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이종도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82 KBO 리그 베스트 10}}}''' || ---- [include(틀:LG 트윈스 주장)]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5번}}}''' || || 팀 창단 || {{{+1 →}}} || '''{{{#ffff00 이종도[br](1982~1984)}}}''' || {{{+1 →}}} || [[최홍석(야구)|최홍석]][br](1985~1988)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2번}}}''' || || 김진홍[br](1982~1984) || {{{+1 →}}} || '''{{{#ffffff 이종도[br](1985~1987)}}}''' || {{{+1 →}}} || 송명철[br](1989~1990) || ||<-5> '''{{{#ff9933 [[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84번}}}''' || || 결번 || {{{+1 →}}} || '''{{{#ffffff 이종도[br](1989~1991)}}}''' || {{{+1 →}}} || 최호근[br](1996)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73번}}}''' || || [[우용득]][br](1989) || {{{+1 →}}} || '''{{{#fff 이종도[br](1992~1993)}}}''' || {{{+1 →}}} || 민동근[br](1996)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72번}}}''' || || 고승훈[br](1991) || {{{+1 →}}} || '''{{{#ffc81e 이종도[br](1996~1999)}}}''' || {{{+1 →}}} || 팀 해체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25/2014/08/20/htm_2014082014505561006011_99_20140823112602.jpg|width=100%]]}}} || ||<-2> '''{{{+2 이종도}}}[br]李鍾道 | Lee Jong-Do''' || ||<|2> '''출생''' ||[[1952년]] [[5월 22일]] ([age(1952-05-22)]세) || ||[[충청북도]] [[음성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동대문중학교]] {{{-2 ([[졸업]])}}}[br][[중앙고등학교 야구부|중앙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 ([[체육교육과|체육교육학]] 70 / [[학사]])}}} || || '''포지션''' ||[[우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 '''소속팀''' ||제일은행 야구단 (1974~1981)[* 1975~1977년까지 군 복무.] [br] '''[[MBC 청룡]] (1982~1984)''' [br] [[OB 베어스]] (1985~1987) || || '''지도자''' ||[[태평양 돌핀스]] 코치 (1989~1991) [br]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1992~1993) [br] [[쌍방울 레이더스]] 1군 수석코치 (1996~1999)[* ~7월 15일] [br][[쌍방울 레이더스/2군|쌍방울 레이더스 2군]] 감독 (1999)[* 7월 16일~][br]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 (2000~2006) [br]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0) [br] 서울 해치 수석코치 (2011) [br] [[설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2~2017)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2002) || || '''해설위원''' ||[[MBC]] 야구 해설위원 (1988)[br][[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 (1994~1995) [br] [[KBS N SPORTS]] 야구 해설위원 (2007) [br] [[엑스포츠|Xports]] 야구 해설위원 (2008~2009)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이종도_B.png|width=100%]]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지도자, 해설가. == 선수 경력 == [[동대문중학교]], [[중앙고등학교 야구부|중앙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70학번)를 졸업하고 제일은행 야구단에서 주로 [[우익수]]를 맡아보며 선수 생활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종도_D.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종도_C.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종도_A.png|width=100%]]}}} || [[https://m.sports.naver.com/kbo40/history/1|히스토리 01 개막전 만루홈런의 주인공 '이종도']] 1982년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하면서 [[MBC 청룡]] 창단 멤버로 프로에 입문했고, 팀의 첫 주장이 되었다. 그해 3월 27일 서울운동장 야구장([[동대문야구장]]의 당시 명칭)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 와의 [[KBO 리그]] 원년 출범 개막전에 6번 타자에 [[좌익수]]로 선발 출장, 연장 10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이선희(야구)|이선희]]의 3구를 끝내기 만루홈런으로 장식하며 한국 프로야구 역사의 시작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그 날 이종도는 개막전 수훈선수로 뽑히며 오토바이를 부상으로 받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yWbJlX1x4)]}}} || || '''{{{#ffff00 당시 개막전 만루홈런 동영상.[* 고화질로 보고 싶다면[[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listType=season&season=82&id=176992&page=1|이쪽]]으로.]}}}''' || 이종도는 이날 개막전에서 [[MBC 청룡]]-[[LG 트윈스]] 프랜차이즈 역사상 리그 1호 안타도 기록했다. ||
[[파일:1982년 올스타전 2차전에 출전한 이종도.png|width=100%]] || || '''{{{#ffff00 1982년 올스타전 2차전이 열린 광주 무등야구장에서 서군으로 출전한 이종도.}}}''' || 이종도는 그해 타율 0.324, 11홈런, 48타점을 남기며 MBC의 중심타자로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후 이종도는 1984년 까지 MBC 선수로 뛰다 1985년 [[OB 베어스]]로 이적하여 1987년까지 현역으로 뛰었다. 프로 통산 성적은 6시즌 '''482경기 344안타, 타율 0.268, 28홈런, 176타점, 50도루.''' 여담으로 MBC-LG, OB-두산 구단 역사를 통틀어서 두 팀에서 모두 주장을 역임한 최초의 선수다. == 지도자 경력 == 1988년 MBC 야구해설위원을 거쳐 1989년 [[태평양 돌핀스]] 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고, [[LG 트윈스]](1992~93)[* 그 동안 LG 트윈스의 유니폼을 입었던 선수들 중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개막장 선수였던 [[윤찬]] 덕분에 1993년 시즌 후에 잘렸는데,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의 윤찬의 어처구니 없는 [[본헤드 플레이]]로 인한 주루사 당시의 3루코치가 그였기 때문이다. 하필이면 '''그 경기를 [[구본무]] 회장이 직관했었고, 그 어이 없는 플레이에 분노한 구본무 회장이 프런트에 그의 해임을 직접 지시했다고 한다.''' 물론 그 상황은 전적으로 [[윤찬]]의 잘못이었기 때문에 이종도만 결국 윤찬 덕분에 억울하게 잘린 것이다.] [[쌍방울 레이더스]](1996~99) 코치를 거쳐 2000년 모교인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 감독에 임명되어 2006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하였는데[* 2003학번 입학예정자였던 구본원(안산공고)이 숙소 헬스장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고려대 야구부는 군대 못지않은 군기로 악명이 높았고 양승호가 감독으로 취임하여 구타를 대화로 바꾸는데 2년이나 걸렸다고 할 정도였다.] 1994 ~ 1995년까지 KBS 라디오 해설을 역임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는 [[KBS N SPORTS]] 해설위원으로 프로야구계에 복귀하여, 팬들의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해설[* 심지어 [[고려대학교|고려대]] 감독 시절 직접 제자로 데리고 있었던 [[박용택]] 이나 [[정근우]] 같은 선수들에 대해서도 그들이 어떤 유형의 선수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 이를 지켜보던 팬들의 비난세례를 받았다.]로 야구팬들의 빈축을 사다 1년만에 그만두었다. 2008~09년엔 [[엑스포츠]] 해설가로 이직했지만, 여전히 수준 미달이라는 지적을 받으면서 해설가 경력을 초라하게 끝냈다. 2010년 11월 [[담관암]] 진단을 받았으나 다행히 초기에 발견하여 수술로 제거, 현재 생명엔 지장이 없다고 한다.[* 담관암이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는 지극히 드물다. 굉장히 운이 좋았던 셈. 오죽하면 이종도를 진찰한 의사가 "평소에 좋은 일만 하고 사셨나보죠?" 라며 그의 행운에 감탄했다는 말도 있다.] 2011년 [[일본]] 간사이 독립리그 서울 해치[* 2009년 코리아 해치로 출범하였으나 자금 부족으로 파탄나는 바람에 [[서울특별시]]가 후원자로 나서며 2011년 4월부터 다시 리그에 참여하게 되었지만...]의 코치로 임명되었으나 소속 선수들 다수가 [[고양 원더스]]로 빠져 나가며 팀이 활동 중단 상태에 놓이자 코치직을 그만 두고 귀국, [[설악고등학교 야구부|설악고등학교]] 감독으로 자리를 옮겨 2017년까지 재직했다. 2015년 일본에서 열린 세계 청소년 야구선수권 대회의 한국 대표팀 감독을 맡아 3위의 성적을 올렸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17>
{{{#ffff00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삼진}}}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ffff00 OPS}}} || || 1982 ||<|3> [[MBC 청룡|MBC]] || 78 || 287 || .324 || '''93''' [br] (5위) || 15 || 1 || 11 || 48 || '''52''' [br] (4위) || 21 || 36 || 51 || .498 || .395 || .893 || || 1983 || 98 || 341 || .296 || 101 || 25 || 2 || 8 || 62 || 50 || 16 || 42 || 42 || .452 || .370 || .821 || || 1984 || 59 || 145 || .179 || 26 || 7 || 0 || 3 || 13 || 14 || 0 || 24 || 27 || .290 || .292 || .58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OPS}}} || || 1985 ||<|3> [[OB 베어스|OB]] || 105 || 282 || .270 || 76 || 14 || 3 || 4 || 35 || 34 || 3 || 34 || 39 || .383 || .344 || .727 || || 1986 || 69 || 99 || .212 || 21 || 4 || 0 || 0 || 6 || 10 || 8 || 22 || 7 || .253 || .355 || .608 || || 1987 || 73 || 130 || .208 || 27 || 4 || 0 || 2 || 12 || 14 || 2 || 16 || 21 || .285 || .295 || .579 || ||<-2> '''[[KBO 리그|KBO]] 통산''' [br] (6시즌) || 482 || 1284 || .268 || 344 || 69 || 6 || 28 || 176 || 174 || 50 || 174 || 187 || .396 || .352 || .74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2년 출생]][[분류:음성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중앙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1974년 데뷔]][[분류:1987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