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중앙 정치 기구)] [목차] == 개요 == 이조(吏曹)는 [[조선시대]]의 중앙 [[행정기관]]인 [[육조]]의 으뜸으로 천관(天官)이라고도 한다. [[문관]]의 [[인사(직무)|인사]] 및 [[인사고과]]와 [[작위]] 및 [[상훈법|상훈]] 등의 업무를 맡았다. 일반 [[행정]]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장관]]은 정2품 [[판서]]이다. 오늘날 [[인사혁신처]], [[행정안전부]] 등에 해당한다. 관청은 현대의 [[세종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자리에 있었다. == 연혁 == [[고려시대]]에는 [[상서성]]의 상서이부(尙書吏部)였다가 [[원 간섭기]]에 [[상서성#상서예부|상서예부]]와 통합되어 전리사(典理司)가 되었다. 간섭 탈피 후 이부가 되었다가 전리사와 이부를 반복하였다. 이때 예부는 예의사(禮儀司)로 독립했다. [[공양왕]] 대에 이조로 바뀌어 곧바로 조선으로 이어졌다. == [[직제|조직]] == || '''『[[경국대전|{{{#F0AD73 경국대전}}}]]』[br]{{{-2 [[1485년|{{{#F0AD73 1485년}}}]]([[성종(조선)|{{{#F0AD73 성종}}}]] 16)}}}'''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구분''' || '''[[산계#조선|{{{#F0AD73 품계}}}]]''' || '''[[관직|{{{#F0AD73 관직}}}]]''' || '''[[정원(동음이의어)#s-2|{{{#F0AD73 정원}}}]]''' || '''비고''' || ||<|3> [[당상관|{{{#373A3C,#DDD 당상}}}]][br]{{{-2 堂上}}} || 정2품 || [[이조판서|{{{#373A3C,#DDD 판서}}}]]^^判書^^ || 1 || 오늘날의 [[장관]] || || 종2품 || 참판^^參判^^ || 1 || 오늘날의 [[차관]]급 || || 정3품 || 참의^^參議^^ || 1 || 오늘날의 차관보급 || ||<-5> '''문선사^^文選司^^ / 고훈사^^考勳司^^ / 고공사^^考功司^^''' || ||<|2> [[낭청|{{{#373A3C,#DDD 낭관}}}]][br]{{{-2 郎官}}} || 정5품 || 정랑^^正郞^^ || 3 || 오늘날의 [[국장(직위)|국장]]급 || || 정6품 || 좌랑^^佐郞^^ || 3 || 오늘날의 [[과장#s-2.2.2]]급 || ||<|2><-2> [[아전#s-2.3|{{{#373A3C,#DDD 아전}}}]][br]{{{-2 衙前}}} || [[아전#s-2.3|{{{#373A3C,#DDD 녹사}}}]]^^錄事^^ || 8 || 오늘날의 [[주무관]]급[br]판서, 참판 직속 1명씩 2명[br]그 외 6명 || || [[아전#s-2.3|{{{#373A3C,#DDD 서리}}}]]^^書吏^^ || 21 || 오늘날의 [[공무직]]급[br]판서, 참판, 참의 직속 1명씩 3명[br]그 외 18명 ||}}}}}}}}} || * 문선사(文選司) - [[인사(직무)|인사]] 담당 부서 [[문관]], [[종친]], 잡직(雜職) 등의 [[인사(직무)|인사]], [[고신]] 등의 업무를 맡았다. * 고훈사(考勳司) - [[상훈법|상훈]] 담당 부서 고위 관료, [[공신]], 종친의 [[작위]], [[추증]], [[시호]] 등의 업무를 맡았다. * 고공사(考功司) - [[인사고과]] 담당 부서 문관의 [[인사고과]], [[근태]], [[휴가]]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산하#s-2]] 기관 == * 충익부(忠翊府) - 원종공신 담당 기관이다. * [[내시부]] - [[내시#s-1.2.2]] 담당 기관 내시의 관리, 궁중의 식사 감독, 방어, 청소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상서원(尙瑞院) - [[관인]] 담당 기관 임금의 [[옥새]], 관리들의 병부(兵符)와 같은 [[도장(도구)|도장]], 부패(符牌), 절월(節鉞) 등 각종 증명 관련 업무를 맡았다. 시기에 따라 상서사(尙瑞司)라고 불리기도 했다. 전신은 고려 [[무신정권]] 시기에 설치된 [[인사(직무)|인사]] 담당 기관인 [[정방]]이다. 직무 특성상 결재에 필요한 관인들을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 초기 [[육조직계제]] 시행으로 인사 직무가 이조로 완전히 이관되면서 관인 관리 기능만 남았다. 기관장인 정(正)은 [[승정원]] 도승지가 겸임했다. * 종부시(宗簿寺) - [[종친]] 관리 기관 [[왕실]] [[족보]]의 편집과 기록, 종실의 조사와 규탄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사옹원]](司饔院) - [[궁중음식]] 담당 기관 [[수라#s-2]] 등의 업무를 맡았다. * [[내수사]] - 왕실 재산 관리 기관 왕실의 [[쌀]], [[삼(식물)|베]], 잡화, [[노비]]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액정서(掖庭署) - 왕실 비품 관리 기관 왕명의 전달과 [[알현]], 왕이 쓰는 [[붓]]과 [[벼루]]와 같은 [[문구]]의 공급, 궁궐의 [[자물쇠]]와 [[열쇠]]나 [[정원]]의 관리, 각종 의식 때 왕의 시위(侍衛) 및 배종(陪從), 향안(香案) 및 표안(表案) 및 보안(寶案)과 같은 [[의례]] 및 사무용 [[가구]] 관리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이조판서]] 목록 == {{{#!folding [ 이조판서 목록 펼치기 ] [[이조판서]]는 요직 중의 요직이었므로 권신들이 많이 차지하기도 했다. * [[노론]] 4대신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조선)|이건명]], [[조태채]] * [[소론]] 5대신 중에서도 [[조태구]], 최석항, 유봉휘, [[이광좌]] *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자 [[숙종(조선)|숙종]]의 작은 처남이자 [[영조]] 때 노론의 영수인 [[민진원]] * [[숙종(조선)|숙종]] 때 수학자인 [[최석정]] * [[인현왕후]]의 백부인 민정중 * 산림의 영수인 [[송시열]]과 [[송준길]] * 척화파의 대표 주자인 [[김상헌(조선)|김상헌]]과 주화파의 대표 주자인 [[최명길(조선)|최명길]] * 척화파 김상헌의 동생인 [[김상용]] * 송시열의 수제자인 [[김수항]] * 훈구파의 창업 멤버인 [[한명회]]와 훈구파의 영수 [[정창손]] * 뛰어난 학자인 [[서거정]]과 강희맹 * [[세종대왕|세종]] 때의 기술관료이자 [[수양대군|세조]]의 사돈이고 [[자을산군|성종]] 때의 국가원로인 [[정인지]] * [[세조(조선)|세조]] 때 청백리인 [[구치관]] * [[영조]] 때 노론의 영수인 정호, 이관명, 홍치중 * [[진성대군|중종]] 때 명신인 [[정광필]] * [[봉림대군|효종]], [[현종(조선)|현종]]의 신임을 받은 [[정태화]], [[이경석]] * 대동법을 확장시킨 [[김육]] * [[서인]] 산당의 영수이자 송시열, 송준길의 스승이고 김장생의 아들인 [[김집]] * [[대동법]]에 앞장선 [[이시백]] * 서인의 핵심 영수인 심지원 * 오성과 한음으로 알려진 [[이항복]]과 [[이덕형]] * 대동법을 창조한 [[이원익]] * [[안동 김씨]] 세도정치를 연 장본인인 [[김조순]]과 김희순, 김달순, 김문순, 김이교, 김이재, 김유근, 김홍근, 김흥근, [[김좌근]], 김수근, 김보근, 그리고 김병기, [[김병학]], 김병교, [[김병국]], 김병덕, [[김병시]] * [[풍양 조씨]]의 중심인물인 [[조만영]], [[조인영]], 조병현, [[조성하]], [[조영하]], 조경하 * [[여흥 민씨]] 세도가 민규호, [[민태호]], [[민겸호]], 민치상, 민영목, [[민응식]], [[민영익]], 민영상, [[민영휘]], [[민영준]], [[민영규]], [[민영환]] * 훈구파 학자였던 [[홍귀달]] * [[무오사화]] 때 실록청 당상관이던 [[이극돈]] * 현종의 처백부이자 [[명성왕후]]의 백부, 그리고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 * 정치공작의 달인인 [[김석주]] * [[정현왕후]]의 친척인 조사석 * 숙종 때 남인 청남의 영수이자 송시열의 라이벌인 [[윤휴]] * 효종, 현종, 숙종 때 남인 핵심 대신인 이원정 * [[인평대군]]의 인척인 오시수 * 남인의 핵심인물인 목내선 * 서인 핵심 중진인 이정영 *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과 연산군의 장인인 신승선 * [[강희맹]]의 아들인 강귀손 * 연산군에게 직언을 한 허침과 성종의 신임을 받은 [[허종(조선)|허종]] 형제 * [[정현왕후]]의 인척인 [[윤필상]] * 훈구파의 영수이자 중진이던 [[노사신]] *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무관 출신의 어유소 * 훈구파의 중진이자 대학자인 이승소 * 훈구파 계열의 대학자인 [[홍귀달]] *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인 [[홍봉한]]과 숙부인 홍인한 * 반정 3대장 중에 [[성희안]], [[유순정]] * [[신숙주]]의 손자인 신용개 * 조선사 최강의 권신인 [[김안로]] * 김안로의 측근인 장순손, 한효원, 김근사 * 중종 때 권신이자 학자인 [[남곤]] * 중종 때 권신인 [[심정]], [[이행]], 이항, 김극핍 * [[진성대군|중종]] 때 조광조를 추천한 안당 * [[황진이]]와의 일화로 유명한 소세양 * [[경원대군|명종]] 때 국가원로였던 홍언필, 윤인경 * 굽은 소나무 청백리로 유명한 김수동 * 중종 때 대학자인 성세창 * 영남 유림의 영수 [[이언적]] * 명종 때 청백리이자 국가원로인 상진 * [[경원대군|명종]], 선조 초기에 원상인 [[이준경]] * [[신숙주]]의 증손인 신광한 * 선조 초기에 국가원로였던 홍섬, 이탁 * 명장 [[권율]]의 아버지인 권철 * 선조 때 동인의 영수인 노수신 * 선조 때 서인의 영수인 박순 * 대북의 영수임에도 [[인목왕후]] 폐위에 반대한 [[기자헌]] * [[선조(조선)|선조]] 말기의 권력실세인 [[유영경]], 허욱, 한응인 * 선조, 광해군, 인조 때 대학자이자 명신인 [[이정구]] * 선조의 고명대신이자 인조 때 국가원로인 신흠, [[오윤겸]] * [[민회빈 강씨]]의 아버지인 강석기 * [[인조반정]]의 핵심공신인 [[김류]], [[이귀]] * [[인선왕후]] 장씨의 아버지이자 [[봉림대군|효종]]의 장인인 [[장유(조선)]] * 김상헌의 형인 [[김상용]] * 효종 때 서인의 영수인 이후원 * [[현종(조선)|현종]] 때 서인 한당 영수인 홍명하 * [[숙종(조선)|숙종]] 때 서인 중진인 남용익 * [[서인]] 산당 중진인 조복양 * [[김조순]]의 절친인 남공철, 이상황, 심상규 * [[송시열]]의 수제자이자 송규렴의 아들인 송상기 * 권상하의 동생인 권상유 * 송시열의 핵심 수제자인 권상하 * 송시열의 수제자였지만 정적으로 돌아선 [[윤증]] * 사변록의 저자인 [[박세당]] * [[정희왕후]]의 인척인 한계미, 한계희, 한계순 형제 * [[박원종]]의 아버지인 박중선 * [[소헌왕후]]의 아버지인 [[심온]] *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은 명재상인 [[황희(조선)|황희]], [[맹사성]] * 꼬장꼬장하기로 유명한 재상 [[허조]] * [[소론]]의 재야영수인 [[박세채]] * [[연산군]] 초기에 국가원로였던 [[이극배]] * [[갑자사화]]에 억울하게 연루된 성준, 이극균 * 정희왕후의 인척인 성봉조 * 훈구파의 중진, 영수이자 정희왕후의 측근인 홍응 * [[임진왜란]] 때 나라를 살리는 데 큰 공을 세운 [[유성룡]] * [[이순신]]을 구명한 [[정탁]] * [[인조]]의 외조부인 구사맹 *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 * [[인종(조선)|인종]] 때 대윤의 핵심인 유관, 유인숙 * [[경원대군|명종]] 때 권신이자 외척인 [[이량]] * [[인순왕후]]의 처숙부인 심통원 * [[정태화]]의 동생인 정치화 * [[민암]]의 측근이자 남인 탁남의 중진인 유명천, 유명현 형제 * [[기사환국]] 이후 남인의 원로였던 이관징 * 남인계의 핵심 원로실세였던 심재 * 숙종 초에 탁남의 영수인 민희, 민점 * 숙종 초에 청남의 거두였던 홍우원 * 중종 때 권신인 권균 * [[을사사화]]를 일으킨 임백령 * [[김장생]]의 손자이자 [[김만기(조선)|김만기]], [[김만중]]의 숙부인 김익희 * 서인 노론 중진인 홍처량 * [[이건명(조선)|이건명]], 이관명의 아버지인 이민서 * 서인 소론 중진인 박태상 * 민암의 측근이자 남인의 핵심 중진이자 행동대장인 오시복 * 송시열의 수제자이자 서인의 핵심인물인 이숙, 이익 * 송시열의 강력한 수제자인 이단하 * 김조순의 후원자인 김재찬, 서매수, 이시수, 한용귀, 김사목 * 정조의 총애를 받은 이서구 *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 김씨]]의 오빠 김관주 * 영조 후기에 노론의 영수였던 김상복, 한익모, 신회, 김양택, 이사관 * 벽파의 영수인 김종수, 심환지, 유언호, 윤시동 * 노론 탕평당의 영수인 김상로, 신만 * 영조 중반기에 노론의 영수이자 중진인 김약로, 김취로 형제 * 균역법을 제안한 [[홍계희]] * [[김정희]]의 아버지인 김노경 * 김정희의 친구인 권돈인 * 김조순의 절친이자 순조 때 권력실세인 임한호 * 민진후의 증손자인 민종현 * 영조 중반기 소론의 영수인 [[이종성(조선)|이종성]] * 영조 초반기 소론의 영수인 이태좌 * [[희빈 장씨]] 모친의 가마 궁궐 출입을 불허한 이익수 * 명종 때 재상을 지낸 윤개 * 정조의 최측근인 정민시 * 정조의 초계문신인 서유린, 서유방 *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초가 되는 김이소 * [[풍산 홍씨]] 외척인 홍낙성, 홍낙명, 홍양호 * [[홍국영]]의 숙부인 홍낙순 * [[순조]]와 [[헌종(조선)|헌종]] 때 척신인 홍석주, 박종훈 * 순조 때 시파 중진으로 활동한 이만수 * [[철종(조선)|철종]] 때 원로대신인 이헌구, 김도희, 박회수 * 헌종의 측근으로 청렴결백했던 이지연 * 헌종, 철종 때 [[김대건 신부]]를 죽이고 안동김씨 세력과 대립했던 권돈인 * [[고종황제|고종]] 때 원로대신인 신응조 * [[송시열]]의 8대손 송근수 * 고종 때 수구파의 핵심인물인 심순택, 서당보 * [[이항복]]의 후손인 이유원 * [[이완용]]의 양부인 이호준 * 순조, 헌종, 철종, 고종 때 청백리인 정원용 * 정원용의 아들인 정기세와 손자인 정범조 * 방곡령을 발의한 [[조병식]] * 영조와 정조의 측근인 서명응 * 영조 때 노론 중진인 윤급 * 영조 때 노론 영수인 민응수 * 영조 때 노론 영수이자 선봉장인 김재로 * 정조의 총애를 받은 원로대신 김치인 * 숙종 때 노론 영수이자 송시열의 수제자이고 이단하의 조카였던 이여 * 북한산성을 증축한 이유 * 숙종 중반기 노론 중진인 서종태 * 중종 때 조광조를 추천한 안당 * 고종 때 흥선대원군의 측근이자 수구파의 거두인 [[홍순목(조선)|홍순목]], 한계원 * 광해군 때 대북 거물인 한효순, 민몽룡 * 영조 중반기 소론의 영수인 정석오 * 영조 때 노론 중진인 조상경 * 광해군 때 북인의 영수인 박홍구, 조정 * 안동 김씨 가문 중 벽파의 영수인 김달순 * 순조 때 시파 영수인 이존수 * 영조 때 노론 강경파 거두인 이의현 * 민시중의 아들인 민진주 * [[윤두수]]의 아들인 윤방 * 조선 광해군과 인조 때 실학자인 이수광 * 이수광의 아들 이성구 * 청국과의 물물교환에 능통한 심열 * 인조 때 서인 영수였던 홍서봉 * 윤지완의 동생인 윤지선 * 영조 때 소론 온건파의 수장이자 거두인 최규서 * 숙종 때 노론의 영수인 이유와 이여 * 유영경의 측근인 성영, 최천건 * 허균의 형인 허성 * 인조의 외할아버지인 구사맹 * 송시열의 문인인 이숙 * 광해군의 측근이자 북인의 중진인 이상의 * 청렴결백 하였지만 중종의 친위쿠데타인 기묘사화에 협조했던 [[김전]] * 정광필의 손자인 정유길, 정광필의 증손자인 정창연 * 선조 때 유교7신 중 한 명인 [[신흥]] * 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오윤겸]] * 선조수정실록 편찬에 참여한 박장원 * 정조 때의 명신인 [[채제공]]}}}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이조판서)] == 관련 기록물 == * [[정사책]] == 기타 == * [[이조판서]]를 지낸 사람들이 대다수 [[정승]]에 올랐다. * 특기할 만한 직책이라면 이조 소속 관리직 중 하나인 '''이조 전랑(銓郞)'''이 있다. 이조 전랑은 이조의 정5품 '''정랑(正郞)'''과 정6품 '''좌랑(佐郞)'''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조선 [[삼사(조선)|삼사]]에 대한 임명권인 당하통천권, [[과거 제도|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벼슬로 추천하는 권한인 낭천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조선 [[붕당]] 정치의 핵심 중 하나였다. 또한 이조 전랑은 다른 직책과 달리 이조의 최고위직인 이조판서가 임명할 수 없었으며,[* 이는 [[삼사(조선)|삼사]]의 기능인 대신 비판이 외압을 받지 않게 함을 위함이다.] 자신의 후임자를 직접 추천하는 자대권(자천권)을 가지고 있었다. [[선조(조선)|선조]] 때 이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사림파]]가 [[동인(조선)|동인]]과 [[서인]]으로 나뉘면서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조, version=118, paragraph=9)] [[분류:조선의 통치 기구]][[분류: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