패하며 탈락 2007년 * [[EVER 스타리그 2007]] : [[송병구]]를 잡고 '''양대 개인 리그 첫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 [[박카스 스타리그 2008]] : 8강에서 [[이영호]]에게 1:2로 패하며 탈락. * [[곰TV MSL 시즌4]] : [[김구현#s-1]]을 잡고 '''양대 개인 리그 통산 2회 [[우승]].''' 2008년 * [[아레나 MSL]] : [[박지수(프로게이머)|정벅자]]에게 0:3으로 [[정ㅋ벅ㅋ]]당하며 준우승. * [[EVER 스타리그 2008]] : 24강(사실상 듀얼토너먼트)에서 [[한동욱]]과 [[손찬웅]]에게 연패하며 탈락. * [[곰TV클래식|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 결승에서 [[이영호]]를 3:0 [[셧아웃]]으로 제압하며 [[우승]]. * [[클럽데이 온라인 MSL]] : 16강에서 [[윤용태]]에게 1:2로 패하며 탈락. * [[바투 스타리그]]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리버스 스윕]]으로 잡고 '''양대 개인 리그 통산 3회 [[우승]].''' * [[로스트사가 MSL 2009]] : 32강에서 [[진영수|진조작]]에게 패, [[이성은]]에게 승, [[이영호]]에게 패하며 탈락. 2009년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박명수(1987)|박치킨]]을 3:0으로 잡고 [[스타리그]] 역대 최단 기간 '''[[골든마우스]] 획득 및 개인 리그 통산 4회 [[우승]].''' * [[아발론 MSL 2009]] : 4강에서 [[김윤환(1989)|김윤환]]에게 1:3으로 탈락. * [[EVER 스타리그 2009]] : 8강에서 [[이영호]]에게 0:2로 패하며 탈락. * [[WCG]] 2009 그랜드 파이널 [[브루드 워]] 부문 : 결승에서 [[송병구]]를 제압하며 [[금메달]]. * [[NATE MSL]] : [[이영호]]에게 3:1로 승리하며 '''양대 개인 리그 통산 5회 [[우승]].'''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 36강에서 [[전태양]]에게 0:2로 패하며 탈락. * [[하나대투증권 MSL]] : [[이영호]]에게 0:3으로 패하며 준우승. * [[빅파일 MSL]] : [[이영호]]에게 2:3으로 패하며 준우승.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 [[이영호]]에게 1:3으로 패하며 준우승.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 16강에서 [[구성훈]]에게 지고, [[김윤환#s-1]]에겐 이겼으나,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에게 지면서 1승 2패로 탈락. * [[피디팝 MSL]]: 4강에서 [[신동원]]에게 2:3으로 패하며 탈락 2011년 * [[ABC마트 MSL]] : 4강에서 [[김명운]]에게 1:3으로 패하며 탈락[* 2연속 저저전 패배로 인한 [[MSL]] 결승 진출 실패.]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16강에서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에게 승리했으나 [[박재혁(1987)|박재혁]], [[신대근]]에게 패하여 1승 2패로 탈락. 2012년 * [[2012 HOT6 GSL Season 4]] 코드 S : 32강에서 [[장민철]], 이정훈에게 각각 0:2, 1:2로 패하며 코드 A 1차전으로 강등, 코드 A 1차전에서 [[김경덕]]에게 0:2로 패배하며 [[코드 B]] 강등 ~~SAB제동~~ * [[2012 HOT6 GSL Season 5]] : 코드 B 통과. 2013년 * [[드림핵|DreamHack Open: Stockholm]] : 4강. 요한 루세시에 패. * [[드림핵|DreamHack Open Summer]] : 결승에서 손석희에 패하며 [[준우승]]. * [[드림핵|DreamHack Open: Valencia]] : 결승에서 고석현에 패하며 [[준우승]]. * [[2013 WCS America Season 2]] : 결승에서 최성훈에 패하며 [[준우승]]. * [[2013 WCS Season 2 Finals]] : 결승에서 최지성에 패하며 [[준우승]]. * [[2013 WCS Global Finals]] : 결승에서 김유진에 패하며 [[준우승]]. * [[2013년|2013]] [[ASUS ROG]] Tournament - NorthCon : [[사샤 호스틴|Scarlett]]를 4:2로 제압하며 [[스2]] 프리미어 대회 첫 [[우승]]. 2014년 * [[2014년|2014]] Lone Star Clash 3 :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을 4:2로 꺾으며 [[스2]] [[WCS]] 글로벌 대회 첫 [[우승]]. * [[2014년|2014]] World E-sport Championships : [[얀스 오스골드|Snute]]를 꺾고 [[스2]] 프리미어 대회 2회 [[우승]]. [[브루드 워]] 양대 개인 리그 기록을 살펴보면,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을 1회 더 했지만, [[MSL]]에서 훨씬 꾸준했던 것이 특징이다. 이는 [[MSL]]에서는 준우승을 1회 더 했지만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훨씬 꾸준했던 [[홍진호]]와는 대비되는 특징이다. == 2006년 == 2006년 부로 팀의 프로리그 선전 이후 개인리그 등에도 출전하기 시작. 특히 [[테란]] 유저에게 악몽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항상 마지막에는 테란에게 번번히 발목이 잡혔다. 2006년 신인 시절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박영민(1984)|박영민]], [[최연성]], [[윤용태]]를 잡고 [[MSL]]에 진출했었으나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와 ~~[[마재윤]]~~에게 패하며 [[광탈]]했다.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추가선발전 최종전까지 [[서지수(프로게이머)|서지수]], [[전태규]], 마재윤을 이기고 올라갔지만 [[박명수(1987)|박명수]]에게 0:2 패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진출이 걸린 [[듀얼 토너먼트]]에도 진출했었으나, 여기서도 ~~마재윤~~과 [[한동욱]]에게 패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 [[이제동/개인리그/2007년|2007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07년)] == [[이제동/개인리그/2008년|2008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08년)] == [[이제동/개인리그/2009년|2009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09년)] == [[이제동/개인리그/2010년|2010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10년)] == [[이제동/개인리그/2011년|2011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11년)] == [[이제동/개인리그/2012년|2012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12년)] == [[이제동/개인리그/2013년|2013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13년)] == [[이제동/개인리그/2014년|2014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제동/개인리그/2014년)] == 2015년 == 2015 WCS 글로벌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2015년 12월 29일, 3년만에 코드 A 예선장에 모습을 드러냈고, 코드 A 예선을 통과했다. == 2016년 == 2016년 2월 3일에 [[2016 GSL Season 1]] Code A에서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과 경기를 가졌다. 1, 2세트를 무난하게 빌드 싸움으로 이겼지만 이후 연달아 짐으로써 코드 S 진출은 다음 기회로 미루게 되었다. 이후 [[2016 GSL Season 2]], [[2016 SSL Season 2]]에 모두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11월 2일, [[이제동]]은 은퇴를 선언하면서 10년 간의 길었던 프로게이머 현역 생활을 마무리 지었다. [각주] [[분류:이제동/개인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