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이제동/프로리그)] 2009년 3월 22일,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8-09 플레이오프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와의 경기에서 [[이제동]]은 팀에 1승만 맡기는 것도 불안했는지 끝내 대장 [[이영호]]까지 제압하며 [[포스트시즌]] 최초 '''선봉올킬'''을 달성, 화승 오즈를 결승전에 --[[멱살]] 잡은 채 끌어-- 올려 놓았다. 이후 3월 28일 [[위너스 리그#s-4.1|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8-09]] 결승전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경기에서 또 다시 선봉으로 나온 [[이제동]]은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변형태]], --[[마재윤|마모씨]]--까지 차례로 압살하며 3:0 세트 스코어를 기록, 소속팀 [[화승 오즈]]의 위너스 리그 첫 [[우승]]에 '''단 1승만을 남겨 두었다'''. 4세트에서 조병세를 만나 [[5드론]]을 갈기며 팀원들에게 뒤를 맡긴 채 내려온 [[이제동]]은.... 이후 아무도 '''단 1승을 해주지 못해서''' 귀신같이 3:4 역전패를 당하며 [[준우승]]을 하였다. 당시 신예였던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에게 [[역올킬]]을 내주고 '''딱 1승이 모자라''' 코 앞에서 우승을 놓친 청년 가장 '''[[이제동]]의 표정은 차마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듯 보였다'''. --[[1승만 해달라고 스막 시발들아]]!--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결승전에선 이틀 간 3연패를 하면서 팀이 또 준우승을 하는 데에 일등 공신(?)이 되어 버렸다. 자세한 내용은 [[광삼패]] 참조. 이후 시즌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7.18|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으로 바뀐 때인 10월 14일, [[김구현]]을 잡아냈으나 팀은 졌고, 10월 19일 [[웅진 스타즈]]와의 경기에서 [[김명운]]에게 졌으나, [[에이스 결정전]]에서 김명운을 다시 만나 복수에 성공했다. 이제동은 이후 [[콩라인]]을 받아 3연준을 하게 되고, 그가 속한 [[화승 오즈]]는 09-10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한다. 자세한 것은 [[이제동/프로리그/2010년]] 문서 참조. 10월 31일에는 [[공군 ACE]]와 맞붙어서 [[홍진호]]를 이겼는데, 팀은 에결 끝에 화승이 공군을 상대로 처음으로 패했다. 다만, 결과보다도 이 날은 홍진호의 [[생일]]이었는데, 홍진호의 생일날 이제동이 썸다운 세레머니를 해서 당시 스갤에서 엄청나게 까였다. 1주일 뒤인 11월 7일에는 2경기에서 [[차명환]]을 잡고 에결에서 [[박동수(프로게이머)|박동수]]를 잡아내며 하루 2승을 거두며 어느샌가 다승 1위가 되었다. 11월 10일에는 [[MBC GAME HERO]]의 [[김동현(스타크래프트)|김동현]]을 상대로 패하였으나, 11월 23일에 [[eSTRO]]와 경기에서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11월 30일에는 [[에결]]에서 [[김정우(프로게이머)|매정우]]를 잡아냈다. 12월 6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과의 경기에서 [[벙커링]]을 시도한 [[고인규]]를 상대로 [[테란]] 본진까지 드론 러쉬를 가는 대담한 판단과 행동력을 보이며 승리하여 3:0으로 마무리했다. 12월 13일 [[위메이드 폭스]]와의 경기에서 [[신노열]]을 2번 잡아내며 팀이 이기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월 16일에는 [[민찬기]]를 접전 끝에 잡아내며 2009년 1년 동안 무려 '''100승'''을 하게 되었다. 참고로 2009년 다승 2위는 [[김택용]]인데, 76승이다. 무려 20승 이상 차이가 난다. 12월 21일 [[하이트 스파키즈]]와의 경기에서는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을 잡아냈다. 12월 26일에는 [[진영화]]도 잡아내었다. 하지만 12월 29일에 [[염보성]]과의 경기에서는 진출하는 테란의 바이오닉 병력을 보고서도 앞마당에 성큰을 짓지 않고 저글링만으로 막는 무리수를 두다가 패하면서 연승이 끊어졌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제동/프로리그,version=232)] [각주] [[분류:이제동/프로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