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경력]] [include(틀:상위 문서,top1=이주찬)] [목차] == 개요 == 이주찬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유년 시절에는 투수와 포수로 뛰었으나 학창 시절 코치의 권유로 유격수를 시작하게 되었고, 대학 시절 내내 유격수로 뛰며 수비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학 3학년이던 2019년에는 [[2019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아시아 선수권]] 엔트리에 뽑혀[*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았던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 [[황성빈]]도 이 대회에 출장했다.] 태극마크를 달고 주전 유격수로 뛰기도 했다. 그러나 대회 첫 경기였던 중국과의 예선에서 연장 승부치기 끝에 끝내기 실책으로 시작부터 실타래를 꼬이게 만든데다 대회 내내 타격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http://www.baseballasia.org/BFA/include/index.php?Page=1-2-1&score01=2504967155d9a9c49dbd47|최종전이었던 3위 결정전을 제외한 나머지 경기들을 이곳에 있는 기록지로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사실 이 대회가 엔트리 선정부터 논란이 많았던 데다 결정적으로 대학 야구의 암울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었기에 이주찬 혼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 [[롯데 자이언츠]] == === 2021 시즌 === 3월 3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와의 연습경기에서 5번타자 유격수로 출장해 4타수 1안타 3삼진을 기록했다. 참고로 키스톤은 같은 육성선수 신인인 [[최종은]]과 호흡을 맞췄다. 3월 16일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2군]]과의 연습경기에서 홈런을 때려냈다. 5월 11일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고 3일 뒤 5월 14일 [[kt wiz]]전에 1군에 올라와 바로 9번 2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1군 등록 직전까지 퓨처스리그에서 거둔 성적은 22경기 63타수 15안타 5 2루타 2타점 2도루 2사사구 13볼넷 18삼진 타출장 0.238/0.380/0.317. 하지만 1군에서 이틀동안 6타수 무안타를 기록하고 말소되면서[* 이주찬이 말소된 자리에는 [[추재현]]이 대신 등록됐다.] 1군 첫 안타는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2군으로 다시 내려가서는 10경기 22타수 10안타 3 2루타 1 3루타 1타점 1도루 5볼넷 9삼진으로 맹타를 휘두르며 5월 일정을 모두 끝냈다. 6월 1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3타수 2안타 2득점 1볼넷 1사구로 4출루를 했다. 6월 4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전에서 무안타로 침묵하며 연속 안타 기록이 끊어졌으나, 6월 5 ~ 6일 이틀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7타수 3안타 2 2루타 1득점 1볼넷을 기록해 타율이 3할대로 진입했고 OPS도 9할을 바라보고 있다. 1군 경험 후 2군에서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종 퓨처스리그 성적은 87경기 268타수 73안타 1홈런 14도루 22타점 52득점 .272-.369-.369 OPS .738을 기록했다. 페넌트레이스 종료 후인 10월 28일 [[kt wiz]] 2군과의 교류전에서 5번타자 겸 3루수로 출장해 4회 만루홈런 포함 2안타 2볼넷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382&aid=0000941498|11월 30일에 현역으로 입대했다]]. 전역일은 2023년 5월 29일. === 2023 시즌 === 5월 29일에 전역한 후 6월 4일 군보류가 해제되며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다. 등번호는 109번. 퓨처스리그에서만 출장하였다. 7월과 8월에는 다소 부진하였지만 9월에는 40타수 16안타 2홈런 8타점을 기록하면서 113타수 34안타 타율 .301 9 2루타 3홈런 18타점 5도루 11볼넷 4사구 34삼진을 기록하였다. === 2024 시즌 === 이학주를 밀어내고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3월 30일 NC전에서 9회 최성영을 상대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했다. 주로 대수비로 나오다가 4월 7일 10회 말 대타로 나왔으며, '''3루수 옆을 빠져나가는 끝내기 2루타로 승리를 이끌었다!''' [* 데뷔 첫 끝내기 안타이다.][* 두산에서 페어/파울 여부를 두고 [[비디오 판독]]을 요청해 실시했으나 결과가 뒤집혀지지는 않았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9>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이주찬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 2021 ||<|3> [[롯데 자이언츠|롯데]] || 3 || 8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00 || .000 || .000 || .000 || - || -0.20 || || 2022 ||<-17> 군 복무([[현역병|현역]]) || || 2023 ||<-17>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3 || 8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00 || .000 || .000 || .000 || - || -0.2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주찬, version=130)]